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latitude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5초

CCD SNAPSHOTS OF FIELDS IN A STUDY OF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TARS

  • CHEN ALFRED B.;TSAY WEAN-SHUN;LU PHILLIP K.;SMITH ALLYN;MENDEZ RENE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123-124
    • /
    • 1996
  • Snapshots of eight SA and standard fields from low to high galactic latitudes were made using the KPNO 0.9m 2K $\times$ 2K CCD with a limiting magnitude from 19 to 2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tars with respect to Galactic latitude and z-distance in comparison with the model simulation between intermediate population to the 'thick disk' component of scale height of a few kpc. Comparison of the preliminary results between observed and model simulation for 3 of the S fields shows good agreement both in V-mag and B- V color distributions. A bimodal distribution in B- V at high galactic latitude seems to be represented by a halo and 'thick disk' dwarf in the blue and by a normal disk dwarf population in the red.

  • PDF

KOMPSAT-I으로 관측한 저위도 이온층 밀도 급상승 현상에 대한 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ABRUPT DENSITY ENHANCEMENT IN LOW LATITUDE REGION DETECTED BY KOMPSAT-I)

  • 박재홍;이재진;이은상;민경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53-62
    • /
    • 2003
  • SPS(Space Physics Sensor)는 1999년 발사된 다목적 실용 위성 1호(KOMPSAT-I)에 실린 관측 장비로서, 태양 활동 극대기인 2000년 6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지구 이온층에 관한 자료를 지구로 전송하였다. 이 자료 중 때때로 저위도 지역에서 급격한 플라즈마 밀도 증가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통계적 분포를 살펴본 결과, 지구 자기장이 약한 대서양 지역과 하와이 지역에서 발생 확률이 가장 높으며, 지자기 활동성 지수인 Dst나 태양 활동성을 나타내는 F10.7지수와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도 증가 지역 내의 전자 온도 변화는 개별 사건마다 증가, 유지, 또는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온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가 지배적이었다.

항공승무원의 우주방사선 피폭 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Cosmic Radiation Exposure by Flight Crew)

  • 안희복;김규왕;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adiation dose data of the space crew of the flight crew and to present a plan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the flight crew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analysis show that the average exposure dose of the flight attendants continued to rise, and the exposure dose of the flight attendants was five(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radiation workers. As a way to reduce the effects of cosmic radiation, this paper suggests appropriate personnel allocation by model, balanced allocation of high and low latitude routes by crew according to the aircraft type, and a low altitude flight plan for high latitude flight. This study will help aviation crew members understand cosmic radiation and trust in the company's polici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nhance the flight safety of the crew by deriving meaningful results by analyzing data related to cosmic radiation of various routes.

농축산(農畜産) 폐기물(廢棄物) 처리(處理)를 위(爲)한 저온내성(低溫耐性) 메탄 생성균(生成菌)의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저온내성(低溫耐性) Clostridia 의 분리(分離) (Study on Low Temperature Tolerant Methane-Producing Bacteria for the Treatment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Wastes)

  • 정광용;김재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1-320
    • /
    • 1994
  • 농축산(農畜産) 폐기물(廢棄物)의 혐기적(嫌氣的) 처리공정(處理工程)에 적용하기 위하여 아한대(亞寒帶) 지역(地域)으로 부터 분리(分離)한 clostridia의 생화학적(生化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Cellulose 배지로 저온(低溫)에 집적배양(培養)한 결과 $CH_4$ 생성이 왕성(旺盛) 하였던 늪지 퇴적물(堆積物)(Canada, $56.9^{\circ}N$), 호수퇴적물(堆積物) Ⅳ(Canada, $55.0^{\circ}N$) 그리고 갯벌흙 Ⅱ(Korea, $37.0^{\circ}N$)에서 산생성능(酸生成能)이 우수하고 동시에 메탄을 생성하는 Clostridia, 즉 Clostridium botulinum SRC-64, Clostridium scatologens SRC-91 및 Clostridium tyrobutyricum SRC-100 을 각각 분리(分離)하였다. 분리(分離)된 clostridia 3균주(菌株)의 최적(最適) 생육온도(生育溫度)는 $37^{\circ}C$이었고 최저(最低) 생육온도(生育溫度)는 $10^{\circ}C$ 정도 이었으며, 그리고 이들 균주(菌株)는 특이적 메탄 생성균(生成菌)의 조효소(組酵素)인 $F_{420}$을 함유 하였다. 2. 포도당의 혐기분해(嫌氣分解) 생성물(生成物)로서 SRC-64 는 $H_2$, acetic, isovaleric, caproic acid 를 생성(生成)하였으며, SRC-91 은 $H_2$, propionic, butyric, valeric, caproic acid 를, SRC-100 은 acetic 과 propionic acid 를 주로 생성(生成) 하였다. 또한 3 균주(菌株) 모두 $13^{\circ}C$, 2 일(日) 배양조건(培養條件)에서 2.6-8.68 n moles/ml 범위(範圍)의 $CH_4$ 생성능력(生成能力)을 나타냈다.

