• 제목/요약/키워드: magnetic survey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36초

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타란지역에서의 물리탐사 (Geophysical Survey in the Taran Area on the Central Kalimantan, Indonesia)

  • 조진동;김인준;박인화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2호
    • /
    • pp.155-162
    • /
    • 2002
  • 천열수 광상 함금석영맥이 도처에 발달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타란 지역에서 천부 지질정보 획득(지질구조 및 광상분포 확인)을 목적으로 1999년 9월30일부터 10월27일 가지 28일간의 일정으로 자연전위탐사, In-suite 대자율 측정 및 전기 비저항 탐사법를 수행하였다. 자연전위탐사/in-suite 대자율 측정은 10m$\times$250m 간격으로 5개 측선에서, 쌍극자 탐사는 전극간격 ${\alpha}$=30 m, 전극배열 n=7으로 1개 측선에서 행하였다. 탐사결과. 한금 석영맥의 분포지역은 유화광물을 많이 포함하는(은, 아연 및 연의 광화작용)형태, 유화광물을 적게 포함하는(금 광화작용)형태 지역으로 분리 할 수 있다. 측선5에서 낮은 비저항값을 보여주는 구간은 파쇄대, 유화광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구간을 의미한다.

Faraday Rotation Measure and Cosmic Magnetic Field

  • Cho, Hyunjin;Ryu, Dongsu;Ha, Ji-hoon;Kang, Hyesung
    • 천문학회보
    • /
    • 제46권2호
    • /
    • pp.39.3-40
    • /
    • 2021
  • The Faraday rotation measure (RM) of extragalactic radio sources is one of tools that can explore the magnetic field in the cosmic web. We have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RM using the data of simulations for the large-scale structure formation of the universe. Various modelings for the cosmic magnetic field including the redshift dependence, and the intrinsic RM of radio sources have been considered. We here present the structure functions (SFs) of simulated RMs for small angular separations, and compare the SFs with observations, specifically those from the NRAO VLA Sky Survey (NVSS) and LOFAR Two-Metre Sky Survey (LoTSS). We then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work.

  • PDF

변전소 건설로 인한 자기장 노출범위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for Exposure Limits of Magnetic Fields in the Transformer Substation)

  • 전인수
    • 환경영향평가
    • /
    • 제14권4호
    • /
    • pp.195-202
    • /
    • 2005
  • The health risks from the magnetic fields exposure have been brought out difficulties in the construction of transformer substation. According to several epidemiologic studies and the relevan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agnetic fields should not exceed the exposure limits of 3mG for the people living near electric power lines. The rigid regulation of the exposure levels for the elementary school and residental areas has been established already in Switzerland and Italy. Since 1998,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in Korea has been reviewed for power-frequency magnetic field by precautionary policies. In this study, the possible application of Prior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 System for the transformer substation was reviewed from the points of the properties of the powerfrequency magnetic fields. The ranges and survey methods of the assessment for the transformer substation were proposed. The ranges of magnetic fields was between 300m to 500m for the 345kV transformer subst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further specific assessment methods for various high-voltage transformer substations.

경기도 인천지역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대한 중력 및 자력 탐사 연구 (Gravity and Magnetic Surverys for Volcanic Rocks in Yeoncheon Area, kyonggi-do)

  • 박혁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6호
    • /
    • pp.645-651
    • /
    • 1999
  • The gravity and magnetic measurements have been obtained from 34 stations with 50m intervals along the survey line positioned between Jangtanri and sindapri for studying subsurface geology and structures of the volcanic rocks in Yeoncheon area. The Bouguer gravity and magnetic anomaly values were evaluated from the reduction of the field observation, and then interpreted by Nettleton's method and maximum-pepth rules, are approximately 160m based on magnetic data and 135m based on gravity data. High Bouguer gravity anomaly zone between 0m in Jangtanri and 900m along the survery line, is caused by thick and high density, older dasalt which is positioned beneath jijangbong tuff breccia, and this result corresponds to the interpretation result based on magnetic anomly. Lower gravity and magnetic anomaly zones ariund 900m are caused by between 1300m and 1550m are caused by high density of Quarternary basalt exposed in the surface, and lower gravity and magnetic anomalies at 200m and 1250m are caused by faults.

  • PDF

UXO(Unexploded Ordnance) 탐지를 위한 자력탐사 기술 (Technique of magnetic survey for UXO discrimination)

  • 박인석;김현도;김진후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5년도 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158-159
    • /
    • 2005
  • The paper presents a method for location of subsurface UXOs. The approach utilities gradient interpretation techniques (analytic signal, horizontal gradient and Euler methods) to locate the objects. Then, linear least-squares technique, we obtain the magnetization location of the sources. We demonstrate the practical utility of the method using marine magnetic field data.

