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r body type

검색결과 795건 처리시간 0.034초

제주지역 직장어린이집 보육실의 겨울철 실내온열환경 실태 (Winter Indoor Thermal Environment Status of Nursery Rooms in Workplace Daycare Centers in Jeju Island)

  • 김봉애;고연숙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3권12호
    • /
    • pp.81-9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hermal environment status of nursery rooms in workplace daycare centers in Jeju and propose measures to improve their indoor physical thermal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the winter indoor physical environment of 51 nursery rooms in 11 workplace daycare centers and a psychological evaluation survey on the thermal environment of nursery rooms was conducted for 70 nursery teachers.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ver 11 days in January 2017.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average indoor temperature of the nursery rooms was $21.3^{\circ}C$($18.7-23.8^{\circ}C$) and the indoor temperatures of 47 nursery rooms (92.9%) were higher than the environmental hygiene management standard for domestic school facilities ($18-20^{\circ}C$).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was 33.9% (16.4-56.0%), and 37 nursery rooms (86.3%) showed a lower average relative humidity than the standard (40-70%). The average absolute humidity was $9.1g/m^3$ ($4.7-13.6g/m^3$), which was lower than the standard for preventing influenza ($10g/m^3$). When th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nursery rooms were compared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it was found that 85% or more of the 51 nursery rooms maintained appropriate indoor temperatures, but 40-50% of the nursery rooms maintained a low humidity condition. Therefore, they need to pay attention to maintaining the appropriate humidity of the nursery room to keep the children healthy. The average indoor temperature of the nursery rooms show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The indoor tempera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ve humidity: a higher indoor temperature resulted in lower relative humidity. Regarding the fluctuations in the average indoor temperature of the nursery rooms during the day, in daycare centers that used floor heating, the indoor temperature gradually increased form the morning to the afternoon and tended to decrease during lunch time and the morning and afternoon snack times, due to ventilation. The daycare centers that used both floor heating and ceiling-type air conditioners showed a higher indoor temperature and greater fluctuations in temperature compared to the daycare centers that used floor heating only. In the survey results, the average value of the whole body thermal sensation was 3.0 (neutral): 32 respondents (62.7%) answered, "Neutral", Which was the largest number, followed by 21 respondents (30%) who answered, "Slightly hot" and 17 respondents (24.2%) who answered, "Slightly cold." Twenty-nine respondents answered, "Slightly dry," which was the largest number, followed by 28 respondents (54.9%) who answered, "Neutral" and 10 respondents (19.6%) who answered, "Dry."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ho answered, "Slightly dry" or "Dry" was large at 39 (56.4%), which suggests the need fo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to prevent a low-humidity environment.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about the thermal environment of nursery rooms, as the indoor temperature increased, the relative humidity decreased. This suggests the effect of room temperature on the indoor relative humidity; however, frequent ventilations also greatly decrease the relative humidity. Therefore, the ventilation method and the usage of air conditioning systems need to be re-examined.

양전자방출단층촬영 시 갈색지방조직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ation of Brown Adipose Tissue in 18F-FDG PET/CT in National Cancer Center)

