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r abdominal

검색결과 840건 처리시간 0.037초

육계 사료 내 엄나무 잎 분말 첨가 급여가 육계의 혈액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Leaf Powder on Blood Characteristics of Chicken)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3-329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량에 따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도체 특성 및 혈액 성상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잎 분말 0.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잎 분말 2.0%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생산성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고, 폐사율은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낮아졌으며, 엄나무 잎 급여량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계육의 일반성분은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증가하였고(T3),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도체 특성 중도체중, 도체율, 간의 무게 및 비장 무게는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복강지방은 엄나무 잎 분말의 급여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으로 T3에서 유의적으로 무거웠다(P<0.05). 육계의 혈액 성상 중 HDL-cholesterol과 glucose는 엄나무 급여구에서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낮아지는 결과이었다(P<0.05). 이러한 경향은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부터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잎 분말을 1% 이상 급여하면(T2) 육계의 폐사율이 낮아지고,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이감소하며, HDL-cholesterol이 증가함으로 혈액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개의 난소자궁적출술에 있어서 티타늄클립의 두 가지 적용방법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Two Techniques on Titanium Clip Application for Ovariohysterectomy in Bitches)

  • 박진석;강현구;김일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66-57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난소자궁적출술에 있어서 티타늄(titanium) 클립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평가하고, 난소혈관과 난소걸이인대의 두 가지 결찰법을 비교하여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술법을 찾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6마리의 암컷 비글견이 사용되었으며, 세 마리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난소걸이인대와 난소혈관을 함께 결찰 하였고, 나머지 한 그룹은 난소걸이인대를 결찰하지 않고 난소혈관만 결찰 하였다. 두 수술법을 비교하기 위해서 매달 1회씩 1년 동안 복강 X-ray 검사를 통해 적용된 클립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였고, 적용된 클립에 의한 염증반응 유무는 혈액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X-ray 검사 상에서 두 그룹의 클립 위치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혈액 검사에서도 거의 모든 수치들이 정상범위에 있었고, 염증과 관련된 임상증상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부검을 통한 두 그룹의 클립 포매 형태를 관찰한 결과 난소걸이인대를 결찰한 클립은 복강의 얇은 막으로 두껍게 싸여서 신장 후연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난소걸이인대를 결찰하지 않은 클립은 얇게 둘러싸인 막 표면에 위치하여 신장의 아래쪽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난소걸이인대가 클립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티타늄 클립을 적용하는 난소자궁적출술에서 난소걸이인대를 함께 결찰하는 방법이 합병증 예방에 있어서 보다 적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외상성 흉부대동맥 파열 수술 (Surgical Treatment of Traumatic Rupture of Thoracic Aorta)

  • 함시영;주석중;송현;이재원;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9호
    • /
    • pp.774-780
    • /
    • 2004
  • 외상성 흉부대동맥 파열은 수술적 치료가 요구되는 치명적 손상이며 이외에 다른 부위에 복합손상이 동반되면 심폐 바이패스에 의한 위험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저자들은 심한 동반손상을 먼저 치료한 후 대동맥수술을 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외상성 흉부 대동맥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동반손상 여부, 수술방법, 수술 후 경과, 합병증 등을 분석하고 국내외 문헌들과 비교하였다. 수술은 초저온 심정지법하에서 심폐 바이패스를 이용한 개흉술로 하였는데 근위부 연결 후 곁가지를 통해 뇌관류를 시행하였고 요추 카테터를 통한 뇌척수액 배액으로 하반신 마비를 예방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전원에서 83예의 동반손상이 발생하였는데, 흉부손상이 49예, 근골격계 손상 18예, 복부 손상 13예였고, 수상 후 12명의 환자에서 7.6$\pm$12.6일에 16예의 동반손상에 대한 수술이 행해졌다. 수상당시 18예에서만 대동맥 손상이 진단되었다. 중환자실에서 혈압을 약물투여로 조절하면서 안정시키고 수상 후 693 $\pm$ 1350일에 지연수술을 시행하였는데, 관찰기간 중 사망이나 대동맥 파열의 진행은 없었다. 수술 사망은 없었으며, 술 후 큰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외상성 흉부대동맥 파열에 있어서 다른 부위 손상이 동반되면 심한 동반손상을 먼저 치료한 후 수술하는 것이 수술 사망률이나 이병률 면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대장 조영검사에 대한 교육 및 검사정보 제공이 환자의 불안, 불편감, 검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ducation and Test Information Provision on Anxiety, Discomfort, and Satisfaction of Patients During Double Contrast Barium Enema)