  • PDF

Fracture characterization with high frequency single-hole EM survey

  • Seo, Soon-Jee;Song, Yoon-Ho;Kim, Hee-Joon;Lee, Ki-Ha;Suh, Jung-Hee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9년도 춘계 공동학술발표회
    • /
    • pp.90-93
    • /
    • 1999
  • We present a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EM) inversion scheme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a fracture using single-hole data. At high frequencies, say above tens of mega-hertz, since displacement currents cannot be ignored, electrical permittivity as well as electrical conductivity is to be considered together for analyzing the EM scattering data.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three-step inversion scheme to map the fracture and to evaluate it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ermittivity. We performed EM profiling along the z-axis using three-component receivers for each source. The model was excited by a vertical magnetic dipole and the resistant magnetic fields were inverted using the non-linear least-squares method. Background resistivity and permittivity were easily obtained using vertical magnetic fields below 1 MHz and above 10 MHz, respectively. Both the vertical and dipping sheets were successfully mapped using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40 and 41 MHz. The electrical property of the sheet was well resolved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evious two steps and secondary magnetic fields. Our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imaging the fracture in single-hole survey environment using the high frequency EM method.

  • PDF

서해남부해역의 지자기 이상대 해석 (Magnetic anomal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Yellow Sea)

  • 김성배;최성호;서만철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8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85-92
    • /
    • 2008
  •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대한 국가해양기본도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1996년부터 동해를 시작으로 연차적으로 한반도 주변의 해역 전체에 대한 해양조사를 실시 중에 있고, 본 논문은 1999년도에 '해양2000호'를 이용하여 서해 남부지역에서 측정한 해양 지자기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지자기 자료를 처리하고 이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지자기 이상대의 원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자력자료 처리는 불량자료의 검색 및 제거, Sensor 위치보정, 선체자기장 영향 보정, 일변화 보정, 정규보정, 교차점 오차 보정 등의 과정을 거쳐 조사 해역에서의 전자력치와 지자기 이상치를 구하였다. 조사해역의 전자력 분포는 $49000\;{\sim}\;51600\;nT$로 황해 해역에서의 정상적인 전자력세기 분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등자력선의 분포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북서쪽으로 갈수록 전자력치가 증가한다. $124^{\circ}$ 49' 48" E, $35^{\circ}$ 10' 48" N $\sim$ $125^{\circ}$ 7' 48" E, $35^{\circ}$ 33' 00" N 사이 구간 해역에 대한 자기 이상과 탄성파 단면도를 비교한 결과와 모델링 결과가 기존 탄성파 탐사단면에서 밝혀진 지하지질구조와 잘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자력이상의 분포는 대체적으로 해저면 하부에 발달되어 있는 제3기 퇴적분지와 백악기 기반암의 분포에 따른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고해상도 항공자력탐사를 이용한 Italia Vulcano-Lipari 화산 복합체의 천부 지하 구조 (Shallow subsurface structure of the Vulcano-Lipari volcanic complex, Italy, constrained by helicopter-borne aeromagnetic surveys)

  • 대웅무웅;중총 정;구택정부;삼원광언;중야 준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9권1호
    • /
    • pp.129-138
    • /
    • 2006
  • 남부 Italia Aeolian 군도의 Vulcano-Lipari 화산 복합체의 천부 지하구조를 잘 이해하고 또한 이 지역의 화산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고해상도 항공자력탐사가 3 년간의 간격을 두고 두 번 수행되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자력탐사 자료가 화산활동의 변화를 지시하는 어떠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자료들은 서로 합쳐져서 단일 자료보다 넓은 영역에 대한 항공자력도로 만들어졌다. 지형보정된 자력이상으로부터 겉보기 자화강도 분포도가 만들어졌으며 이로부터 Fossa 원추구의 이질성을 제시하는 국부적인 고 자화 이상을 볼 수 있었다. 이중 세 개의 고자화 이상에 대해 자력 모델링이 수행되었다. 각 모델은 Fossa 화구의 화산쇄설류로 덮혀있는 화산생성물의 존재를 밝히는 데에 적용되었다. Fossa 화구 지역에 대한 모델로부터 현재 화구의 남쪽 가장자리에는 조면암질 용암류가 묻혀있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Forgia Vecchia에서 적용한 자력모델은 수증기 폭발성 원추구가, Fossa 칼데라를 메운 레타이트질 용암류(현무암질조면암과 안산암질조면암을 통칭)에 덮혀버린 한 분출중심으로부터 형성되었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하지만 용암류의 분포는 기존의 시추 결과들로부터 알려진 것보다도 적은 지역에 국한되는 것처럼 나타난다. 이는 Porto Levante에 인접한 지열지역에서 알 수 있듯이, 강렬한 열수활동으로 인한 용암류의 부분적인 변질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Fossa 원추구 북동부에서의 모델은 두꺼운 용암류가 Fossa 화산활동의 초기단계에 또 다른 분출중심에서 집적되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최근의 전기탐사는 마지막 두 자력모델 지역에서 고비저항대를 보여준다.를 재활성화 시키는 $CO_2$의 탄성파 반응 또한 예측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암석물리학 모의실험장치를 적용했던 현장(해상과 육상의 잠재적 $CO_2$ 격리 지역)의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4차원 탄성파 반응들이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설계를 돕기 위하여 만들어 졌다. 액체상의 $CO_2$ 주입은 공기로 포화된 상태에 비해 속도-유효응력 반응을 평균 약 8% 정도 낮게 한다. 실험자료들은 높은 유효응력에서 Gassmann 계산들과 일치한다. 이러한 이론과 일치하는 "임계" 유효응력은 사암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이 차이는 각각의 사암 종류의 미세구조에서 미세 균열 수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된다. 높은 유효응력에서의 이론과 의미있게 일치하였으며, $CO_2$ 주입 시 현장에서의 탄성파 거동을 예상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 확신을 준다.극압 증가의 최대 허용치를 결정하는데는 사용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초기폐사율이 낮음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상기 결과를 토대로, 넙치 치어의 경우 ${\beta}-1,3$ 글루칸을 0.05% 이상 0.1% 미만을 사료에 첨가하는 것이 성장, 사료효율 증진, 항산화능 및 질병저항성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Cip1}(-)/p27^{kip1}(-)$인 경우는 미만형인 경우(87.0%)가 장형(54.9%)의 경우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P<0.05). 5년 장기 생존율에 있어서는 각각의 $p21^{Waf1/Cip1}$$p27^{kip1}$의 발현 유무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복합

