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cytometry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3초

소 동결-융해 정자에 있어서 체외수정능력과 정자 기능 및 성상 분석법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the Capacity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the Assays of Sperm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in Frozen-thawed Bovine Spermatozoa)

  • 류범용;정영채;김창근;신현아;한정호;김석현;문신용;김흥률;최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5-289
    • /
    • 2002
  • 본 연구는 종모우의 정자수정능력 평가방법의 개발과 정자 기능 및 성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동결-융해된 종모우 정액을 대상으로 정자의 운동성과 정자의 형태를 분석하였고, 정자의 기능 검 사 항목으로서 체외수정(IVF), HOST, Ca-ionophore에 의한 첨체반응율, 정자의 ROS 측정을 위한 luminol, lucigenin-dependent chemiluminescence, LPO 분석을 위한 malondialdehyde의 측정 및 TUNEL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TdT) dUTP nick end labelling) 기법을 이용한 정자의 DNA fragmentation를 측정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조사 항목들의 분석치들과 체외수정율 및 배발생율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수정군과 저수정군의 체외수정율과 배반포 발생율의 평균은 각각 64.4%와 34.3%, 18.50%와 6.2%였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고수정군과 저수정군의 정자운동성과 첨체반응률은 각각 평균79.0 %와 66.2%, 40.7%와 22.9%로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정상형태 정자의 비율과 HOST는 각각 평균 94.6%와 92.7%, 69.4%와 59.8%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Luminol dependent chemiluminescence, LPO 및 DNA fragmentation의 평균은 고수정군과 저수정군에 있어서 각각 6.4와 6.5, 2.Onmol와 3.Inmol 및 2.6%와 7.4%로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lucigenin dependent chemiluminescence는 4.7와 4.6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체외 수정율은 정자의 운동성 및 첨체반응율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positive)의 상관관계(r=0.87, p<0.01; r=0.81, p<0.05)를 나타내었으며, luminol dependent chemiluminescence, lipid peroxldation 및 DNA fragmentation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부(negative)의 상관관계 (r= -0.81, p<0.05; r: -0.74, p<0.05; r : 0.81, p<0.05)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체외수정율은 정상형태 정자의 비율, HOST 및 lucigenin dependent chemiluminescence와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4. 배반포 발생율은 첨체반응율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r=0.71, p<0.05)를 나타내었으며, luminol dependent chemiluminescence, lipid peroxidation 및 DNA fragmentation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r= -0.71, p<0.05; r= -0.89, p<0.01; r= -0.71, P<0.05)를 나타내었다. 배반포 발생율은 정자의 운동성, 정상형태 정자의 비율 및 HOST, lucigenin dependent chemilumihescence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정액질의 저하에 ROS의 영향이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된 기법들은 정액질의 평가 및 정자 수정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평가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020년 하계 장강 저염수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주변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다양성 및 개체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Phytoplankton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Driven by the Dynamics of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Plume Extension around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n the Summer of 2020)

