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density lipoprotein(LDL)

검색결과 558건 처리시간 0.031초

Aspergillus oryzae A-5로부터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Aspergillus oryzae A-5 on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 류병호;김동석;조경자;이홍수;진성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89-296
    • /
    • 1997
  • Antioxidative activity of fraction extracted from cultivation of Aspergillus sp. A-5 against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LDL) was investigated. Fractions of Aspergillus sp. A-5 cultivation was sucessively purified with ethyl acetate an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e concentration of fraction 4 inhibited Cu$^{2+}$-induced oxidation of LDL almost completely. Band 3 isolated by the further purification of fraction 4 was higher than that of same concentration of $\alpha$-tocopherol, BHA and BHT. The elcetrophoretic mobility of oxidized LDL by addition of Band 3 was faster than that of native LDL, but slower than that of oxidzed LDL. It is concluded that fraction of Aspergillus cultivation contained antioxidants with the capacity to inhibit oxidative modification of LDL.

  • PDF

숙성 흑마늘 추출물의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of Aged Black Garlic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30-1335
    • /
    • 2007
  • 마늘을 발효시켜 만든 흑마늘의 지질 산화 억제 및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실험하였다. 표준품으로서 마늘의 주성분인 alliin과 흑마늘의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각각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흑마늘 에탄을 추출물이 효능이 가장 높았다. 사람 LDL을 $Cu^{2+}$유도 LDL로 산화시킬 때 그 항산화능은 각 시료를 $10\;{\mu}g/ml$$20\;{\mu}g/ml$ 씩 첨가하며 TSARS를 측정한 결과 에탄을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용량 의존형으로 나타났다. 흑마늘의 에탄올과 물추출물을 $10\;{\mu}g/ml$$20\;{\mu}g/ml$ 첨가한 후 J774 유도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각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었고 용량 의존형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마늘의 각 추출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전기영동 이동상은 대조구에 비하여 $10\;{\mu}g/ml$$20\;{\mu}g/ml$에서 산화를 억제하였고 공액 2중 결합에 의한 실험에서도 항산화 효과가 있었으며 $20\;{\mu}g/ml$의 농도에서 거의 억제되었다.

Macrophage 유도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수식에 대한 Streptomyces sp. BH-405 배양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Streptomyces sp. BH-405 on Macrophage Mediated Modific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LDL))

  • 류병호;박종옥;김희숙;김민정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56-161
    • /
    • 2000
  • 해양에서 분리한 Streptomyces sp. BH-405의 배양액으로부터 정제하여 얻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획분 band 2 에 대하여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산화 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Streptomyces sp. BH-405의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한 획분 band 2는 LDL에 대한 $5\mu\textrm{m}$ $CuSO_4$ 의 유도 산화를 측정한 결과 100 및 200 $\mu\textrm{g}$/mL에서 LDL의 산화억제 효과가 높았다. 그리고, band 2를 이용한 macrophage 및 J774 유도 LDL의 수식에 대한 항상화 효과도 native LDL에 비하여 높았다. 이때 같은 농도의 band 2를 첨가하여 산화 LDL의 전기영동의 이동거리를 측정한 결과 native LDL보다는 약간 높았으나 Oxid LDL의 대조군보다는 이동거리가 낮으며 공액2중결합의 생성억제 효과도 있었다. 사람 LDL의 산화에 대하여 macrophage 및 내피세포를 이용하여 125I-LDL 산화에 대하여 band 2를 각각 100 및 200 $\mu\textrm{g}$/mL씩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사람 LDL의 분해는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용량 의존형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유용식물로부터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LDL)에 대한 항산화제의 탐색 (Screening of Antioxidative Compound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from Useful Plants)

  • 임복규;류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8-146
    • /
    • 2004
  • 본 연구는 유용식물로부터 DPPH free radical scavenger및 사람의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25종의 식물로부터 메탄올로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각종 유용식물 중 항산화 활성은 우수한 달맞이꽃이 가장 높았으며 다시 메타놀로 추출하여 조사한 결과 $\alpha$-tocopherol과 항산화능이 거의 비슷하였다. 메타놀 추출물을 ethylacetate로 추출한 획분이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ethylacetate 층 중 acidic soluble 획분을 다시 분리한 후 Sep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추출한 결과 Fraction F-2가 전자공유능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높은Fraction, F-2의 구조를 동정한 결과 3,4-dihydroxybenzoic acid와 3-hyoxycinnamic acid로 확인되었다.

해양에서 분리한 Bacillus sp. RH-5에 의한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 산화에 대한 항산화제의 개발 (Discovery of Antioxidant on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by Bacillus sp. RH-5 Isolated from Marine Origin)

  • 류병호;박종옥;김동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9-105
    • /
    • 1999
  • Bacillus sp. RH-5로 배양한 배양액을 silica gel column (8.0cmX100cm)chromatography를 행하여 chloroform : methanol = 90 : 10인 항산화 분획층을 얻어 TLC 법에 의해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리하여 thiocyanate method로 활성을 측정하여 본 결과 Vit. E($10^{-2}$ mol)보다 좋았으며 BHA, BHT와는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5_\muM$ $CuSO_4$ 촉매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산화에 항산화 활성이 알려진 Fraction 3의 band 4를 각각 100 및 200$\mu$g/$m\ell$ 농도로 $37^{\circ}C$에서 18시간 배양한 결과 LDL의 산화에 대한 억제효과가 좋았다. Fraction 3의 band 4를 HPLC로 정제한 후 IR. NMR 및 GC/MASS.로 확인한 결과 5-hydroxyndole로 확인되었다.

