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tic hyperfine field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7초

Mössbauer Studies of Double Perovskite Sr2Fel-xCrxMoO6

  • Kim, Sung-Baek;Ryu, Hong-Joo;Kim, Je-Hoon;Kim, Chul-Sung
    • Journal of Magnetics
    • /
    • 제8권4호
    • /
    • pp.129-132
    • /
    • 2003
  • We investigated the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double perovskite $Sr_2Fe_{l-x}Cr_{x}MoO_{6}$ (x=0.0, 0.01, 0.03, 0.05, and 0.10). Mossbauer spectra of the $Sr_2Fe_{l-x}Cr_{x}MoO_{6}$ have been taken at various temperatures ranging from 15 to 415 K.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owards $T_{c}$(415 K), the Mossbauer spectra showed line broadening and 1, 6 and 3, 4 line-width differences because of anisotropic hyperfine field fluctuation. The Mossbauer spectra indicated that an anisotropic field fluctuation of +H ( $P_{+}$=0.85) was greater than that of -H ($P_{-}$=0.15). We also calculated the field fluctuation frequency factors an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anisotropy energies from its relaxation rate. We interpreted the effect of Cr ($t^3$$_{2g}$) doping as a decrease in the anisotropy energy.

Mössbauer Study of Ti1-x-yCoxFeyO2

  • Kim, Eng-Chan;Lee, S.R.;Kim, T.H.;Ryu, Y.S.;Cho, J.H.;Joh, Y.G.;Kim, D.H.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13
    • /
    • 2006
  • [ $M\"{o}ssbauer$ ] spectra of $Ti_{1-x-y}Co_xFe_yO_2(0.01{\leq}x,\;y{\leq}0.05)$ prepared with $^{57}Fe$ enriched iron have been taken at various temperatures ranging from 80 to 300K. The Mossbauer spectrum of $Ti0.94Co_{0.03}Fe_{0.03}O_2$ consists of a ferromagnetic (six-Lorentzian), a paramagnetic phase (doublet) and armorphous phase over all temperature ranges. Isomer shifts indicate $Fe^{3+}$ for the ferromagnetic phase and the paramagneic phase of $Ti_{1-x-y}Co_xFe_yO_2$ samples. It is noted that the magnetic hyperfine field of ferromagnetic phase had the value about 1.5 times as large as that of u-fe. The XRB data for $Ti_{1-x-y}Co_xFe_yO_2$ showed mainly rutile phase with tetragonal structures without any segregation of Co and Fe into particulates within the instrumental resolution limit. The magnetic moment per (Co+Fe) atom in $Ti0.94Co_{0.03}Fe_{0.03}O_2$, under the applied field of 1T was estimated to be about $0.332{\mu}_B$ which is ten times as large as that of $Ti0.97Co_{0.03}Fe_{0.03}O_2,\;0.024{\mu}_B$ per Co atom, suggesting a high spin configuration of Co and fe ions.

Cu0.1Fe0.9Cr2S4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성질에 관한 연구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Cu0.1Fe0.9Cr2S4)

  • 손배순;김삼진;김철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37
    • /
    • 2004
  • Cu$_{0.1}$Fe$_{0.9}$Cr$_2$S$_4$에 대하여 x-선 회절기(XRD), 진동 시료 자화율 측정기(VSM), Mossbauer 분광기, 자기저항(Magnetoresistance;MR)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결정구조는 cubic spinel 구조이며, 격자 상수는 a$_{0}$=9.9880 $\AA$이었다. 자기저항(MR)실험 결과 110 K 이하에서는 반도체적 거동을, 100 K 이상에서는 도체적인 거동을 보인다. VSM 실험결과 100 Oe 인가 자장 하에서 zero-field-cooling(ZFC)와 field-cooling(FC) 사이에 커다란 비가역적 첨점 형태가 관측되었다. 5 kOe인가 자장 하에서 포화자화값이 온도 상승과 더불어 110 K 까지 증가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15 K∼300 K의 온도 범위에 걸쳐서 Mossbauer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전기사중극자 분열치가 Neel온도 이하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온도가 하강하면서 점차 증가하고 공명선의 선폭이 비대칭적으로 굵어짐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동적 Jahn-Teller뒤틀림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Fe 이온의 전하상태는 +2이며, 초미세 자기장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극저온에서 100 K 부근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것은 반대방향의 orbital current field(H$_{L}$)와 Fermi contact field(H$_{C}$) 사이의 상쇄효과로 해석된다.