  • 김지훈;최동한;이하은;정진용;정종민;노재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924-942
    • /
    • 2021
  • 여름철 장강 저염수의 확장은 북부 동중국해의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다양성과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2020년 하계는 장강 저염수의 방류량이 매우 높았던 시기로 환경 특성 변화에 따라 식물플랑크톤 다양성 및 군집구조에 미치는 동력을 이해하기 위해 현장관측을 수행하였다. 2020년 8월 16일~17일 이어도호 승선조사와 2020년 8월 15일~21일 이어도 해양과학기지(IORS)에서 체류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정점들에서 CTD로 측정한 결과 조사 수역 남서쪽은 장강 저염수의 영향을 받아 염분이 낮고 엽록소 형광값이 높았으며,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은 남동수역은 염분이 높고 엽록소 형광값이 낮았다. 12개 정점의 표층수 시료의 엽록소 a 농도는 미소형(20~3 ㎛) 및 소형(> 20 ㎛)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이 우점함을 나타냈으며, 대마난류수의 영향을 받은 정점에서만 초미소 식물플랑크톤(< 3 ㎛) 생체량이 약 50%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표층수의 식물플랑크톤 크기 분포는 영양염류 공급과 관련되어 장강 저염수의 높은 질산염 공급을 받는 정점들은 소형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기여율이 높았다. 형태분류 결과 미소형 및 소형 식물플랑크톤은 총 45종이며, 이들 중 우점 분류군은 규조류인 Guinardia flaccida, Nitzschia spp.와 와편모조류인 Gonyaulax monacantha, Noctiluca scintillans, Gymnodinium spirale, Heterocapsa spp., Prorocentrum micans, Tripos furca 등이었다.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으며 질산염 농도가 낮은 정점들은 광합성 초미소 진핵생물(PPE)의 개체수와 광합성 초미소 원핵생물(PPP)인 Synechococcus의 개체수가 높았다. 질산염/인산염 비는 대부분 정점에서 인산염 제한을 받고 있음을 나타냈다. 유세포 분석 결과 Synechococcus 개체수는 난류의 영향을 받는 빈영양 수역의 정점들에서 높은 개체수를 보였다. NGS 분석 결과 PPP 중 Synechococcus는 29개의 clades가 나타났고, 이 중 한 시료에서 한 번이라도 1% 이상의 우점율을 보인 clade는 11개로 나타났다. 표층수에선 clade II가 우점분류군이었으며 SCM 층에서 다양한 clades(I과 IV 등)가 차우점군들로 분포하였다. Prochlorococcus 속은 난류 수역에서 high light adapted 생태형이 출현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북쪽 수역에선 출현하지 않았다. PPE는 총 163개의 높은 operational taxonomic units(OTUs) 다양성을 보였으며, 이 중 한 시료에서 한 번이라도 5% 이상의 우점률을 나타낸 OTU는 총 11개였다. 장강 저염수의 영향을 받는 정점의 표층수에선 Amphidinium testudo가 우점 분류군이었으며, SCM 층에서 녹조류가 최우점하였다.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에서는 다양한 분류군의 착편모조류가 우점하였다. IORS에서의 관측 결과도 주변 정점들과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크기분포, 다양성에서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장강 저염수의 영향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반응을 다양한 분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ORS와 승선조사를 비교하여 IORS 관측이 장강 저염수의 식물플랑크톤 동적 역학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기후변화에 따라 나타날 동중국해 하계 환경 및 생태계의 변화에 대비하여 IORS의 효과적 이용 방안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암(抗癌) 및 면역효과(免疫效果)에 복분자약침(覆盆子藥鍼)이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Anti-cancer, Anti-metastasis and Immune response improvement Effects of Aqua-acupuncture with Rubi Fructus infusion solution)

  • 이선희;이병렬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189-219
    • /
    • 2000
  • To study the effects of anti-cancer, anti-metastasis and immune response improvement effects of aqua-acupuncture with Rubi Fructus infusion solution, we used Rubi Fructus infusion solution(taken by water-alcohol method) put into Chung-wan (CV12) and Chok-Samni(ST36) of BALB/c or C57BL/6 which are corresponding to humanbody. We observed the cytotoxicity, th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MMP-9 gene, the ability to control cancer cell proliferation, change of body weight, surviving number, median surviving time, increase of life span, changes in amount of leukocyte, erythrocyte, platelet, total protein, creatinine, glucose and LDH, weight of spleen, number of pulmonary colony, histological analysis on tissue metastasis of lung and liver, splenic cell proliferation, the expression of cytokine gene, the number of $CD4^+$, $CD8^+$, $CD19^+$ and NK cell, and concluded like thi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Effects of Anti-cancer 1) The cytotoxicity about B16-F10 cell line of $2^0$, $2^{-1}$, $2^{-2}$, $2^{-3}$, $2^{-5}$, $2^{-6}$, $2^{-7}$, $2^{-8}$ diluent groups in Rubi Fructus infusion solution treatment was inhibit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The cytotoxicity about HT1080 cell line of $2^0{\sim}2^{-8}$ diluent groups in Rubi Fructus infusion solution treatment was inhibit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The effect on expression of MMP-9 gene was inhibited significantly in all the sampl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4) The effect on the control-ability on the cancer cell proliferation showed cytotoxicity significantly in $2^0$, $2^{-1}$, $2^{-2}$, $2^{-3}$, $2^{-4}$, $2^{-5}$, $2^{-6}$, $2^{-7}$, diluent groups. 2. Effects of Anti-metastasis 1) S-180 cancer cell line transplants in BALB/c mice were inhibited significantly in weight increase in all the sampl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surviving number increased in almost sample groups, except one group put into Chok-Samni(ST36) with 20% Rubi Fructus infusion solution treatment group that showed same number of the control group. 2) S-180 cancer cell line transplants in BALB/c mice showed high MST significantly in almost sampl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one group put into Chok-Samni(ST36) with 20% Rubi Fructus infusion solution showed low MST than control group. 3) The group injected in vein with B16-F10 cancer cell line in C57BL/6 mice showed increased ILS than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n anti-metastasis test. 3. Effects of Immune response improvement 1) The group injected in vein with B16-F10 cancer cell line in C57BL/6 mic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number of leukocyte and glucose,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mount of platelet and LDH,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owever, there's no significant increase or decrease in number of erythrocyte, total protein and creatinine. 2) We couldn't find any significant relation in spleen weight of the sample group. 3) In pulmonary colony, sample group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4) Histological analysis of sample group inhivited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in both of lung and liver. 5) In immune system, all the sample groups showed having more relevancy to the effect on splenic cell proliferation than normal group. 6) Cytokine gene increased in almost sample groups, except one group treated with $50{\mu}g/m{\ell}$ Rubi Fructus infusion solution on IL-12. 7) In flow cytometry there's no significant relation in number of $CD8^+$ cell, however, the number of $CD4^+$, $CD19^+$ cell and NK cell in sample group had more relation than in control group. Above the results showed that aqua-acupuncture of Rubi Fructus solution has effects of anti-cancer, and-metastasis and immune response improvement.