  • 유연욱;이충운;정재훈;김윤철;이동은;박소현;김태성
    • 핵의학기술
    • /
    • 제25권1호
    • /
    • pp.21-28
    • /
    • 2021
  • 갈색지방세포(Brown fat 또는 Brown Adipose Tissue, BAT)는 포도당 대사(glucose metabolism)와 비오한성 열생성(non-shivering thermogenesis)을 통하여 열을 발산하여 추위로부터 생명체를 보호한다. BAT의 활성화는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BMI) 등의 환자 내적 요인과 기온, 환경 등의 환자외적 요인에 의해 확률적으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후향적, 의무기록 관찰 연구를 진행하여 여러 인자들을 추출하고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BAT 활성화와 여러 인자 간에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2018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2년간 국립암센터에서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수집하여 총 9155명의 환자를 추출하고 중복 검사를 포함한 13442건의 환자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데이터의 의무기록에서는 BAT 발생여부, 성별, 검사당시 나이, 영상촬영날짜, 검사장소, 주사시간, 키, 체중, 혈당, 진단명이 나오도록 조건을 설정하였다. BAT 활성화가 PET/CT 촬영 시 환경(기온, 검사장소)과 환자의 상태(혈당, BMI, 암의 종류, 성별, 나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행한 후, P<0.1인 변수를 선택하여 BAT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다변량 회귀분석 모형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BAT 활성화는 전체 13442건 중 93건(0.7%)이 발생되었다. 단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 유의한 결과는, 50세 이상인 환자보다 50세 미만인 환자에게서(P<0.001), 여성이 남성에 비해서(P<0.001), 외부기온 14.5도 미만에서(P<0.001), 정상 BMI보다 낮은 BMI에서(P<0.001), 혈당이 100mg/dl 미만에서(P<0.001), 오후 12시 30분 이전에 주사를 맞은 환자에게서(P<0.001) BAT 활성화가 증가하였다. 반면, 정상보다 높은 BMI에서(P<0.001), 폐암진단을 받은 환자에게서(P<0.05) 감소하였다. 다변수 결과에서는, 50세 미만인 환자에게서(P<0.001), 여성에게서(P<0.001), 외부기온 14.5도 미만에서(P<0.001) BAT 활성화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정상보다 높은 BMI에서(P<0.05)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국립암센터에서 2년간 PET/CT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BAT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후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외부기온 14.5도 미만의 날씨에 PET/CT 검사를 시행했던 50대 미만의 정상 체중 여성에게서 BAT가 유의하게 활성화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해당 인자에 적용된 환자를 사전에 식별할 수 있으며, 앞으로 여러 연구를 통하여 BAT의 활성화를 줄이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Bulnesia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혈당 및 혈장 지질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lnesia sarmienti Ethanol Extract on Plasma Levels of Glucose and Lipid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박창호;김대익;신은지;이기동;김정옥;김길수;홍주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55-459
    • /
    • 2008
  • STZ 투여로 제 1형 당뇨를 유발시킨 다음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을 8주간 급여 후 혈당 및 혈중지질 변화를 알아보았다. 시험기간 동안 당뇨대조군 및 당뇨실험군의 체중증가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 급여가 당뇨실험군에서의 체중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분섭취량, 사료섭취량, 혈당 모두 정상군과 비교하여 당뇨대조군 및 당뇨실험군에서 8주 동안 유의적으로 높게 지속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할 때 당뇨대조군에서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적인 감소현상과 함께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 하였다. 특히,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인한 혈중 총 콜레스테롤 변화는 BE0 29.1%, BE1 26.1%, BE2 23.6%로 평균 26.2%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중 중성지방 변화는 BE0 55.6%, BE1 64.1%, BE2 68.4%로 평균 62.7%의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 투여의 농도 의존적 감소현상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지질 개선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는 제 1형 당뇨모델에서 8주 동안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하면서 혈당조절 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지질 성분인 triglycerides, 총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B. sarmienti 에탄올 추출물 투여가 고혈당을 중심으로한 지질대사 이상과 함께 많은 합병증 유발이 문제시 되고 있는 당뇨병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편백나무로 제작된 힐링 침대에서의 색체 자극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ress Reduction on Color Stimulus Using Healing Bed in Cypress Tree)

  • 신선혜;유미;오승용;김주리;송의선;문명철;임승택;박희준;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63-1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삼림욕을 즐기는 것과 같은 편안한 상태의 휴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편백나무를 이용하여 힐링 침대 시스템과 색체자극을 위한 LED 감성 모듈을 개발하였고, 8가지 조명과 3가지 색온도의 색체 자극에 따른 휴식이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피험자는 건강한 20대 성인 남여 7명(age $23.3{\pm}0.7yr$; height $165{\pm};10cm$ body mass $59{\pm}10kg$)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8가지 색상(red, orange, yellow, green, blue, indigo, violet, white)과 3가지 색온도(3,000K, 5,000K, 8,000K)에 따른 휴식 시 심박변이도, 피험자의 주관적 인지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심박변이도의 경우 한색계열인 green, blue, indigo의 조명과 3000K의 낮은 온도 조명이 부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심리적으로 안정되는 결과를 얻었으며, 피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인지시간의 결과 동일 시간을 자극받았을 지라도 green 색상과 3,000K 온도 자극 시 인지 시간이 가장 느렸으며, 감성어휘 평가에서는 orange 색상과 3,000K온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3,000K의 낮은 온도자극과 green 색상 자극 시 심리정 안정이 가장 높은 결과를 얻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작업 환경에 따른 조명 자극 시 피로도 회복과 뇌파 변화를 비교 분석 할 것이다.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서 알칼리 탄산염에 의한 Ni/MgO 촉매의 피독 (Poisoning of the Ni/MgO Catalyst by Alkali Carbonates in a DIR-MCFC)