$NdFe_{10.7}Ti_{1.3}$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성질 연구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NdFe_{10.7}Ti_{1.3}$)

  • 이승화;이용종;안성용;김철성;김윤배;김창석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361-366
    • /
    • 1996
  • $ThMn_{12}$ 구조를 갖는 $NdFe_{10.7}Ti_{1.3}$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성질을 X-선 회절 분석과 $M\"{o}ssbauer$ 분광법 그리고 VSM으로 연구하였다. $NdFe_{10.7}Ti_{1.3}$ 합금은 알곤 가스 분위기의 아크 용해로에서 제조하였으며, X-선 회절분석 결과 결정구조는 상온에서 tetragonal 구조를 갖고 있으며, 격자상수는 $a_{0}=8.607{\AA},\;c_{0}=4.790{\AA}$으로 결정하였고, $2{\theta}=44.5^{\circ}C$ 근방에서 약한 $\alpha$-Fe 상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M\"{o}ssbauer$ spectrum을 13 K에서 800 K 까지 취하였으며, Curie 온도는 590 K로 결정하였다. Curie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Fe-site가 $(8i_{1},\;8i_{2},\;8j_{2},\;8j_{1},\;8f\;and\;{\alpha}-Fe)$의 6 site로 나타났으며, 295 K에서의 면적 비는 각가가 13.8%, 15.4%, 17%, 16.4%, 34.1% 그리고 $\alpha-Fe$는 3.3%로 나타났으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alpha-Fe$ 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Curie 온도에서 24.5%의 $\alpha-Fe$ 상이 존재함을 알았다. 초미세 자기장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그 크기는 $H_{hf}(8i)>H_{hf}(8j)>H_{hf}(8f)$ 임을 알았다. 초미세자기장, 이성핵적 이동값과 자기 moment 값의 급격한 변화로 spin reorientation은 180 K에서 일어남을 알았다.

  • PDF

의학용 연고제에 포함된 자성물질 입자들의 성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Properties of Magnetic Particles in Medicinal Ointments)

  • Do, Tae-Sung;Nam, Hyo-Duk;Park, Se-Gon;Hwang, Hyeun-Gook;Hwang, Yong-Soon;Kim, Eng-Chan;Park, Eun-Jung;V. I. Nikolaev;A. V. Bykov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8권1호
    • /
    • pp.69-79
    • /
    • 1997
  • 뫼스바우어 분광법을 사용해서 다목적용으로 제조된 의학용 치료 연고제내에 포함된 자성물질 입자들의 성질들이 연고제내에서 안정되게 존재하고 있는 지를 연구하였다. 자성물질 내에 들어있는 $^{57}$ Fe 동위철 핵자들에 의해 나타나는 뫼스바우어 스펙트럼에 대해 분석한 결과들과 Fe$_3$O$_4$-${\gamma}$-Fe$_2$O$_3$ 체계에 대해 잘 알려진 분석결과들을 비교 연구하여 자성입자들의 구성상태를 규명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나타난 연고제내에 자성물질의 합성상태는 합성되지 않은 순수한 자성물 질만의 성분 분석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자성물질 입자의 크기 (~100$\AA$)가 매우 작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입자들은 95K~300K 범위에서 초 상자성 형태의 뫼스바우어 스펙트럼 특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연고제를 방사성 살균한 후에도 자성물질 성분 구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 PDF

