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amid fil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응고욕에 따른 m-aramid film의 염색 특성 (Dyeing properties of m-aramid film in various coagulation bath)

  • 김지영;이재웅;김삼수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9차 학술발표회
    • /
    • pp.63-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염색성 향상에 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m-aramid를 사용하여 film으로 제조한 뒤, 표면적 증가에 따른 염색성 및 기타 다른 특성의 차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DMAc를 용매로 하여 제조한 m-aramid 용액을 film으로 제조한 결과, 응고욕의 종류별로 염색성 및 기타 특성에 대해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 PDF

m-Aramid Films in Diverse Coagulants

  • Kim, Ji-Young;Jung, Ji-Won;Kim, Sam-Soo;Lee, Jae-Woong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3-67
    • /
    • 2009
  • m-Aramid dissolved in N,N-dimethylacetamide (DMAc), were coagulated in different coagulants such as water,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Various 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s of the coagulants were also used to evaluate dyeing properties of coagulated m-aramid films.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surface morphology of m-aramid films. Wide angle X-ray diffraction (WAXD) was conducted in order to measure crystallinity change of mcaramid fibers and films. WAXD patterns showed that crystallinity of m-aramid fibers was reduced after film formation. In addition, color depth (K/S value)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ilm coagulated in water possessed fairly enhanced color depth.

m-Aramid/PAA 블렌딩 필름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m-phenyleneisophthalamide)/Poly Amic Acid Blended Film)

  • 이지수;장아영;권지은;이승우;이상오;이재웅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21-230
    • /
    • 2023
  • Meta-aramid and polyamic acid were separated and the manufactured films were analyzed for their integration and logarithmic properties. The miscibility of meta-aramid and polyamic acid was analy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Using calorimetric analysis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storage of meta-aramid and polyamic acid, indi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lumn, was analyze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itial thermal resistance occurs because the polyamic acid is accounted for in the meta-aramid,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persistence phenomenon are explained.

방탄소재 구성에 따른 방호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of the Protection Efficiency of Ballistic Material)

  • Sohn, Boo-Hyun;Park, Hei-Su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61-1668
    • /
    • 2001
  • 본고는 지뢰 방호복을 개발, 국산화하기 위해 먼저 방탄소재 구성방법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이다. 기존의 여러 겹의 파라-아라미드(Para-aramid)나 단순히 파라-아라미드와 폴리 에틸렌 필름(Polyethlene film)을 조합한 소재구성과는 달리 케블라 파이버(Kevlar fiber)로 만들어진 펠트(felt)를 첨가하여 방탄원리 및 특성을 고려한 구성으로 방호복의 중량을 줄이면서 착용자로 하여금 유연성과 동작성을 향상시켜 임무수행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방호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1) Para-aramid(내 충격열) + Flex-felt(충격 에너지 흡수) + Para-aramid(backface Polyethylene film(에너지 분산 극대)+Para-aramid(내 마찰열, backface순으로 소재를 배열함으로써 기존의 Para-aramed 36겹에 대하여 Para-aramid13겹, Polyethylene film 13겹, 그리고 펠트 1겹으로 동일한 방호성능을 얻었다. 2) 새로운 소재 구성 방법 에 의 한 방탄소재는 동일한 방호성능을 갖는 기존의 소재 구성 방법 에 따른 방탄소재 보다 중량에서 34-l9% ,더 가벼운 것으로 나타나 방호복 구성시 유연성이나 동작성에 유리 할 것으로 사료된다. 3) NIJ-STD-0101.03에서 의 Armor type II에 해당하는 시편 I의 방호한계속도로 구한 운동 에너지량은 154.4J Armor type III-A에 해 당하는 시편II의 방호한계속도로 구한 운동 에너지 량은 183.0J로 나타나 두 시편 모두 5m의 거리에서 M16Al지뢰의 0.032~0.044g사이 의 파편에 대해서 50%의 관통확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ulfonated Ether Sulfone을 포함한 Crosslinkable m-Aramid계 Ionomer의 합성과 연료전지 막으로의 이용 (Synthesis of Crosslinkable m-Aramid Ionomer Containing Sulfonated Ether Sulfone and Their Characterization for PEMFC Membrane)

