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ar eclips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ANALYSIS OF THE LUNAR ECLIPSE RECORDS FROM THE GORYEOSA

  • LEE, KI-WON;MIHN, BYEONG-HEE;AHN, YOUNG SOOK;AHN, SANG-HYEON
    • 천문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163-173
    • /
    • 2016
  • In this paper, we study the lunar eclipse records in the Goryeosa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an official history book of the Goryeo dynasty (A.D. 918 - 1392). In the history book, a total of 228 lunar eclipse accounts are recorded, covering the period from 1009 to 1392. However, we find that two accounts are duplications and four accounts correspond to no known lunar eclipses around the dates. For the remaining lunar eclipses, we calculate the magnitude and the time of the eclipse at different phases using the DE406 ephemeris. Of the 222 lunar eclipse accounts, we find that the minimum penumbral magnitude was 0.5583. For eclipses which occurred after midnight, we find that some accounts were recorded on the day before the eclipse, like the astronomical records of the Joseonwangjo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hile others were on the day of the lunar eclipse. We also find that four accounts show a difference in the Julian dates between this study and that of Ahn et al., even though it is assumed that the Goryeo court did not change the dates in the accounts for lunar eclipses that occurred after midnight. With regard to the contents of the lunar eclipse accounts, we confirm that the accounts recorded as total eclipses are accurate, except for two accounts. However, both eclipses were very close to the total eclipse. We also confirm that all predicted lunar eclipses did occur, although one eclipse happened two days after the predicted date.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this study is very helpful for investigating the lunar eclipse accounts of other periods in Korea, and furthermore, useful for verifying the calendar dates of the Goryeo dynasty.

다목적실용위성의 월식 현상 분석 (LUNAR ECLIPSE ANALYSIS FOR KOMPSAT)

  • 김응현;이상률;김학정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449-458
    • /
    • 1998
  • 다목적실용위성은 고도 685km의 태양동기궤도를 임무 궤도로 사용하며, 궤도 당 약 34~35분씩 지구에 의해 태양 빛이 가리는 식 현상과 비 주기적으로 달에 의한 월식 현상이 발생한다. 위성의 월식은 달이 태양과 위성 사이에 위치하여 위성에 도달하는 태양 빛을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가리는 것을 의미한다. 식 현상은 위성 체의 배터리 충전 및 방전 회수를 증가시키며 위성의 수명과 임무 및 운용에 영향을 준다. 다목적 실용위성은 주기적인 지구의 식 현상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나 월식이 일어나는 경우 위성 체의 에너지 균형과 배터리 방전에 대한 부수적인 효과와 함께 운용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의 임무 기간인 3년 동안 위성 운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월식 현상을 예측하고 이에 대비한 임무 계획을 제시하였다.

  • PDF

시험용 달 궤도선의 열설계 검증을 위한 궤도 열해석 (On-orbit Thermal Analysis for Verification of Thermal Design of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 장병관;이장준;현범석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12호
    • /
    • pp.1028-1036
    • /
    • 2018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달 탐사 프로젝트 1단계로 시험용 달 궤도선을 2020년 12월에 발사할 계획이다. 시험용 궤도선은 본 궤도선과 착륙선을 발사하기 이전에 미리 달 탐사 기술 확보 및 과학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발사된다. 본 논문은 궤도선의 열설계 검증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달 궤도선은 달의 많은 적외선 복사 때문에 지구 저궤도 위성보다 극한의 열 환경에 노출된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열설계를 하여 궤도선 탑재 장비들의 온도를 모든 궤도에서 허용온도 범위 내로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달 궤도선 열설계 검증에 필요한 지구-달 전이 궤도, 달 임무 궤도, 월식 기간에 대한 열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궤도선의 열설계가 설계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발사체를 이용한 달착륙선 발사시 전이 궤도 예비 임무 설계 (Preliminary Mission Design of Transfer Orbit of a Lunar Lander Launched by a Korean Space Launch Vehicle)