  • PDF

극지 해양환경 관측 및 고위도 해색 검보정을 위한 초분광 HyperSAS 자료구축 (HyperSAS Data for Polar Ocean Environments Observation and Ocean Color Validation)

  • 이성재;김현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2호
    • /
    • pp.1203-1213
    • /
    • 2018
  • 북극해 및 남극해는 접근이 어려운 지역으로 해양환경 모니터링을 위해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한 관측이 효과적이다. 원격탐사 플랫폼인 인공위성, 무인기와 선박 등에 관측센서를 장착하여 연구지역의 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있지만 극지역의 다양한 환경에서는 시계열자료 및 광범위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특히 고위도 지역에서는 낮은 태양고도의 영향으로 광학원격탐사를 적용하기는 쉽지않다. 본 논문에서는 2010년도 부터 극지연구소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에 초분광계 HyperSAS(Satlantic inc.)를 설치하여 연구항해 및 이동항해 동안 해수의 분광학적 정보를 연속적으로 획득하고, 극지 해색 원격탐사자료 성능개선을 위해 현장에서 해수샘플을 채수하며 수행하고 있는 연구를 소개한다. 해수 상부의 반사도와 현장 해수샘플링은 2010년부터 연속적으로 획득하고 있어 동일 지역에 대한 반사도의 시계열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고위도에서부터 저위도까지 연속적으로 관측하여 위도별 반사도 값의 연속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취득한 자료는 극지역에서 남극해, 북극해 해수의 반사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해하고, 반사도를 통한 엽록소, 부유물질 등의 다양한 인자를 추정하는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될 것이다.

우주선 세기 일변화 최대 및 최소 지방시 (LOCAL TIMES OF GALACTIC COSMIC RAY INTENSITY MAXIMUM AND MINIMUM IN THE DIURNAL VARIATION)

  • 오수연;이유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2호
    • /
    • pp.117-126
    • /
    • 2006
  • 지상에서 우주선 측정기(NM, Neutron Monitor)로 관측되는 우주선 세기의 일변화는 일평균 값의 $1{\sim}2%$ 정도의 진폭을 갖는 사인곡선의 형태를 보인다. 본 연구는 NM 관측소에서 우주선 일변화의 최대 및 최소 세기가 관측되는 지방시 변화의 통계적 경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주선 일변화 최대 및 최소 세기 시각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우주선 중성자 관측소의 위치(cut-off rigidity)와 태양활동도의 영향을 분석해 보기 위해서 저위도 지방의 Haleakala(위도: 20.72N, cut-off rigidity: 12.91Gev)와 고위도 지방의 Oulu(위도: 65.05N, cut-off rigidity: 0.81Gev) 우주선 중성자 관측소의 1996년(태양활동 극소기) 및 2000년(태양활동 극대기) 우주선 관측 자료를 분석하였다. 태양활동 극대기의 우주선 일변화 최대 및 최소 세기 시각은 태양활동 극소기에 비해 약 $2{\sim}3$시간 정도 늦은 시각에 나타난다. 우주선 중성자 관측소의 위치 즉 위도별 분포(rigidity의 크기)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면, cut-off. rigidity가 Haleakala보다 작은 Oulu에서 우주선 일변화 최대 및 최소 세기 시각이 약 $2{\sim}3$시간 정도 늦게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은 극대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태양활동에 따른 행성간 자기장 세기의 변화와 위도에 따른 cut-off rigidity의 크기에 따라 우주선 세기 일변화 위상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THEMIS Pi2 observations near dawn and dusk sectors in the inner magnetosphere

  • Kwon, Hyuck-Jin;Kim, Khan-Hyuk;Lee, Dong-Hun;Takahashi, K.;Park, Young-Deuk;Bonnell, J.W.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10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9권1호
    • /
    • pp.40.3-40.3
    • /
    • 2010
  • The most frequently suggested source for Pi2 pulsations in the inner magnetosphere (L < 4) is standing fast-mode waves trapped in the plasmasphere (i.e., plasmaspheric resonances). They have been considered as the source of low-latitude Pi2 pulsations. The plasmaspheric resonance model suggests that compressional fast-mode waves can be detected at all local times inside the plasmasphere provided reflection of the wave energy is efficient. Until now, however, there are no reports about compressional Pi2s observed in the dayside inner magnetosphere. That is, there is longitudinal limit of inner magnetosphere. In February 2008, THEMIS probes were near dawn and/or dusk sides, which are the transition regions between the nightside and dayside, in the inner magnetosphere (L = 2-4) when low-altitude Pi2s were identified at Bohyun (L = 1.35) station in Korea. Using the THEMIS electric field data, we examined if Pi2s are excited by longitudinally localized disturbances. We found that compressional Pi2s having high coherence with a low-latitude Pi2 pulsation occur on dawnside. However, any compressional pulsations in the Pi2 frequency band were not detected on duskside. This indicates that compressional Pi2s disappear near the duskside. Our observations are discussed with spatial plasmaspheric structure and possible Pi2 mechanisms.

  • PDF

중·저위도 지구 전리권 현상 및 연구 현황 (Mid- and Low-Latitude Earth Ionospheric Phenomena and Current Status of Research )

  • 김어진;김기남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3권3호
    • /
    • pp.239-256
    • /
    • 2023
  • 지구 전리권은 고층대기의 일부가 이온화되어 전파에 영향을 주는 플라즈마 상태로 존재하는 영역으로 통신과 관련하여 실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오랜 기간 연구되어온 분야이다. 고도에 따라 전자밀도를 이루는 주된 이온에 따라 D-층, E-층, F-층으로 구분되며, 전자 밀도에 비해 중성대기 밀도가 매우 커서 그 영향을 고려한 플라즈마로 기술되어야 한다. 또한 태양에서 시작되어 지표면에 이르는 영역까지 전리권 외부의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영역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영역의 연구가 연관되는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구 고층대기가 이온화되어 전리권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중·저위도 전리권의 특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전리권과 관련하여 국내 연구자들이 참여한 연구를 소개하고 향후 전리권 연구 분야의 교류 활성화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