복합지구물리탐사에 의한 매립 문화재 위치 추정 분석 (Analysis for Reclaimed Cultural Asset Location Estimation with Complex Seismic Survey)

  • 장호식;노태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80-387
    • /
    • 2012
  • 매립 문화재 위치 추정에 있어서 비파괴검사인 복합지구물리탐사 방법이 최근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탐사방법은 건설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매립 문화재 위치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과거 매립 문화재가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그 분포 영역을 파악하기 위해 자력변화율탐사, 전기비저항탐사, 지하투과레이더탐사 방법을 병행하여 매립 문화재 위치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대상지역에서의 연구성과로는 도면좌표로 X축 방향으로 약 +15m, Y축 방향으로 약 +90m에 위치하고 있으며, 장축으로 북북동방향으로 약 20m, 폭이 약 5m의 형태로 나타났고, 예상 이상대 발달분포의 심도는 약 1.5~3.0m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해석 결과로 향후 매립 문화재 예상 지역 및 발굴작업에 있어서 지구물리탐사 방법을 이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정확한 측정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 동굴 탐지에 효율적인 지구물리탐사기법 연구: 제주도 만장굴을 대상으로 (Effective Geophysical Methods in Detecting Subsurface Caves: On the Case of Manjang Cave, Cheju Island)

  • 권병두;이희순;이규호;임형래;오석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8-422
    • /
    • 2000
  • 지하의 공동탐사에 효과적인 지구물리탐사 기법에 대해서 연구하기 위하여 제주도 만장굴을 대상으로 복합적인 지구물리탐사를 수행하였다. 이번에 사용한 방법은 탐사장비나 야외작업이 비교적 경제적이면서도 지하 공동에 의한 반응을 잘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중력, 자력, 전기 비저항, GPR(지하레이더) 탐사 등이다. 현지의 탐사여건을 고려하여 7개의 측선을 선정하고, 각 측선별로 몇 종류의 탐사를 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자력탐사의 경우는 2차원 격자형탐사도 함께 수행하였다. 각 탐사자료상에는 탐사법에 따른 여러 특징들이 잘 나타나고 있어, 그 효용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이번에 사용한 방법 중 동굴 탐사에 가장 효과적인 탐사법은 전기비저항탐사로 나타났으며, 쌍극자-쌍극자 배열법은 2차원적인 고비저항대로 나타나는 동굴의 존재를 잘 보여준다. 중력, 자력 탐사의 결과는 화산암 지역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잡음의 영향으로 동굴의 위치나 규모를 해석해 내기가 쉽지 않지만, 전기비저항탐사 자료에서 인지되는 동굴의 위치와 규모가 적절한지를 검증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었다. 한편, 2차원 격자형 자력탐사 자료는 동굴의 경향성을 잘 보여주므로, 정밀 탐사측선을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GPR탐사 자료에는 천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틈새들과 소규모 공동들에 의한 반응이 강하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심부에 위치하는 주동굴의 존재를 확인하기는 힘들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제한 된 수의 탐사법만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어떤 결정적인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지하 동굴의 경우는 복합적인 탐사를 수행하고 그 자료들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해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