  • 송은정;이상일;최지영;선병찬;노웅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12호
    • /
    • pp.867-87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달착륙선이 국내 개발된 발사체 상단에 탑재되어 지구 저궤도에 투입되고, 이후 달 전이 궤도 투입 기동을 통해 달에 착륙할 경우에 대한 예비 임무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 직접 착륙 방식 및 간접 착륙 방식을 모두 적용해보았으며, 2030년 음력 10월에 발사할 경우 발사 일에 따른 전이 궤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기에 미국의 달착륙선 Surveyor-1과 같이 일식 조건, 태양 고도각 조건 및 추적 가능 시간대를 만족시키는 발사 일을 분석해 보았다. 직접 착륙 방식의 경우는 음력 10월중 4일, 간접 착륙 방식의 경우는 3일에 발사할 경우 근지점 이각과 일식 조건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발사일로 분석되었다.

TIMING RECORDS OF ANCIENT LUNAR ECLIPSES IN CHINA AND LONG-TERM VARIATION OF THE EARTH'S SPIN SPEED

  • RAN YANBEN;ZHANG PEIYU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439-440
    • /
    • 1996
  • The Chinese ancient accounts of timing observations of 48 lunar eclipses and the secular variation of the Earth's spin speed are discussed. A series of ${\Delta}$T expressing the secular deceleration of the Earth's rotation was obtained. The average increase rate of length of the day is about 1.5 milliseconds per century.

  • PDF

LUNAR ECLIPSE COMPUTATION IN INDIAN ASTRONOMY WITH SPECIAL REFERENCE TO SIDDHNTIC TEXTS

  • CHATTERJEE, SOMENATH
    • 천문학논총
    • /
    • 제30권2호
    • /
    • pp.713-714
    • /
    • 2015
  • Indian astronomical texts have records of lunar astronomy since the Puranic age. In the Vednga Jyotia (1350 B CE), the algorithm for computing eclipses is not found. This phenomenon was interpreted in the Siddhntic texts as the occurrence of Vyatipati Yoga.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computing and observational method found in astronomical texts of Siddhntic period.

직접 전이궤적을 이용한 한국형 달 궤도선 임무설계 및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Korean Lunar Orbiter Mission using Direct Transfer Trajectory)

  • 최수진;송영주;배종희;김은혁;주광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950-958
    • /
    • 2013
  • 달 궤도선은 한국형발사체(KSLV-II)에 실려 지구 저궤도에 투입된 후, 지상 안테나를 이용한 달 궤도선의 추적데이터 획득 및 궤도결정 과정을 거쳐 적절한 시점에서 TLI(Trans Lunar Injection) 엔진을 점화시켜야 한다. 본 논문은 달 궤도선을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하여 달 궤도에 진입하기까지 여러 단계로 나누고 발사 방위각 및 발사창 분석부터 TLI 및 LOI(Lunar Orbit Insertion) 분사 위치에 따른 속도증분(${\Delta}V$) 그리고 가시성 및 식 기간 분석까지 수행하여 직접 전이궤적의 전반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향후 달 임무 설계 시 관성비행 기간 및 전이기간에 따라 속도증분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 발사 시각 선정과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는 파라미터 선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창어 3호 개요 및 임무궤적 추정결과 분석 (Introduction to Chang'e-3 and Analysis of Estimated Mission Trajectory)