다결정${(Fe,In,Eu)}_2O_3$계의 자기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Polycrystailine${(Fe,In,Eu)}_2O_3$)

  • 김정기;서정철;한은주;홍양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
    • /
    • 1991
  • 다결정${(Fe_{2}O_{3})}_{1-x-y}{(In_{2}O_{3})}_{x}{(Eu_{2}O_{3})}_{y}$(x=0.01, y=0.02과 x=0.02, y=0.03)의 자기적 성질을 X선 회절, $M\"{o}ssbauer$ 효과 방법과 자기이력 측정에 의해서 연구하였다. X선 회절결과는 이들 시료의 결정구조는 $\alpha-Fe_{2}O_{3}$와 같음을 보인다. 사중극자 분열과 평균 반폭치 분석으로부터 x=0.01과 y=0.02인 시료는 Morin 전이를 보이며, x=0.02와 y=0.03시료에서 반 강자성 벡타와 결정축[111]사이의 각은 온도의 증가에 따라 약 $35^{\circ}$로부터 (111) 평면에 놓이기 까지 변한다. 초미세 자기장의 온도 의존성은 스핀파 이론을 써서 분석하였다. 상온에서의 이성질체 이동값은 약 0.35mm/s로 이는 시료내의 철의 이온값은 $3^{+}$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성질체 이동의 온도의존성은 Delbye모형을 써서 분석하였다.

  • PDF

치환형 Ferrite (Fe-Al-Ga-Si)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Substituted Ferrite (Fe-Al-Ga-Si))

  • 최승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439-443
    • /
    • 2011
  • The crystal structure and magnetic properties of a new solid solution type ferrite $(Fe_2O_3)_5-(Al_2O_3)_{3.4}-(Ga_2O_3)_{0.6}-SiO$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diffraction and M$\"{o}$ssbauer spectroscopy. The results of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indicated that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sample appears to be a cubic spinel type structure. The lattice constant (a = 8.317 ${\AA}$) decreases slightly with the substitution of $Ga_2O_3$ even though the ionic radii of the Ga ions are larger than that of the Al ions. The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a higher degree of covalency in the Ga-O bonds than in the Al-O and Fe-O bonds, which can also be explained using the observed M$\"{o}$ssbauer parameters, which are the magnetic hyperfine field, isomer shift, and quadrupole splitting. The drastic change in the magnet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Ga ion substitution in the $ (Fe_2O_3)_5(Al_2O_3)_{4-x}(Ga_2O_3)_xSiO$ system and the low temperature variation have been studied through a M$\"{o}$ssbauer spectroscopy. The M$\"{o}$ssbauer spectrum at room temperature shows the superpositions of two Zeeman patterns and a strong doublet. It shows significant departures from the prototypical ferrite and is comparable with the diluted ferrite. The doublet of spectrum at room temperature appears to originate from superparamagnetic clusters and also the asymmetry of the doublet appears to be caused by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the crystallites. The M$\"{o}$ssbauer spectra below room temperature show various complicated patterns,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freezing of the superparamagnetic clusters. On cooling, the magnetic states of the sample were various and multi critical.

Zn1-xFexO의 뫼스바우어 분광학적 연구 (The Study on Mössbauer Spectroscopy of Zn1-xFexO)

