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latency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24초

인피니밴드 네트웍에서 RDMA 기반의 저장장치 서비스 프로토콜개발 (Implementation of Storage Service Protocol on Infiniband based Network)

  • 전기만;박창원;김영환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7-81
    • /
    • 2006
  • Because of the rapid increasing of network user, there are some problems to tolerate the network overhead. Recently, the research and technology of the user-level for high performance and low latency than TCP/IP which relied upon the kernel for processing the messages. For example, there is an Infiniband technology. The Infiniband Trade Association (IBTA) has been proposed as an industry standard for both communication between processing node and I/O devices and for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It replaces the traditional bus-based interconnect with a switch-based network for connecting processing node and I/O devices. Also Infiniband uses RDMA (Remote DMA) for low latency of CPU and OS to communicate between Remote nodes.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SRP (SCSI RDMA Protocol) which is Storage Access Protocol on Infiniband network. And will compare to FC (Fibre Channle) based I-SCSI (Internet SCSI) that it is used to access storage on Etherent Fabric.

  • PDF

Reservation based Resource Management for SDN-based UE Cloud

  • Sun, Guolin;Kefyalew, Dawit;Liu, Guis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12호
    • /
    • pp.5174-5190
    • /
    • 2016
  • Recent years have witnessed an explosive growth of mobile devices, mobile cloud computing services offered by these devices and the remote clouds behind them. In this paper, we noticed ultra-low latency service, as a type of mobile cloud computing service, requires extremely short delay constraints. Hence, such delay-sensitive applications should be satisfied with strong QoS guarantee. Existing solutions regarding this problem have poor performance in terms of throughpu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d-to-end bandwidth resource reservation via software defined scheduling inspired by the famous SDN framework.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e end-to-end resource reservation and flow scheduling algorithm, which always gives priority to delay sensitive flows. Simulation results confirm the advantage of the proposed solution, which improves the average throughput of ultra-low latency flows.

이동통신기반 Industrial IoT 기술 동향 (Technical Trend and Challenging Issues for Cellular-Based Industrial IoT)

  • 김원익;김은아;고영조;송재수;윤찬호;문성현;김철순;백승권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3권5호
    • /
    • pp.51-63
    • /
    • 2018
  • Mobile cellular technology is evolving to accommodate a variety of vertical services, expanding the application from human-to-human communication to the Internet of Things(IoT). In particula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ing in a new vision in future smart factory, necessitates a new paradigm shift in wireless communication. Low latency and high reliability is a key issue in wireless applications for industrial IoT such as factory automation. In this paper, we review the recent progress in 5G URLLC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and discuss use cases, requirements, challenging technical issues, and potential solutions to support wireless factory automation such as discrete automation and process automation.

5G 모바일 네트워크의 Industrial IoT 표준기술 동향 (Industrial IoT Standardization Trend of the 5G Mobile Network)

  • 김경수;강유화;김창기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6권6호
    • /
    • pp.13-24
    • /
    • 2021
  • Industrial networks has been developing various technologies from fieldbus technology to industrial Ethernet and time-sensitive networking. The industry expects that the 5G mobile network will solve the diverse and highly specific industrial site requirements. Accordingly, 3GPP has been developing standard functions to provide ultra-high reliability, ultra-high speed, ultra-connection, and ultra-low latency services, and 3GPP Rel-16 began developing ultra-low latency and ultra-high reliability communication functions for 5G mobile networks to support vertical industries. In this paper, we show the related standardization trends and requirements to apply industrial IoT service scenarios to 5G mobile networks, and in particular, we introduce 5G system features and extended 5G system architecture to provide time sensitive communication and time synchronization services.

모바일 IP환경에서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무손실 원격지 가입 저 지연 핸드오프 (A Low Latency Handoff Scheme with Lossless Remote Subscription for Real-time Multimedia Communications in Mobile IP Environments)

  • 김호철;김영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6호
    • /
    • pp.620-632
    • /
    • 2004
  • IP는 네트워크 주소를 기반으로 한 라우팅으로 인해 접속 네트워크가 동적으로 변경되는 이동 노드에는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이동노드에게 지속적인 인터넷 접속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IETF는 모바일 IP를 정의하였다. 하지만 모바일 W는 삼각 라우팅 문제와 계층3 핸드오프에 의한 패킷손실로 인해 전송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모바일 IP에서 제공하기 위한 IETF의 두 가지 멀티캐스트 지원방안은 긴 전송경로와 패킷 중복(양방향 터널링 방안), 핸드오프 시 대량의 패킷손실(원격지 가입 방안)로 인해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은 모바일 IP에서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해 IETF의 원격지 가입 방안을 개선한 무손실 원격지 방안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무손실 원격지 가입 방안은 IETF의 저 지연 핸드오프(low latency handoff)를 멀티캐스트 그룹관리에 적용함으로써 그룹 재가입에 따른지연을 줄였으며, 무손실을 위해 서비스망 전체에서 요구되는 저장공간의 평균 크기가 기존에 제안되었던 무손실 방안의 약 0.58% 만을 사용해도 되는 수준으로 줄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에 적응적인 Demand-Wakeup MAC 프로토콜 (A Traffic Aware Demand-Wakeup MAC(TADW-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혜윤;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80-18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라 낮은 지연과 높은 데이터 효율을 지원하는 새로운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TADW-MAC은 기존의 멀티 홉 전송에서 해당 Sleep 구간에서 오직 하나의 패킷 전송만을 스케줄할 수 있는 DW-MAC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물체 트래킹(object tracking)이나 화재 감시 시스템 등의 응용에 적합한 duty cycling 메커니즘을 가진다. 이러한 응용에서는 평소에는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물체의 나타남과 화재 발생 등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며, 낮은 지연을 요구한다[6-8]. 따라서 TADW-MAC에서는 이러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duty cycle을 조절함으로 보다 높은 효율과 적은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다. 여러 시뮬레이션을 통해 TADW-MAC은 기존의 RMAC이나 DW-MAC에 비해 에너지 효율과 전송 지연 면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준다.