  • 최수진;이동헌;배종희;류동영;주광혁;심은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984-997
    • /
    • 2015
  • 달 착륙선과 탐사 로버로 구성된 창어 3호는 2013년 12월 1일 시창 위성 발사 센터에서 장정 3B 발사체를 이용하여 발사되었다. 약 5일의 직접 전이궤적을 지나 달 궤도에 진입한 창어 3호는 달의 공전궤도에서 약 8일간 머무르다가 달 표면에 성공적으로 착륙하였다. 창어 3호의 성공적인 착륙은 한국의 달 탐사선 개발이 예정된 상황에서 향후 필요한 서브시스템의 기술 등을 분석하고, 발사에서 달 착륙까지의 궤적 및 운영 시퀀스 등을 도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따라서 해외 언론에서 공지된 발사 현황을 바탕으로 창어 3호의 형상 및 전반적인 임무내용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경계조건을 이용하여 제어변수를 추정 및 수렴값을 도출하여 착륙선의 전반적인 궤적을 생성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교신 현황 및 식 현상을 분석하여 교신 및 전력충전이 양호함을 확인하였으며, 속도증분(${\Delta}V$)을 이용하여 비추력에 따른 착륙선의 여유 질량을 도출하였다.

Astronomical Phenomenon Records from Sukjong's Chunbang-Ilgi

  • Ki-Won Lee
    • 천문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5-89
    • /
    • 2023
  • We investigate the astronomical phenomenon records of Sukjong's Chunbang-Ilgi made by Sigangwon (Royal Educational Office of the Crown Prince) at which King Sukjong was the crown prince (i.e., 1667 January 24-1674 September 22). From the daily records of 2,799 days, we extract the astronomical records of 1,443 days and classify them into 14 categories. Then, we group the records of each category into five phenomena (Atmosphere, Eclipse, Daylight Appearance, Apparition, and Appulse) and compare them with the results of modern astronomical computations wherever possible. Except for Atmosphere group comprising records of meteorological events, such as solar halo, lunar halo, and unusual clouds, the significant findings in every other group are as follows: In Eclipse group, the solar eclipse that occurred on 1673 August 12 was unobservable in Korea, which is in contrast to the record of Joseonwangjo-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states that the sun was in eclipse around sunset time, as observed at Nam mountain. From the lunar eclipse records, we verify that the Joseon court did not change the date of the events observed after midnight. In Daylight Appearance group, we confirm that this phenomenon was observed during the daytime and not during twilight. We further suggest that if observation conditions are met, a celestial body brighter than -2.3 mag could be seen during the daytime with the naked-eye. In Apparition group, we find the possibilities that the Orionid meteor shower had influence on the meteor records and the seasonality on the aurora records. We also find that the Korean records in which the coma of comet C/1668 E1 was located below the horizon were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Finally, we find that the records of Appulse group generally agree with the results of modern calculations. The records of Beom (trespass in literal) and Sik (eating in literal) events show average angular separations of 1.2° and 1.0°, respectively. In conclusion, we believe this work helps study the astronomical records of other logs of Sigangwon, such as Sukjong's Chunbang-Ilgi.

Swarm Satellite Observations of the 21 August 2017 Solar Eclipse

  • Hussien, Fayrouz;Ghamry, Essam;Fathy, Adel;Mahrous, Salah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7권1호
    • /
    • pp.29-34
    • /
    • 2020
  • On 21 August 2017, during 16:49 UT and 20:02 UT period, a total solar eclipse started. The totality shadow occurred over the United States in time between ~17:15 UT and ~18:47 UT. When the solar radiation is blocked by the moon, observations of the ionospheric parameters will be important in the space weather community. Fortunately, during this eclipse, two Swarm satellites (A and C) flied at about 445 km through lunar penumbra at local noon of United States in the upper ionosphere. In this work,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olar eclipse on electron density, slant total electron content (STEC) and electron temperature using data from Swarm mission over United States. We use calibrated measurements of plasma density and electron temperature. Our results indicate that: (1) the electron density and STEC have a significant depletion associated with the eclipse; which could be due to dominance of dissociative recombination over photoionization caused by the reduction of ionizing extreme ultraviolet (EUV) radiation during the eclipse time (2) the electron temperature decreases, compared with a reference day, by up to ~150 K; which could be due to the decrease in photoelectron heating from reduced photoio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