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fertility trap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5초

청년층의 경제적 합리성으로 본 희망자녀수와 출산시기 : '저출산트랩'가설을 중심으로 (Testing the Economic Rationality Hypothesis of the Low Fertility Trap Among Korean Youths)

  • 유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3호
    • /
    • pp.141-1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conomic rationality hypothesis of the low fertility trap among 412 college students at 13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respondents were requested to complete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analyzing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views on the prospects for their future employability were 54.6% for big business, 64.51% for medium-sized business, and 49.63% for public sector. In the most employable job, the mean desired monthly salary was 3,505,400 won, while the mean expected monthly salary 2,753,600 won.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family income in parental home was positively related to youths' consumption aspirations. Finally, the gap between youths' consumption aspirations and their expected income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desired number of children, whil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planned age of first child birth. Thus, the low fertility trap hypothesis was supported in terms of birth rate drop, but not supported in terms of childbearing postponemen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저출산 시대와 모성의 건강증진 (Low Fertility Era and Maternal Health Promotion)

  • 전병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62-173
    • /
    • 2014
  • OECD회원국 가운데 10여년 넘게 지속적으로 합계출산율이 1.3명 미만을 기록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2006년부터 정부는 인구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한번 떨어진 출산율은 도무지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서 '저출산의 덫'에 빠져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저출산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국가경쟁력은 물론이고 국가의 존속 자체를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는 학업과 취업으로 인해 여성의 출산이 점점 늦어지고 있으며, 열악한 근로환경에 의해 임신에 부적절한 건강상태를 초래하기도 하므로 가임기 여성과 임산부에 대한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 시대에 있어 주요 국제기구와 국가가 추진하는 모성 중심의 건강증진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 사회에서의 모성 건강증진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들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건강증진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모수, 비모수, 베이지안 출산율 모형을 활용한 합계출산율 예측과 비교 (A comparison and prediction of total fertility rate using parametric, non-parametric, and Bayesian model)

  • 오진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6호
    • /
    • pp.677-692
    • /
    • 2018
  • 최근 2017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1.05명로 2005년 1.08명 수준으로 회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1.05명은 인구대체선(2.1명), 안전선(1.5명)과도 거리가 먼 초저출산 수준이고 마치 초저출산 덫에 빠질 우려가 있다. 이에 합계출산율의 합리적인 예측과 이를 통한 출산정책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하다. 그 동안 다양한 통계적 방법으로 합계출산율 추이를 예측하였는데, 데이터 완비성이 높고 품질이 좋은 경우 모형 접근인 모수적 방법, 데이터 추이가 단절되거나 변동이 심한 경우 평활과 가중치를 적용한 비모수적 방법, 데이터 부족과 품질 등으로 선진국의 출산율 3단계 전이현상을 참고하여 이들의 사전분포를 활용하는 베이지안 방법 등이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최근 변동이 심한 우리나라 출산율에 모수, 비모수, 그리고 베이지안 방법을 적용하여 추정과 예측을 실시하고 도출된 결과 비교를 통해 적합성과 타당성 측면에서 어떤 방법이 합리적인지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합계출산율 예측값 순위는 통계청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고, 베이지안, 모수, 비모수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TFR 1.05명 수준을 감안할 때 모수, 비모수모형으로 도출된 합계출산율 예측값이 합리적이다. 또한 출산율 자료완비성이 높고 품질이 우수할 경우 계산 효율성과 적합도 관점에서 모수적 추정과 예측 접근 방법이 타 방법보다 우수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우리나라 인구정책방향의 재음미 (Review of Population Policy in Korea)

  • 이규식;김택일
    • 한국인구학
    • /
    • 제11권1호
    • /
    • pp.32-49
    • /
    • 1988
  • The social conditions in Koreas until 1950s were similar to the model phenomena of low level eqilibrium trap which was named by Prof. Nelson, with the continuation of high population growth rate and low economic growth rate. To escape from the trap, Korean government adopted two different policies, one is economic development plans and the other is family planning programs. Theses policies were successful in both increasing the national products and decreasing the population growth rate. In 1985 per capita GNP increased to over two thousand dollars, fertility rate reduced to replacement level(2.1) and unemployment rate was stabilized at 4 percent level. From various prospects, we were successfully escaped from the Malthusian trap and many economists, who studied developed countries, belive that population growth has positive effects on technological progress, economies of scale, specialization, individual attitude on work,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we need to reexamine the anti-natalistic population policy of Korea in this situation.

  • PDF

우리나라는 저출산함정에 빠진 것인가? - 저출산함정 가설의 검증과 함의 -

  • 엄동욱
    • 한국인구학
    • /
    • 제32권2호
    • /
    • pp.141-159
    • /
    • 2009
  • 우리나라는 2002년 초저출산 사회(합계출산율 1.3명 이하)로 진입한 후 합계출산율이 평균 1.2 이하인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초저출산 상황이 향후 지속된다면 인구고령화의 사회 경제적 여파가 예상보다 클 것으로 전망된다. 과연 이런 초저출산 추세가 일시적인 것인지 아니면 앞으로 계속 지속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저출산함정 가설(low fertility trap hypothesis)을 제기한 Lutz, Skirbekk and Testa(2006)의 논의를 소개한다. 그들은 크게 인구학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요인과 같이 3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저출산함정의 존재 가능성을 논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나라는 저출산함정에 빠져 있는가? 먼저 고령화 가설의 경우 출생아수와 고령화간 부(-)의 관계가 나타나고 있으며, 최근 이상자녀수가 2.2~2.3명이지만, 실제자녀수는 그 수준을 하회하고 있어 이상자녀수가설도 지지된다. 상대소득가설의 경우, 류덕현(2007)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령 계층 간 상대소득이 출산율에 정(+)의 효과를 보여 상대소득가설이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제한된 영역에서 완벽한 검증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출산율이 대체수준까지 회복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수준인지를 재확인시켜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