  • PDF

육종용약침의 항암작용(抗癌作用) 및 면역효과(免疫效果)에 대(對)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Study on the Anti-cancer, Anti-metastasis and Immune response improvement of Aqua-acupuncture with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 이은용;이병렬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251-286
    • /
    • 2000
  • To study the effects of anti-cancer, anti-metastasis and immune response improvement of aqua-acupuncture with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we used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taken by water-alcohol method) put into Chung-wan(CV12) and Chok-Samni(S36) of BALB/c or C57BL/6 which are corresponding to human body. We observed the cytotoxicity, th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MMP-9 gene, the ability to control cancer cell proliferation, change of body weight, surviving number, MST, ILS, changes in amount of WBC, RBC, PLT, total protein, creatinine, glucose and LDH, weight of spleen, number of pulmonary colony, histological analysis on tissue metastasis of lung and liver, splenic cell proliferation, the expression of cytokine gene, the number of $CD4^+$, $CD8^+$, $CD19^+$ and NK cell, and concluded like thi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cytotoxicity about B16-F10 cell line of $2^0$, $2^{-1}$, $2^{-2}$, $2^{-5}$ diluent groups in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treatment was inhibit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The cytotoxicity about HT1080 cell line of $2^0$, $2^{-1}$, $2^{-2}$, $2^{-3}$, $2^{-5}$, $2^{-8}$ diluent groups in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treatment was inhibit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The effect on expression of MMP-9 gene was decreased in all the sampl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4. The effect on the control-ability on the cancer cell proliferation showed cytotooicity significantly in $2^0$, $2^{-1}$, $2^{-2}$, $2^{-3}$, $2^{-4}$, $2^{-5}$ diluent groups. 5. S-180 cancer cell line transplants in BALB/c mice were inhibited significantly in weight increase in all the sampl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surviving number increased in almost sample groups, except one group put into Chok-Samni(S36) with 20%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treatment group that showed same number of the control group. 6. S-180 cancer cell line transplants in BALB/c mice showed high MST and ILS significantly in almost sampl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one group put into Chok-Samni(S36) with 20%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treatment group showed low MST and ILS than control group. 7. The sample group injected in vein with B16-F10 cancer cell line in C57BL/6 mice showed increased IL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n anti-metastasis test. 8. The sample group injected in vein with B16-F10 cancer cell line in C57BL/6 mic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number of WBC and glucose,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mount of LDH,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owever, there's no significant increase or decrease in number of RBC, PLT, total protein and creatinine. 9. We couldn't find any significant relation in spleen weight of the sample group. 10. In pulmonary colony, sample group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11. Histological analysis of sample group inhivited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in both of lung and liver. 12. In immune system, all the sample groups showed having more relevancy to the effect on splenic cell proliferation than normal group. 13. The effect on cytokine gene expression of all the sample groups were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14. In flow cytometry there's no significant relation in number of $CD8^+$, $CD19^+$ cell, however, the number of $CD4^+$ cell and NK cell in sample groups were increased than in control group. Above the results showed that aqua-acupuncture of Cistanches Herba infusion solution has effects of anti-cancer, anti-metastasis and immune response improvement.