  • 문형대;김준희;하흥용;임태훈;홍성안;이호인
    • 공업화학
    • /
    • 제10권5호
    • /
    • pp.754-760
    • /
    • 1999
  • 직접 내부개질형 MCFC용 촉매의 반응 전과 후의 특성분석을 ICP, BET, CHN, EDS, $H_2$ 화학흡착 분석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반응을 거치는 동안 탄산염 전해질의 구성 성분인 K와 Li가 촉매에 전달되고, 그 누적량은 단위전지 내의 위치에 따라 입구, 출구, 중간 순으로 감소하였다. 알칼리 전달량 증가에 따라 BET 표면적과 Ni 분산도가 감소하고 촉매 표면에 증착된 알칼리 탄산염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부터, 촉매 표면상에 존재하는 알칼리성분의 물리적 피복이 촉매 활성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SEM 분석 결과, 입구, 중간, 출구 순으로 알칼리 성분의 표면 피복율이 감소하였으나, 실제 메탄에 대한 수증기 개질반응의 촉매활성은 출구부분 촉매가 입구나 중간 부분 촉매보다 낮은 활성을 보임으로써, 알칼리 탄산염의 물리적 피복에 의한 활성감소 이외의 다른 화학적 피독 요인이 존재함을 예측하였고, 이를 FT-IR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키토산 가공에 의한 감성기능소재로서의 텐셀 혼방직물의 염색성 변화 (Changes in the Dyeing Property of Tencel Blended Fabrics as Susceptible Functional Fiber through Chitosan Finishing)

  • 박연희;강인숙;배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672-1681
    • /
    • 2007
  • 텐셀 혼방직물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새로운 관능기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캐티온화가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인체 친화성이 있고 공해를 유발하지 않으며 반응이 용이한 키토산을 처리하였으며, 이에 의한 캐티 온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음이온성 염료에 대한 염색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반응성 염료와의 염색성은 낮은 중성염의 농도에서도 키토산 처리 시료의 염색성이 우수하게 나타나 반응성 염료에 대한 염색 효율이 증대되었다. 이는 키토산의 아민기 도입으로 텐셀 혼방직물이 캐터온화되어 섬유에 치환된 친핵성기에 의해 반응성 염료에 대한 친화력이 향상됨으로서 중성이하의 조건에서도 염색성이 우수하게 나타난 것이다. 한편, 키토산 처리로 도입된 아민기의 작용으로 산성 염료와 친화력이 거의 없는 텐셀 혼방직물의 산성 염료에 대한 염색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키토산 처리로 인하여 텐셀 혼방직물은 반응성 염료와의 친화력이 더 좋아졌고, 텐셀 단일직물의 경우 산성 염료와의 친화력이 더 좋아졌으며, 산성 염료보다 반응성 염료로 염색시 세탁견뢰도가 더 우수하였다.

날개의 비틀림이 동체-날개 융합익형 무인전투기의 종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s of Wing Twist on Longitudinal Stability of BWB UCAV)

  • 반석현;이지형;김상욱;조진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9
    • /
    • 2018
  • 람다 날개 형태의 무인전투기는 동체-날개 융합익의 형태를 띄고 있어 일반적인 항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항력이 작고 레이더 반사 면적이 작아 우수한 스텔스 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앞전 후퇴각에 의해 생성되는 앞전 와류의 영향으로 특정 받음각에서 피칭모멘트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무미익 람다 날개 형상을 기반으로 한 UCAV 1303 모델을 사용하여 풍동시험과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풍속은 50 m/s, 받음각 범위는 $-4^{\circ}{\sim}28^{\circ}$ 으로 하였으며 전산해석 또한 실험 조건과 동일하게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UCAV의 날개 비틀림이 피칭모멘트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날개에 음의 비틀림 각을 적용하였을 때 날개 바깥쪽에서의 유동 박리가 지연되면서 Pitch-break가 발생하는 받음각이 증가하였고, 양의 비틀림 각을 적용하였을 때 Pitch-break가 발생하는 받음각이 감소하였지만 양항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남성에서 간 효소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Hepatic Enzymes in Metabolically Healthy Obese Men)

  • 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8-255
    • /
    • 2017
  •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metabolically healthy obese, MHO)은 대사적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으며, 과도한 체지방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감수성을 유지하는 비만의 표현형이다. 이 연구는 20세 이상 70세 이하의 남성을 대상으로 비만과 대사적 이상 유무에 따라 MHNO, MHO와 MAO군으로 분류하여 간 효소의 차이를 알아보고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남성에서 간 효소가 대사적 이상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인지 그 임상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 진단기준으로 대사적 이상을 평가하였으며, 비만 진단기준은 WHO에서 제시하는 아시아인의 기준을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최종 연구 대상자 9,683명 중 대사적으로 건강한 정상체중군(metabolically healthy non obese, MHNO) 2,878명,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군(metabolically healthy obese, MHO) 5,427명, 대사적으로 이상이 있는 비만군(metabolically abnormal obese, MAO) 1,378명 이었다. AST, ALT, GGT는 MAO군보다 MHO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나(각각 p<0.001), MHO군은 MHNO군보다는 간 효소치가 높게 나타났다(각각 p<0.001). 또한 간 효소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허리둘레,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C은 AST, ALT, GGT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남성에서 간 효소가 대사적 이상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인 것을 확인하였다.