  • 이규흠;이진용;이무식;배석환;조범상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2호
    • /
    • pp.117-122
    • /
    • 2011
  • 대장 조영검사를 받는 환자에 대한 교육 및 검사정보 제공이 환자의 불안, 불편감, 검사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연구로 설계하였으며, 2010년 10월부터 4주 동안 서울에 있는 한 종합병원의 영상의학과 외래로 대장 조영술을 받기 위해 내원한 전체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1주, 3주에 내원한 환자 25명을 실험군으로 2주, 4주에 내원한 환자 25명을 대조군으로 삼았다. 실험군에 대해서만 대장 조영술 검사에 대한 교육 및 검사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실험군 및 대조군 모두 대장 조영검사 전후의 상태불안정도, 검사 중 불편감, 검사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검사 직전에 측정한 상태불안 점수는 실험군 3.76점, 대조군 6.04점으로 대조군이 2.28점 정도 더 불안한 상태를 보였고, 대장 조영검사 이후에 추가로 실시한 상태불안 점수도 실험군은 3.92점이었던 반면 대조군은 5.68점으로 대조군이 1.76점 가량 더 불안한 상태를 보였다(P < 0.05). 실험군 환자들이 검사 중에 느끼는 복부통증과 항문통증의 정도도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마지막으로 검사 만족도는 실험군이 89.6점이었고 대조군은 67.4점으로 실험군의 만족도가 약 22점 정도 높았다(P < 0.01). 대장 조영검사에 대한 교육과 사전 정보제공이 환자의 불안과 불편감을 감소시켰고 검사 만족도는 증가시켰다.

육계의 성장능력 향상을 위한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의 적정 첨가수준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al Added-Levels of Inuloprebiotics for Promotion of Growing Performance in Broiler Chickens)

  • 박병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84-692
    • /
    • 2011
  • 본 연구는 브로일러의 성장능력을 촉진하기 위한 사료 내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의 적정 첨가수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부화 당일 로스계통(Ross 308)의 브로일러 수컷 320수를 4개의 처리구로 완전임의배치하여 35일 동안 사육하였다. 실험처리구는 대조구(무첨가구), 항생제 첨가구(avilamycin 8 ppm),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200 ppm 첨가구 및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250 ppm 첨가구로 구분하였다. 브로일러의 체중과 사료섭취량은 두개의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가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 보다도 높았고, 항생제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전체 실험기간 동안 사료요구율은 대조구가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높았으나 항생제 첨가구와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도체중, 도체율, 가슴살, 다리살의 무게는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가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고,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200 ppm, 250 ppm 첨가구 사이의 차이는 없었으나 항생제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 복강지방은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가 유의하게 감소(19.08~23.30%)하였으며 혈액 면역물질과 흉선, F낭의 무게는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가 대조구와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장내 유익한 Bifidobacteria와 Lactobacillu는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가 대조구와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유해한 E. coli와 Salmonella는 그 반대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본 연구는 브로일러의 성장능력 향상을 위한 사료 내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의 적정 첨가수준은 200 ppm에서 결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자전거 사고로 입원한 환자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In-Patients Who were Admitted due to Bicycle Related Injuries)

