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netic anomal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Yellow Sea

서해남부해역의 지자기 이상대 해석

  • Kim, Sung-Bae (Dept. of Geoenvironmental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oi, Sung-Ho (National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
  • Suh, Man-Cheol (Dept. of Geoenvironmental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성배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 최성호 (국립해양조사원) ;
  • 서만철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8.10.09

Abstract

National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is carrying out an oceanographic survey for the entire sea areas around Korean Peninsula annually starting with the East Sea from 1996 by establishing a national oceanographic basic map survey plan for the sea areas under the jurisdiction of Korea, so this paper used the oceanographic geomagnetism data measured at the southern area of the Yellow Sea using 'Hae Yang 2000' in 1999, aiming at clarifying the cause of geomagnetic abnormality zone during the course of treating and analyzing the geomagnetic data. For treatment of magnetic data, we obtained electromagnetic force values and geomagnetic abnormality values around the investigated sea area through a process of searching and removal of bad data, correction of sensor positions, correction of magnetic field effects around the hull, correction of diurnal variation, normal correction, correction of cross point errors, etc. The electromagnetic force distribution around the investigated sea area was $49000\;{\sim}\;51600\;nT$, which is judged to be within the normal electromagnetic force intensity distribution range around the Yellow Sea. The isodynamic lines are distributed in Northeast-Southwest direction, and electromagnetic force values are increasing toward the northwest.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agnetic abnormality around the sea area among $124^{\circ}$ 49' 48" E, $35^{\circ}$ 10' 48" N $\sim$ $125^{\circ}$ 7' 48" E, and $35^{\circ}$ 33' 00" N sections with the elastic wave cross section and the result of modeling coincide well with the underground geological structure clarified from the existing elastic wave survey cross secti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distribution of magnetic force abnormality generally shows the effect pursuant to the distribution of the sedimentary basins in the Tertiary period and the bedrocks in the Cretaceous period which are well developed in the bottom of the sea.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대한 국가해양기본도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1996년부터 동해를 시작으로 연차적으로 한반도 주변의 해역 전체에 대한 해양조사를 실시 중에 있고, 본 논문은 1999년도에 '해양2000호'를 이용하여 서해 남부지역에서 측정한 해양 지자기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지자기 자료를 처리하고 이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지자기 이상대의 원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자력자료 처리는 불량자료의 검색 및 제거, Sensor 위치보정, 선체자기장 영향 보정, 일변화 보정, 정규보정, 교차점 오차 보정 등의 과정을 거쳐 조사 해역에서의 전자력치와 지자기 이상치를 구하였다. 조사해역의 전자력 분포는 $49000\;{\sim}\;51600\;nT$로 황해 해역에서의 정상적인 전자력세기 분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등자력선의 분포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북서쪽으로 갈수록 전자력치가 증가한다. $124^{\circ}$ 49' 48" E, $35^{\circ}$ 10' 48" N $\sim$ $125^{\circ}$ 7' 48" E, $35^{\circ}$ 33' 00" N 사이 구간 해역에 대한 자기 이상과 탄성파 단면도를 비교한 결과와 모델링 결과가 기존 탄성파 탐사단면에서 밝혀진 지하지질구조와 잘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자력이상의 분포는 대체적으로 해저면 하부에 발달되어 있는 제3기 퇴적분지와 백악기 기반암의 분포에 따른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