DHT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클라우드 보조의 P2P 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 (Cloud Assisted P2P Live Video Streaming over DHT Overlay Network)

  • 림펑언;최창열;최황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1호
    • /
    • pp.89-99
    • /
    • 2017
  • Many works have attempted to solve the scalability, the availability, and the low-latency problems of peer-to-peer (P2P) live video streaming; yet, the problems still remain. While tree-based systems are vulnerable to churn, the mesh-based systems suffer from high delay and overhead. The DHT-aided chunk-driven overlay (DCO) [1] tried to tackle these problems by using the distributed hash table (DHT), which structures into a mesh-based overlay to efficiently share the video segment. However, DCO fully depends on the capacity of the users' device which is small and unstable, i.e., the users' device may leave and join the network anytime, and the video server's bandwidth can be insufficient when the number of users joining the network suddenly increases. Therefore, cloud assist is introduced to overcome those problems. Cloud assist can be used to enhance the availability, the low-latency, and the scalability of the system. In this paper, the DHT is used to maintain the location of the streaming segments in a distributed manner, and the cloud server is used to assist other peers when the bandwidth which required for sharing the video segment is insufficient.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by using the threshold and cloud assist, the availability and the low-latency of the video segments, and the scalability of the network are greatly improved.

메모리 파일시스템에서 메모리 매핑을 이용한 파일 입출력의 오버헤드 분석 (Analyzing the Overhead of the Memory Mapped File I/O for In-Memory File Systems)

  • 최정식;한환수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97-503
    • /
    • 2016
  • 비휘발성 메모리 같은 차세대 저장장치의 등장으로 저장장치 지연시간은 거의 사라질 것이다. 예전에는 저장장치 지연시간이 가장 큰 문제였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의 효율성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하지만 이제는 소프트웨어 오버헤드가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프트웨어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은 메모리 매핑을 이용한 파일 입출력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메모리 맵 파일 입출력 기법을 사용하면 기존 운영체제의 복잡한 파일 입출력 스택을 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빈번한 사용자/커널 모드 변환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메모리 복사 오버헤드도 최소화 할 수 있다. 하지만 메모리 맵 파일 입출력 기법에도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존재한다. 메모리 맵 파일 입출력 메커니즘도 느린 블록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기존 운영체제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 맵 파일 입출력의 오버헤드 문제점을 설명하고 실험을 통해 그 문제점을 확인한다.

와이브로 망에서 지수평활법을 이용한 핸드오버 지연 단축 기법 (Low-Latency Handover Scheme Using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in WiBro Networks)

  • 표세환;최용훈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91-99
    • /
    • 2009
  •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와 이동 통신의 발달, 그리고 Mobile Device 보급의 증가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술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와이브로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시스템은 이동 중에도 무선 랜 (Wireless LAN) 보다 넓은 서비스 지원 영역에서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MBWA(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기술이며, IP 기반의 백본 망(Backbone Network)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무선 이동 통신 환경에서는 와이브로 시스템의 Layer 2(MAC Layer, Medium Access Control Layer)에서의 이동성 지원 기술뿐만 아니라 Layer 3(Network Layer)에서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이 필요하며,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핸드오버(Handovcr)의 지연 시간을 최소화 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Pv4 기반의 와이브로 망에서의 핸드오버 지연 단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이동 단말(MS, Mobile Station)이 수신하는 신호 강도의 예측 값을 바탕으로 크로스 레이어 (Cross-Layer)기반의 고속 핸드오버 기법 (Fast Handover Scheme)을 적용하며, 지수평활법 (Exponential Smoothing Method)을 사용하여 예측 값을 계산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법과 제안된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핸드오버 지연 시간의 단축을 증명한다.

  • PDF

GF(2m) 상의 여분 표현을 이용한 낮은 지연시간의 몽고메리 AB2 곱셈기 (Low-latency Montgomery AB2 Multiplier Using Redundant Representation Over GF(2m)))

  • 김태완;김기원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18
    • /
    • 2017
  • Finite field arithmetic has been extensively used in error correcting codes and cryptography. Low-complexity and high-speed designs for finite field arithmetic are needed to meet the demands of wider bandwidth, better security and higher portability for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In particular, cryptosystems in GF($2^m$) usually require computing exponentiation, division, and multiplicative inverse, which are very costly operations. Thes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computing modular AB multiplications or modular $AB^2$ multiplications. To compute these time-consuming operations, using $AB^2$ multiplications is more efficient than AB multiplications. Thus, there are needs for an efficient $AB^2$ multiplier architectu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w latency Montgomery $AB^2$ multiplier using redundant representation over GF($2^m$). The proposed $AB^2$ multiplier has less space and time complexities compared to related multipliers. As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existing structures, the proposed $AB^2$ multiplier saves at least 18% area, 50% time, and 59% area-time (AT) complexity. Accordingly, it is well suited for VLSI implementation and can be easily applied as a basic component for computing complex operations over finite field, such as exponentiation, division, and multiplicative inve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