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Neoplasm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2초

기관지표면상피의 미세침윤성 편평세포암과 동반된 혼합성 소세포암종 -1례 보고- (Combined Small Cell Carcinoma Associated with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Bronchial Surface Epithelium - A case report -)

  • 김윤정;심정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1031-1035
    • /
    • 1996
  • 폐의 편평상피암종에서 기관지표면상피의 화생에 대해서는 많은 이들에 의해서 밝혀진 바 있지만 그 외의 다른 종류의 폐암과 연관된 기관지 표면상피의 변화에 대해서는 그 예가 많지 않고 소세포폐암종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한편 소세포암종의 조직학적 분류와그아형에 대해서 지난수십년 간많은 관심이 모아져 왔다. 이 종량의 아형을분류하는기본적인 근거는 그 형태학적 판정 기준에 있다. 1967년 WHO폐암종 분류법이 제긍된 이후 3여러 기관에서 SCLC의 임상경과나 치료에 대한 반응, 그 아형을 연구하였다. 1988년 IASLC에서는 소세포암종을 그 형태학적 구분으로 세가지 아형 : Small cell carcinoma (2) Mixed small cel1/1arge ceil carcinoma (3) Combined small cell carcinoma로 분류하고 예후와 치료에 대한 반응의 차이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최근 저자들은 68세 남자환자에서 소세포암종에서 국소적으로 편평양분화를 보이는 세포가 함께 혼합되어 있는 주종괴와 분리되 어서 존재하는 기관지 상피세포에 편평상피암종이 동반된 예를 전폐 절제 술을 하고 조직 검사상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Microsatellite Instability와 p53. K-ras, c-myc 암단백의 발현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p53, k-ras c-myc Oncoprotein Expression i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 나석주;곽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60-67
    • /
    • 2000
  • Background: Microsatellites are short-tandem repeated uncleotide sequences present throughout the human genome. Alterations of microsatellites have been termed microsatellite instability(MI). It has been generally known that microsatellite instability detected in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HNPCC) reflects genetic instability that is caused by impairments of DNA mismatch repair system regarding as a novel tumorigenic mechanism. A number of studies reported that MI occurred at varying frequencies i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NSCLC). However It has been unproven whether MI could be a useful market of genetic instability and have a clinical significance in NSCLC. Material and Method : We have examined whether MI can be observed in thirty NCSLC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whether such alterations are associated with other molecular changes such as p53, K-ras and c-myc oncoproteins expression detec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 Result: MI(+) was observed in 16.6%(5/30) and MI(-) was 83.3% (25/30) Average age was 50$\pm$7.5 year-old in MI(+) group and 57$\pm$6.6 year-old in MI(-) group. Two year survival rate in MI(=) group (20% 1/5) was worse than MI(-) group (64% 16/25) with a statistic difference. (P=0.04) The positive rate of K-ras oncoprotein expression and simultaneous expression of 2 or 3 oncoproteins expression were higher in MI(+) group than MI(-) group with a statistic difference(P=0.05, P=0.01)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the authors can conclude that MI is found in some NSCLC and it may be a novel tumorigenic mechanism in some NSCLC. We also conclude that MI could be used as another poor prognostic factor in NSCLS.

  • PDF

제4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의 수술 결과 (Surgical Resutls of Stage IV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 맹대현;정경영;김길동;김도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4호
    • /
    • pp.301-305
    • /
    • 2000
  • Background: The surgical indications of stage IV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are extremely limited with its controversial results. We analyzed the surgical results and survival in selected patients with resectable stage IV NSCLC. Material and Method: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1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for stage IV NSCLC from Jan. 1992 to Sep. 1999. Result: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55.6 years(range: 35 to 78). Sixteen were men and 5 were women. Tissue types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in 10(45.5%), adenocarcinoma in 9(40.9%), large cell carcinoma in 1 and carcinosarcoma in 1. Distant metastatic lesions were ipsilateral other lobe of lung in 18, brain in 2 and adrenal gland in 1. Pneumonectomy was performed in 16 patients, bilobectomy in 3, and lobectomy in 2 who underwent previous operatin for brain metastasis. Mean follow-up duration was 21.2$\pm$17.7 months. During follow-up period, 13 patients died. Three-and 5-year survival of patients were 38.0% and 19.0%,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19.1$\pm$7.8 months. In the group with ipsilateral pulonary metastasis(PM, n=18), 3- and 5-year survival of patients with N0 and N1(n=9) disease were 64.8% and 32.4%, median survival time was 55.3$\pm$27.2 months. Three-year survival of patients with N2(n=9) disease was 11.1%, median survival time was 10.6$\pm$0.3 months. The survival of N0 and N1 disease group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N2 disease group(p=0.042). Also the disease free survival of N0 and N1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N2 disease in overall group(53.3 months vs 12.1 months, p=0.036) and ipsilateral PM group(63.4 months vs 8.8 months, p=0.001). Conclusion: We suggest that surgical treatment is worthful modality in well selected patients with stage IV NHSCLC especially with ipsilateral PM and N0 or N1 disease,. Nevertheless our study indicate questions that will need to be experienced further in larger studies.