  • 이동훈;김병국;윤형구;신동은;이인성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8-64
    • /
    • 2010
  • 목적: 최근 교통 수단 및 레저 수단으로써 자전거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자전거 관련 수상 환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저자들은 자전거 사고로 인해 입원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사고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08년 01월 01일부터 2009년 05월 31일까지 자전거 주행중 사고로 인해 본원에 입원한 75명의 환자 중 추시 가능하였던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54명 및 여자 17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36.7세였다. 수상 정도, 수상 부위, 수상 기전, 수상 장소, 자전거 종류, 자전거 이용 목적, 동반 탑승 혹은 화물 적재 여부, 계절 그리고 보호구 착용 여부 등을 Injury Severity Score( I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Injury Severity Score 는 1점이 11례, 4점이 41례, 5점이 2례, 9점이 13례, 13점이 1례,16점이 2례 및 29점이 1례였다. 상지 및 하지의 골절 46례중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였던 환자는 36례였고, 이는 전체 환자의 50.7 %였으며, 척추체 골절, 안면부 손상 및 복부장기 손상으로 인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각각 2례,8례 및 1례였다. 두부 손상은 전체 10례였는데, 이중 중환자실 치료를 필요로 할 정도로 심각한 손상은 3례로 전체 환자의 4.2%였다. 결론: 자전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전거 전용 도로 확충, 안전 교육 및 헬멧을 포함한 상지 및 하지 보호대 착용 등의 사고 예방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늑골 골수염에 동반된 흉벽 천공성 농흉 1례 (Tuberculous Empyema Necessitatis with Osteomyelitis, a Rare Case in the 21st Century)

  • 김한울;임고운;조혜경;이현주;원태희;박경운;김경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80-84
    • /
    • 2011
  • 흉벽 천공성 농흉(Empyema necessitatis)은 농흉이 흉막 외의 공간으로 확장되어 나간 것을 말한다. 결핵성 흉벽 천공성 농흉은 결핵의 드문 합병증으로서 특히 소아에서는 더욱 드물다. 본 저자들은 결핵에 노출된 병력이 없던 21개월 남자아이에서 7번째 늑골의 골수염에 동반된 결핵성 흉벽천공성 농흉을 경험하여 이에 대해 보고한다. 우리는 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조직을 이용한 PCR 및 분자생물학적 검사에서 M. tuberculosis complex를 확인하여 항결핵제를 이용해 합병증 없이 치료하였다.

제주도 넙치 양식현장에서 배합사료 성장 평가 (Evaluation of extruded pellet for growth performanc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farm field)

  • 김강웅;강용진;김경덕;손맹현;최세민;배승철;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04-60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xtruded pellet (EP) diet compared with a raw fish moist pellet (MP) diet fo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n field feeding experiments in Jeju area. The experimental EP diet (juvenile, growing and adult) was prepared based on the former studies on nutrient requirements and feed ingredient of flounder. Fish were distributed randomly to each aquarium as a group of 102,300 fish (initial mean weight 97 g) in field experiment I and reared randomly to each aquarium as a group of 40,000 fish (initial mean weight 120 g) in field experiment II. In field feeding experiment I conducted in commercial flounder farm, survival, wt. gain (94-1,090 g), feed efficiency and condition factor of fish fed experimental EP were comparable to those of fish fed MP, but considerably higher protein efficiency ratio were observed in fish fed experimental EP. In field feeding experiment II,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inal mean weight of fish fed the experimental EP (1,234 g) and MP (1,286 g), and any noticeable problem caused by feeding the experimental EP was not found during the whole period of feeding trial. Survival of fish fed the experimental EP was lower than that of M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efficiency between the fish fed experimental EP and MP. Therefor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diet EP could be developed to replace MP diet for the marketable size (1.3 kg) of production for flounder without advers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In particular, abdominal dropsy and reduction of condition factor, which are frequently occurred in commercial EP feeding farms, were not observed in flounder fed experimental EP.