A multi-institutional analysis of sternoclavicular joint coverage following osteomyelitis

  • Othman, Sammy;Elfanagely, Omar;Azoury, Said C.;Kozak, Geoffrey M.;Cunning, Jessica;Rios-Diaz, Arturo J.;Palvannan, Prashanth;Greaney, Patrick;Jenkins, Matthew P.;Jarrar, Doraid;Kovach, Stephen J.;Fischer, John P.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5호
    • /
    • pp.460-466
    • /
    • 2020
  • Background Sternoclavicular joint (SCJ) osteomyelitis is a rare pathology requiring urgent intervention. Several operative approaches have been described with conflicting reports. Here, we present a multi-institutional study utilizing multiple surgical pathways for SCJ reconstruction. Methods A multi-institutional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pair for sternoclavicular osteomyelitis between 2008 and 2019. Patients were stratified according to reconstruction approach: single-stage reconstruction with advancement flap and delayed-reconstruction with flap following initial debridement. Demographics, operative approach, type of reconstruction, and postoperative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Thirty-two patients were identified. Mean patient age was 56.2±13.8 years and 68.8% were male. The average body mass index (BMI) was 30.0±8.8 kg/㎡. The most common infection etiologies were intravenous drug use and bacteremia (both 25%). Fourteen patients (43.8%) underwent one-stage reconstruction and 18 (56.2%) underwent delayed two-staged reconstruction. Both single and delayed-stage groups had comparable rates of reinfection (7.1% vs. 11.1%, respectively), surgical site complications (21.4% vs. 27.8%), readmissions (7.1% vs. 16.6%), and reoperations (7.1% vs. 5.6%; all P>0.05). The single-stage reconstruc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BMI (26.2±5.7 kg/㎡ vs. 32.9±9.1 kg/㎡; P<0.05) and trended towards shorter hospital length of stay (11.3 days vs. 17.9 days; P=0.01). Conclusions Both single and delayed-stage approaches are appropriate methods with comparable outcomes for reconstruction for SCJ osteomyelitis. When clinically indicated, a single-stage reconstruction approach may be preferable in order to avoid a second operation as associated with the delayed phase, and possibly shortening total hospital length of stay.

Comparative Performance of Broilers Fed Diets Containing Processed Meals of BT, Parental Non-BT Line or Commercial Cotton Seeds

  • Elangovan, A.V.;Mandal, A.B.;Johri, T.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57-62
    • /
    • 2003
  • An effort was made to assess comparative production performance in broiler chickens fed diets containing solvent extracted cottonseed meal (CSM) processed from BT and Parental Non-BT lines. Processed meal of national check and commercial produce cottonseeds were also used for comparison. The free gossypol contents were 0.02, 0.02, 0.44 and 0.03% in meals of BT, Parental Non-BT, national check and commercial produce cottonseeds, respectively. Day-old broiler chicks (n=243) were divided to 27 groups of 9 each. Nine dietary treatments (iso-nitrogenous, 23% CP and iso-caloric, 2,800 kcal ME/kg) were formulated viz., D1 (control, soybean meal-SBM based), D2 and D3 (BT CSM at 10% of diet with and without additional iron), D4 and D5 (non-BT CSM with and without additional iron), D6 and D7 (national check CSM with or without additional iron), and D8 and D9 (commercial produce CSM with or without additional iron at 2 ppm for every 1 ppm of free gossypol, respectively). Each dietary treatment was offered to three replicated groups up to 6 weeks of age. At the end of 6 weeks of age, 10 birds were taken out randomly from each treatment and were sacrificed to study carcass traits, organs' yield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vital organs. The broiler chickens received CSM processed from BT (D2, 1,753 g and D3, 1,638 g) and Parental Non-BT (D4, 1,653 g and D5, 1,687 g) with or without additional Fe grew at same rate as observed in soybean meal (solvent ext.) based diet (D1, 1,676 g). The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efficiency (feed: gain) in these dietary treatments (BT, non-BT line based diets) also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05) from control diet. Similar observation was also observed in dietary treatments (D8 and D9) containing solvent extracted cottonseed meal of commercial produce origin. However, a decrease (p<0.05) in body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as observed in D6 containing national check CSM with high gossypol content. Addition of Fe in the diet (D7) improved (p<0.05) feed intake and weight gain but not to the extent as observed in diets containing BT, parental non-BT, and commercial produce CSM or control. However, any type of CSM did not affect feed conversion efficiency when fed with or without additional ir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dressing percentage, liver weight and heart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s. The eviscerated yields emanated from diets containing either BT, non-BT or commercial produce were statistically similar to control. However, eviscerated yield of broilers fed national check CSM with or without iron supplementation was lower (p<0.05) than BT cotton with Fe supplementation and commercial produce CSM. The study envisaged that BT, parental non-BT and commercial produce solvent extracted cottonseed meal can be included at 10% in soybean meal based broiler diet replacing soybean meal and rice bran without additional ir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