  • PDF

전이성 폐암에 대한 외과적 치험 (Surgical treatment of Metastatic Lung Cancer)

  • 이종호;임용택;신용철;정승혁;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27-31
    • /
    • 1999
  • 배경: 최근 항암화학요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전이성폐암에 대한 예후는 불량하다. 이에비해 전이성폐암에 대한 외과적 요법후 좋은 결과를 보이는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전이성 폐암에 대한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원의 경우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3년부터 1997년까지 수술적 치료를 했던 17례를 분석하였고 Kaplan-Meier 방법으로 5년생존률을 구하였다. 결과: 평균연령은 42.8세였고 남녀비는 10:7이었다. 수술은 단일폐엽절제술이 8례, 전폐적출술이 3례, 부분절제술이 1례, 쌍폐엽절제술이 1례, 폐엽절제술 및 부분절제가 3례있었다. 술후 5명이 사망하였고 이중 재발로 인한 것은 3례였다. 나머지 12례의 환자들중 3명은 재발하여 현재 외래추적관찰중이며 9명은 재발없이 건강한 상태로 외래추적 관찰중에 있다. 술후 평균 생존기간은 40.5개월이었다. Kaplan-Meier 방법으로 구한 5년생존율은 60.4%였다. 결론: 앞으로 더많은 경험이 필요하지만 전이성폐암에 대해서 더 적극적인 수술적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자연기흉에 동반된 폐암의 수술치험 1예 (Lung Cancer Presenting as Spontaneous Pneumothorax)

  • 이승훈;안용찬;한정호;김진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535-538
    • /
    • 2003
  • 자발성기흉이 원발성 폐암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특히, 원발성 폐암의 초발 소견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더욱 드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폐암 환자의 증가 추세와 더불어 폐암에 동반된 자발성 기흉에 대한 논문이 드물게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의 폐암은 진행된 경우가 많아 페종양을 절제하게 되는 경우는 드물고 고식적 치료 즉 자발성 기흉의 페쇄성흉관삽관술, 항암요법, 방사선요법이 주가 되는 경우가 많다. 삼성서울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최근 단순한 자연 기흉의 진단하에 기포절제술과 늑막유착술을 시행한 후 검체의 조직학적 검사상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되어 즉시 근치적 절제술 및 방사선요법을 시행하였으나 6개월 내 국소 재발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환자의 추적관찰 후 상태와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동일 폐엽내 발생한 공동화 선암과 펀평세포암 (Cavitating Adenocarcinoma and Soluamous Cell Carcinoma in the Same Lobe of the Lung)

  • 유지훈;김관민;김진국;심영목;한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153-156
    • /
    • 2002
  • 동일 폐엽내 발생한 동시성 원발성 중복 폐암에 대한 보고는 드문 편이며 단일 병변으로 말초 폐실질에서 공동을 형성하는 선암 역시 드물게 보이고 있다. 본원에서 우상엽에 공동을 형성하는 선암과 동반된 우상엽 기관지를 침범하는 편평세포암 1례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64세 남자로 2개월 전부터 시작된 객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술전 전산화단층촬영상 우상엽 기관지를 막는 중심성 종괴 와 이로 인한 우상엽의 폐쇄성 폐렴 및 폐농양 소견을 보였으나 수술후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2.3cm크기의 편평세포암 과 중심성 괴사 (cental necrosis)를 동반하는 3 cm크기의 선암종으로 진단되었다. 수술후 환자 상태는 양호하였으며, 현재 외래추적관찰중이다.