일부 도시지역에 있어서 중, 고교생의 월경에 관한 조사연구 (Survey on Menstruation of Middle & High School Girls in an Urban Area)

  • 김명엽;강현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3-72
    • /
    • 1971
  • The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detailed survey of 1,285 students experiencing menstruation, who were chosen among 1,717 students in middle & high school girl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uly 20-July 24, 1971. 1. Age of Menarche An average age of menarche was 13.3$\pm$1.07. The earliest age of menarche was 9 and the latest age 18. Ages of menarche were between 12 and 14 in 84.3 percent of the students surveyed. a. By present age distribution, the aged students were lower, than younger students in the average age of menarche. b. By father′s educational levels,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graduated from high schools, college & ever the earliest average age of menarche was found with 13.2, and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graduated from primary schools that wag latest with 13.6. c. By father′s occupations,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om engaged in "workers not classifiable"the earliest age of menarche was found with 12.5$\pm$0.27,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in "service business"the second was 12.9$\pm$1.07, and among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in "miners, quarrymen and related workers"that was latest with 13.8$\pm$1.14. d. By economic status, among the students of "wealthy"families the age of menarche was 13.1$\pm$0.25, the among the students of "ordinary"families the lags of menarche 13.3$\pm$1.06. and the among the students of "poor" families that was 13.8$\pm$0.31. e. By home discipline, among the students being treated "rigid" the age of menarche was 13.5$\pm$1.13, among the students being treated "moderate"the age of menarche was 13.3$\pm$0.22, and those being treated "indifferent" that was 13.0$\pm$0.26. f. By students physical condition, among the students of "good" condition the average of menarche was 13.3$\pm$0.16, and among the students "poor" that was 13.5$\pm$0.31. 2. Menstruation a. For the six months after the average of menarche 39.0 percent of the students had normal menstruations, and 61.3 percent of them had abnormal ones. Of the students with abnormal menstruation 21.7 percent had abnormal menstruation from time to time, 25.4 percent had no menstruation for one month to three months, 7.2 percent had menstruation for four to six months and 6.7 per cent had no menstruation for more than sin months. Most students became to have normal menstruations a few months later the age of menarche. b. At the time interviewed, the percentile of cycle of menstruation as following: 23 days types: 46.8 percent 30 days types: 40.6 percent others : 12.6 percent The average cycle of menstruation was every 28.9 days. c. The average duration of menstruation is 4.69 days. d. The subjective symptoms during menstruation period: Out of the total 89.7 per cent had some pains, while 10.3 percent had no symptom. Among the symptoms, abdominal pain occupied 29.9 percent, neurotic symptoms 19.0 percent and lumbago 15.1 percent. e. By attitude or Action at first physical change, "Treated it by own experience" : 30.0 percent "Don′t know what to do because of ignorance" : 20.1 percent "Asked others about it" : 43.0 percent

  • PDF

고(高)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발된 흰쥐 동맥경화에 Magnolia obovata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gnolia Obovata Water-extracts on the Atherosclerosis Treated with High-cholesterol Diet in Rat)

  • 나선택;이용양;김영환;양영이;정현정;김재은;박원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055-1062
    • /
    • 2009
  • Magnolia obovata exhibit several beneficial effects including anti-oxidant effects. Magnolia obovata is used as a therapeutic agent to stop hemorrhages and a tonic to promoted health in Korean and Chinese medicine. The pharmacokinetic profiles of the main Magnolia obovata is still not accurately investigated. In present study, I examined the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Magnolia obovata on atherosclerosis induced high cholesterol diet in rats in serum and abdominal aorta. A total of 3-week old 9 male rats of Sprague-Dawl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fed with the basal diet (normal group), high cholesterol diet (atherosclerosis induced group) for 8 weeks, high cholesterol diet supplemented with water extracts of Magnolia obovata (Magnolia obovata group) for 2 weeks. And rats were sacrificed, serum lipid level, abodominal aortic anti-oxidant activities and lipid peroxide were measur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s concentration significantly lower in Magnolia obovata group than high cholesterol diet group. But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in Magnolia obovata group than high cholesterol diet group. In conclusion, Magnolia obovata controls of lipid level of hyperlipid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thus suppresses the proliferation of intima in endothelial cells, which is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induced high cholesterol diet in rats. I consider as Magnolia obovata is worth to using as atherosclerosis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