  • PDF

단배성 제주 재래귤 및 만다린잡종에서 자연 발생적인 배수체의 발생 빈도 (Frequency of Spontaneous Polyploids in Monoembryonic Jeju Native Citrus Species and Some Mandarin Cultivars)

  • 채치원;윤수현;박재호;김민주;고상욱;송관정;이동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71-879
    • /
    • 2012
  • 배수체는 무핵 감귤 육종 프로그램 있어서 잠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유전자원이다. 무핵성은 만다린 품종이 갖추어야 할 가장 유망한 형질 중 하나이고 3배체는 영구적으로 무핵이다. 새로운 3배체 잡종은 이종속간 배수체의 교배 또는 저빈도의 2배성 배우체 형성과 합성 같은 행동에 기인된 2배체 이종간 교배로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소립의 $F_1$ 합성 종자로 발달된 이 같은 형태에 기초한 육종은 효과적인 무균적 배 적출 및 배양법 없이는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무균의 배배양을 이용하여 단배의 2배체 제주 재래귤과 만다린잡종에서 방임 수분되어 자연적으로 발생한 소립종자로부터 유묘를 얻었고 배수 검정기를 이용하여 배수 정도를 검정하여 다양한 수준의 배수체를 획득하였다. 총 792 과실을 이용하여 10,289 개의 획득된 종자를 분석하여 과실당 평균 13개의 종자가 함유됨을 알 수 있었다. 정상종자와 유사한 형태로 발달된 소립종자의 과실 내 평균 함유율은 7.1%였다. 과실당 소립종자의 평균 출현 빈도는 '클레멘타인', '하레히메', '감자', '편귤', '사두감' 그리고 '윌킹' 순으로 각각 8.9, 10.2, 2.6, 3.1, 2.8, 그리고 7.0%였다. 종자 크기가 조사된 '클레멘타인' 품종 내 정상 종자의 평균 크기는 $49.52{\pm}0.07mm^2$ 였고 반면에 소립종자는 $7.95{\pm}0.04mm^2$로 전자보다 1/6배 더 작았다. 이러한 분류 기준으로 총 731개의 소립종자를 획득하였다. 이들 소립종자 중 일부는 무균의 배 배양이 수행되었고 기내 발아되어 회복된 모든 개체들은 단 하나의 배가 확인되었고 건전하게 발육하였다. 3배체 발생 빈도 비교에 있어서, '클레멘타인'은 '윌킹'과 제주 재래귤인 '편귤' 품종에 비해 각각 14배와 109배 높게 나타난 바 전자는 3배체 발생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자연 발생적인 배수체에 관한 기초 정보는 무핵 감귤 개발을 위해 3배체 고정종 합성에 활용될 수 있으며 그 효율 증진에도 기여할 것이라 여겨진다.

혈관내피세포 채취의 원천으로 인간 지방조직의 활용 (Use of Human Adipose Tissue as a Source of Endothelial Cells)

  • 박봉욱;하영술;김진현;조희영;정명희;김덕룡;김욱규;김종렬;장중희;변준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299-305
    • /
    • 2010
  • Purpose: Adipose tissue is located beneath the skin, around internal organs, and in the bone marrow in humans. Its main role is to store energy in the form of fat, although it also cushions and insulates the body. Adipose tissue also has the ability to dynamically expand and shrink throughout the life of an adult. Recently, it has been shown that adipose tissue contains a population of adult multipotent mesenchymal stem cells and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that, in cell culture conditions, have extensive proliferative capacity and are able to differentiate into several lineages, including, osteogenic, chondrogenic, endothelial cells, and myogenic lineag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focused on endothelial cell culture from the adipose tissue. Adipose tissues were harvested from buccal fat pad dur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for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The tissues were treated with 0.075% type I collagenase. The samples were neutralized with DMEM/and centrifuged for 10 min at 2,400 rpm. The pellet was treated with 3 volume of RBC lysis buffer and filtered through a 100 ${\mu}m$ nylon cell strainer. The filtered cells were centrifuged for 10 min at 2,400 rpm. The cells were further cultured in the endothelial cell culture medium (EGM-2, Cambrex, Walkersville, Md., USA)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human EGF, human VEGF, human insulin-like growth factor-1, human FGF-$\beta$, heparin, ascorbic acid and hydrocortisone at a density of $1{\times}10^5$ cells/well in a 24-well plate. Low positivity of endothelial cell markers, such as CD31 and CD146, was observed during early passage of cells. Results: Increase of CD146 positivity was observed in passage 5 to 7 adipose tissue-derived cells. However, CD44, representative mesenchymal stem cell marker, was also strongly expressed. CD146 sorted adipose tissue-derived cells was cultured using immuno-magnetic beads. Magnetic labeling with 100 ${\mu}l$ microbeads per 108 cells was performed for 30 minutes at $4^{\circ}C$ a using CD146 direct cell isolation kit. Magnetic separation was carried out and a separator under a biological hood. Aliquous of CD146+ sorted cells were evaluated for purity by flow cytometry. Sorted cells were 96.04% positivity for CD146. And then tube formation was examined. These CD146 sorted adipose tissue-derived cells formed tube-like structures on Matrigel.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ipose tissue-derived cells are endothelial cells. With the fabrication of the vascularized scaffold construct, novel approaches could be developed to enhance the engineered scaffold by the addi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endothelial cells and periosteal-derived osteoblastic cells to promote bone growth.