  • 김성진;이상률;박철수;김응찬;조영걸;김동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5-78
    • /
    • 2008
  • $AB_2X_4$((A, B)=Transition Metal, X=O, S, Se) 물질에서의 8면체 자리의 이온 거동과 4면체 자리 이온과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면체 자리에 비자성 이온인 Zn 이온을 치환함에 따른 자기구조의 변화를 관측하여 8면체 자리의 자기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Cr이온의 일부를 Fe로 치환한 $[Co_{0.9}Zn_{0.1}]_A[Cr_{1.98}{^{57}Fe_{0.02}}]_BO_4$의 닐온도($T_N$는 90K로 $CoCr_{1.98}{^{57}Fe_{0.02}}O_4$ 비하여 감소하였다. 4.2 K에서의 초미세자기장값의 분석결과, 초미세자기장값의 작은 차이를 보이는 잘 분리된 2-set 형태로 나타났으며, $CoCr_{1.98}{^{57}Fe_{0.02}}O_4$의 초미세자기장값은 488, 478 kOe 인데 반하여, $Co_{0.9}Zn_{0.1}Cr_{1.98}{^{57}Fe_{0.02}}O_4$의 초미세자기장값은 $B_1=486$, $B_2=468$ kOe으로 나타났다. Zn 이온의 치환에 따라서 초미세자기장값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Zn 이온이 x=0.1 치환된 물질의 경우, 스핀재정렬온도($T_S$)가 18K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The Presence and Role of Intergranular Phase in Nd8Fe86-xNbxB6 (x = 0, 1, 2, 3) Nanocomposite Magnet Characterized by Mossbauer Spectroscopy

  • Han, Jong-Soo;Yang, Choong-Jin;Park, Eon-Byeung;Kim, Eng-Cha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0권1호
    • /
    • pp.14-22
    • /
    • 2005
  • Precisely refined Mossbauer study and nano structure observation revealed that intergranular phase formed between a-Fe and Nd₂Fe14B phase in NdFeNbB alloys plays a significant role on the magnetic properties. The intergranular interaction was characterized in term of Henkel Plot (δM plot), and hyperfine field, quardrupole splitting and isomer shift were refined to predict the presence and role of the intergranular phase. By the addition of Nb into Nd8Fe86B6 composition, coercivity was found to increase by 25% due to the refinement of average grain size of both the soft and hard magnetic phases which was decreased from 50 nm of virgin Nd/sub 8/Fe/sub 86/B/sub 6/ to 25 nm in Nd8Fe 85Nb₁B6 alloys. The role of Nb addition was confirmed to stabilize the Nd₂Fe14B lattice preventing from thermal vibration of the corresponding sites substituted Fe by Nb atoms in all sites in the Nd₂Fe14B lattice. The enhanced coercivity was originated from the exchange hardening of soft and amorphous phases surrounding the hard magnetic Nd₂Fe14B crystal.

$Cu_{1-x}Ge_{1-y}Fe_{x+y}O_3$계의 자기적 및 Mossbauer 분광학적 연구 (Magnetic Properties and Mossbauer Studies of $Cu_{1-x}Ge_{1-y}Fe_{x+y}O_3$System)

  • 채광표;권우현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3-148
    • /
    • 1999
  • Spin-Peierls(SP) 전이를 하는 CuGeO3에서 Cu 이온과 Ge 이온을 자성 이온인 Fe 이온으로 일부 치환시킨 Cu1-xGe1-yFex+yO3계를 제조하여 전이온도 전후에서 자기적 특성과 결정학적 특성의 변화를 밝히기 위하여 자기감수율과 Mossbauer 스펙트럼을 측정 분석하였다. 결정구조는 모든 시료가 직방정계(orthorhombic)였고 격자 상수는 Fe의 치환량이 증가할수록 a축과 c축만 약간 감소하였다. 온도를 내리면서 측정한 자기감수율의 값이 12.5K 근처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SP 전이를 나타냈는데 이 온도는 Fe의 치환량이 많아질수록 약간씩 낮아졌다. Mossbauer 스펙트럼은 Fe3+ 이온에 의한 두 개의 Zeeman sextet와 한 개의 이중선이 중첩되어 나타났는데 특히 SP 전이 온도(Tsp)에서 Mossbauer변수들이 불연속이었다. 즉, Tsp이하에서 두 번째 Zeeman선의 자기장이 크게 증가했고 이중선의 사중극자 분열값(QS)과 이성질체 이동값(IS)도 증가했는데, 이를 Tsp에서 이중체 형성에 따른 이온들의 위치 이동 계산 결과와 비교하여 초교한 상호작용, 대칭성 및 공유 결합성 등의 변화와 관련시켜 해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