  • PDF

엉겅퀴에서 분리 정제한 Silymarin의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ilmarin Purified from Silybum Marianum on Modifica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류병호;이백천;진성현;조경자;김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ilymarin against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s(LDL) oxidation. Silymarin extracted from Silybum marianum was successively purified with solvent fractionation and follow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e active substances were separated by HPLC and the isolated active substances, silymarin were identified by IR, NMR, GC-MS as silymarin. Silymarin inhibited at the 5 $\mu$M Cu2+-mediated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in a dose dependent manner. Silymarin completely inhibited LDL oxidation at 50 $\mu\textrm{g}$/$m\ell$ concentr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ilymarin may protect LDL against oxidation in atherosclerotic lessions.

  • PDF

엉겅퀴에서 분리정제한 silybin의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수식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ilybin Purified from Silybum marianum on modific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류병호;김희숙;이백천;이홍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53-359
    • /
    • 1998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antioxidant activity of silybin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s(LDL). Siltbin was extracted from Silybum marianum by the combination of fractionation and it was futher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isolated active substances were identified silybin by IR, NMR and GC-MS. siltbin inhibited the oz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LDL) mediated by 5$^{\mu}$m CU $^{2+}$ 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LDL oxidation by congugated dines formation was completely inhibited by silybin at a concentration of 5$^{\mu}$M. The results provide a possibility that silybin might protect LDL against oxidation in atherosclerotic lessions.

  • PDF

수산자원으로부터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한 항산화제의 탐색 (Screening of Antioxidants to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from Marine Resources)

  • 류병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3-159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ubstances isolated from marine resources against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Methanol-water extract(80 : 20, v/v) of Sargassum ringgoldianum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ctive substance was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by eluting chlorform : methanol mixture (80 : 20 v/v). The active fraction was seperated to several spots on the TLC in chlorofrom : methanol (10 : 1, v/v) mixture. Antioxidative activity of band 4 of fraction 2 on TLC was highest than that of $\alpha$-tocopherol against human LDL oxidation by the method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The band 4 of fraction 2 inhibited the copper mediated oxidation of human LDL with almost completely at 1 or 2 mg/ml.

  • PDF

Inhibition of Chitin Sulfate on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LDL) Oxidation by Macrophages

  • Ryu, Beung-Ho;Yang, Seung-Taek;Moon, Yoon-Hee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2-348
    • /
    • 2001
  • 본 연구는 동맥경화의 원인으로 알려진 사람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한 chitin sulfate의 산화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사람 LDL을 쥐의 마크로파지 유도 oxidized LDL로 산화시킬 때 chitin sulfate를 첨가하여 TBARS와 전기영동에 의한 이동상 및 $O_2$소거 기능을 확인하였다. 사람 LDL에 macrophage를 이용해서 LDL을 산화시킬 때 chitin sulfate를 50~100 $\mu$M 첨가하였을 때 억제 효과가 높았으며, chitin sulfate를 100 $\mu$M 첨가하였을 때 LDL의 산화가 거의 억제되었고, 전기영동에 의한 이동거리도 100 $\mu$M chitin sulfate에서 완전히 억제되었다. 그리고 phorbol myristate acetate를 처리한 마크로파아지 유도 활성 산소의 소거 효과는 chitin sulfate의 농도가 100$\mu$M일 때 거의 소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hitin sulfate는 동맥경화의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산화된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의해 유도된 내피세포의 손상에 대한 마늘 대사산물인 allylmercaptan의 보호 효과 (Protection Effects of Allylmercaptan, Metabolite of Garlic on Endothelial Cell Injury Induced by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595-1602
    • /
    • 2010
  •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산화는 동맥경화의 유발과 진행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주요 대사산물인 allylmercaptan의 산화 low density lipoprotein에 의해 손상된 내피세포의 보호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Allylmercaptan의 항산화 활성은 thiobarbituric acid substance (TBARS)로 측정하였다. Allylmercaptan은 0.1, 1 및 10 mM의 농도에서 $Cu^{2+}$에 의해 유도된 LDL의 산화를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폐동맥 내피세포를 $37^{\circ}C$, 5% $CO_2$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미리 배양시킨 후 세측한 다음 다시 24시간 동안 0.1 mg/ml oxidized LDL (ox-LDL)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이 때 ox-LDL이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방출과 glutathione (GSH)를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세포막 손상의 지표로 LDH와 GSH 함량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 결과 allylmercaptan을 일정 농도 별로 endothelial cell에 첨가하여 배양했을 때 LDH의 방출과 GSH의 감소를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Peroxide를 형광분석법으로 24 well plate에서 직접 측정한 결과 allylmercaptan이 폐동맥 내피세포 내에서 ox-LDL 유도 peroxide의 방출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allylmercaptan은 과산화수소의 소거능도 있었다. 본 실험결과 allylmercaptan은 ox-LDL 유도 폐동맥 내피세포를 보호할 수 있었으므로 allylmercaptan은 동맥경화의 예방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