  • 정현진;김정민;조창기
    • 폴리머
    • /
    • 제34권3호
    • /
    • pp.202-209
    • /
    • 2010
  • 열적 안정성과 기계적 강도에서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는 메타계 aramid segment와 제막 특성이 우수하고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sulfone segment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연료 전지용 막으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아라미드 고분자의 solubility와 processability를 향상시키기 위해 아민기를 갖는 sulfonated ether sulfone단량체와 m-phenylene diamine 그리고 isophthaloyl chloride를 반응시켜 아민으로 말단화된 랜덤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것을 acryloyl chloride와 반응시켜 양 말단에 2중 결합이 도입된 고분자전구체를 합성하였다. 얻어진 고분자전구체는 열 가교를 통해 고분자 전해질 막으로 제조되었으며, 전구체의 합성을 비롯한 각 단계의 반응은 $^1H$ NMR, FTIR, 및 적정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얻어진 전해질막은 이온교환용량과 함수율, 수소이온전도도, 열적 특성 등이 측정되었으며, sulfonated ether sulfone 단량체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이온교환용량, 함수율, 수소이온전도도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Sulfonic acid sulfone segment를 30 몰%로 갖는 고분자 전해질 막의 경우 이온교환용량이 1.57 meq/g, 함수율은 44 wt% 이하의 수치를 보였으며, 가장 높은 수소이온전도도의 값은 상대습도 100%, $25^{\circ}C$에서 $3.93{\times}10^{-2}S/cm$이었다.

지뢰 탐지용 방호복 구성과 방호성능 및 착용감 평가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ine Detective Gear)

  • 손부현;최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07-71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newly developed protective suit with the fragments of grenade. The protection efficiency should be strengthened upon the degree of wound. The fragment weight of the used grenade was measured and the kinetic energy of the maximum speed of the fragments in the field test was 137.7J and this could be the protective efficiency test by the multitude fragments in less than 0.031g of the M16A1. The panel inserted to the new demining suit has protection rate of 100% within the distance of 1m and sample II has protection rate of 100% only beyond the distance of 5m. The test showed that the protection rate on the protective suit of the existing garment was comparatively high, however, the protection rate of the sleeve part was very low. The new demining suit through the research demand some complementary measures to lower the temperatures in ear, average skin temperatures, and the temperatures-humidity inside the clothing for summer climate condition, It showed that 30 minutes of rest on the clothing was difficult to go back to the original condition. But in winter climate condition, there was no problem in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omfort to go back to the original condition during the rest and was better in warmth.

  • PDF

화학보호복의 화재위험성 및 화학적 투과시험을 통한 파과시간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isk Assessment & Calculation Breakthrough Time through Permeation Test of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 고재선;박평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1-30
    • /
    • 2010
  • 본 연구는 화학보호복 원단들에 대하여 내화학성 및 난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ASTM 및 ISO의 방법을 이용하여 내화학성 및 화재위험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폴리에틸렌의 경우 전혀 난연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고무에 데카브롬 등 난연성 물질이 첨가된 불소고무 원단이 뛰어난 난연성을 보였다. 특히 현재 소방용 방열복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필름에 아라미드원단을 라미네이팅한 원단이 가장 뛰어난 난연성을 보였다. 하지만 내화학성에 있어 알루미늄은 4% NaOH에 부식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다층의 베리어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난연성 시험결과 알루미늄필름과 폴리머 베리어성 필름을 소재로 만든 Dual skin과 불소고무에 난연성 물질이 포함된 것을 소재로 만든 Single skin이 화학보호복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열방호실험과 열전달지수실험결과 두께의 증가와 다층구조일수록 TPP와 HTI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화학 보호복 원단의 화재위험성 및 내화학성시험 등 지속적 연구와 보완이 적절한 화학보호복 원단 성능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