Scalp metastasis from an adenocarcinoma of the lung mimicking a cystic mass: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Kim, Han Koo;Kang, Seung Hyun;Kim, Woo Seob;Kang, Shin Hyuk;Kim, Woo Ju;Kim, Hyeon Seok;Bae, Tae Hui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237-240
    • /
    • 2022
  • A 67-year-old man visited our plastic surgery clinic complaining of a palpable protruding mass (2.0×2.5 cm) in the right occipital region. To establish an appropriate treatment plan for the cystic mas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performed. A 2.2 cm nodular lesion with peripheral enhancement in the right occipital region of the scalp was confirmed. In addition, two rim-enhancing nodular lesions up to 9 mm with marked perilesional edema in the right frontal lobe were confirmed. The findings suggested metastasis from cancer. After further evaluations, a mass in the right lower lung field was identified as adenocarcinoma of the lung. Histological examination characterized the excised lesion as a cutaneous metastasis from lung adenocarcinoma. This case report shows that a cystic mass, which commonly occurs in the scalp, may indicate lung cancer. In particular, if a cystic mass of the scalp is identified in a person at high risk for lung cancer, appropriate evaluation and urgent treatment should be performed.

Nodular scalp mass as the first presentation of pulmonary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a case report

  • Hong Won Lee;Young Joong Hwang;Sung Gyun Jung;In Pyo Hong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40-243
    • /
    • 2023
  • Metastasis of lung cancer to the skin is uncommon, presenting in 0.22% to 12% of lung cancer patients, and it is extremely rare for skin metastasis to be the first clinical manifestation of lung cancer. In the few cases where skin metastasis has been reported as the first sign of lung cancer, the patients were typically heavy smokers or had preexisting respiratory diseases and symptoms. This prompted clinicians to consider skin metastasis of a pulmonary malignancy.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LCNEC) is a rare type of lung cancer that accounts for approximately 3% of lung cancers. LCNEC mainly metastasizes to visceral organs, such as the liver, bone, and brain, and it only shows metastasis to the skin in very rare cases. Herein,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a metastatic skin lesion as the first sign of primary pulmonary LCNEC, in a 63-year-old woman with no pulmonary symptoms or personal history of smoking or pulmonary disease.

완전 절제된 제IIIA기 비소세포폐암에서 Cyclin D1, p53, Bcl-2 단백질 발현의 의의 (Correlation between Cyclin D1, p53, Bcl-2 Protein Expression and Prognosis in Primary, Resected Stage IIIA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 정경영;양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200-1205
    • /
    • 1998
  • 연구목적: 폐암은 protooncogene의 활성화와 종양억제유전인자(tumor suppressor gene)의 비활성화 등 다단 과정에 의하여 발생한다. 치료목적의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던 제 IIIA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cyclin D1, p53, bcl-2 gene의 변이가 폐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1995년까지 연세의료원에서 치료목적의 완전절제가 가능하였던 stageIIIA 비소세포폐암 환자 100명의 paraffin block과 임상기록을 이용하였다. 각 환자의 조직절편을 labelled streptavidin-biotin method로 immunohistochemical 염색하였고 cyclin D1, p53, Bcl-2 immunostaining을 위한 조직절편들은 immunostaining하기 전 citrate buffer 내에서 10분에서 20분간 microwave oven으로 전처치한 후 cyclin D1은 NCL-cyclin D1-GM으로 p53는 lone DO-7으로 bcl-2는 clone 124로 overnight incubation하였다. 수술 후 평균 추적조사기간은 24.1 개월(range; 2∼84 개월)이었다. 결과: 100예의 폐암 중 56예가 편평상피세포암, 37예가 선암, 5예가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2예가 대세포암이었고 수술 후 5년 생존율은 32.1%이었다. cyclin D1의 양성율은 35 %, p53는 56 %, bcl-2는 17 %였으나 cyclin D1, p53, Bcl-2 단백질 양성 발현과 생존율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연구결과 cyclin D1, p53, Bcl-2 단백질 양성 발현이 비소세포폐암 발생기전과 연관되어 있으나 수술 후 예후인자로서는 부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피하전이를 일으킨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 (Pulmonary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Association with Subcutaneous Metastasis -Surgical experience of one case-)

  • 이해영;조성호;변정훈;김종인;박진경;천봉권;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25-1028
    • /
    • 2004
  •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은 조직학적으로는 혈관내피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이나 임상적으로는 전이와 재발을 보이는 매우 드문 악성종양 중의 하나이다. 무증상의 좌하엽 폐암으로 진단받은 29세의 남자에서 좌하엽 폐절제술, 좌상엽 페 쐐기 절제술, 횡격막 부분절제술을 시행하여 좌하엽 폐의 병변에서는 유상피 혈관내피종으로 확진되었으나 좌상엽 폐와 횡격막의 병변은 유상피 혈관내피종이 자연 관해되어 석회화만 남은 것으로 진단되었다. 술 후 10개월과 19개월 두 차례에 걸쳐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으로부터 피하 전이를 일으킨 환자를 수술 치험하였기에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