원발성 폐선암환자의 말초혈액에서 분리한 CD1c+ 골수성 수지상 세포에서의 CD40, CD86 및 HLA-DR의 발현 (Expression of CD40, CD86, and HLA-DR in CD1c+ Myeloid Dendritic Cells Isolated from Peripheral Blood in Primary Adenocarcinoma of Lung)

  • 강문철;강창현;김영태;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499-505
    • /
    • 2010
  • 배경: CD1-restricted T 세포는 동물모델실험에서 항암면역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고가 있다. 이를 임상에서 확인하기 위해 원발성 폐선암환자의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CD1c+ 골수성 수지상 세포의 수 및 수지상 세포에서의 동시자극 표지자 중 주요 표지자인 CD40, CD86 및 HLA-DR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영상의학적으로 원발성 폐암이 의심되거나 조직학적으로 폐암으로 확진되어 외과적 폐절제 또는 생검을 시행한 총 24명의 환자를 원발성 폐선암 환자군(Primary adenocarinoma of lung, PACL)과 원발성 편병상피세포폐암군(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lung, PSqCL) 및 양성폐질환군(Benign lung disease, BLD)군으로 나누고, 말초혈액 20 mL을 채취하여 수지상 세포를 분리하고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CD1c+ 골수성 세포의 수 및 수지상 세포에서의 동시자극 표지자 중 주요 표지자들의 발현정도를 유체세포측정기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두 군 간의 통계적 차이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CD1c+ 골수성 수지상 세포(CD1c+CD19-)의 수는 PACL, PSqCL 및 BLD군 모두 그 차이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공동자극표지자의 발현은 PACL군과 BLD군에서는 CD40의 발현이 p-value=0.171, CD86의 발현이 p-value=0.037과 HLA-DR의 발현이 p-value=0.036로 PACL군에서 감소한 것을 통계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PACL군과 PSqCL군 간에는 CD40의 발현이 p-value=0.319, CD86의 발현이 p-value= 0.036과 HLA-DR의 발현이 p-value=0.085로 PACL군에서 공동표지자의 발현이 감소한 양상이나 통계적 유의성은 CD86의 발현 외에는 없었다. PSqCL군과 BLD군간에는 공동표지자의 발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PACL군과 비선암군간에는 CD40의 발현이 p-value=0.005, CD86의 발현이 p-value=0.013과 HLA-DR의 발현이 p-value=0.004로 PACL군에서 공동표지자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통계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CD1c+ 골수성 수지상 세포에서 원발성 폐선암 환자에서 주요 표지자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원발성 폐선암 환자에서 주요 표지자의 발현의 감소가 면역회피기전의 하나일 수 있는 가능성 및 수지상 세포에 의하여 유발되는 면역반응은 수지상 세포의 표지자의 발현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폐암 진단에 있어서 기관지솔질표본의 DNA 배수성 검사의 의의 (Analysis of DNA Ploidy with Bronchoscopic Brushing Specimen as A Diagnostic Aid for Lung Cancer)

  • 김영철;이신석;정익주;강유호;최인선;박경옥;정상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4호
    • /
    • pp.354-362
    • /
    • 1994
  • 배경 및 방법 : 폐암의 진단 방법에 있어서 객담, 흉수, 기관지 세척액 등에서의 DNA의 aneuploid나 고증식력등의 소견은 폐암의 진단에 보조적으로 의의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기관지 내시경 검사 중에 조직 생검, 솔질표본의 세포학적 검사와 더불어 유세포계산법을 이용한 솔질 표본의 DNA 배수성 검사를 함께 시행하여, 폐암의 진단율을 높일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결과: 1) 대상환자 76예중 폐암으로 확진되었던 55예에서는 diploid 37예, aneuploidy 18예(32.7%)이었으나, 양성 질환으로 확인된 21예에서는 모두 diploid 이었고, 세포주기 분석이 기능하였던 48예중 폐암은 35예 이었고 이들중 42.9%(15/35)에서 고증식력을 보였으나, 양성질환 13예에서는 고증식력을 보인 경우가 없었다(p<0.05). 2) DNA분석 소견(aneuploidy나 고증식력을 양성으로 하였을 때)과 세포진검사와의 일치율은 전체 75예중 56예로 74.7% 였다. 3) 폐암 환자에서 세포진검사 민감도는 41.8%(23/55)이었는데, 세포진검사 음성이지만 DNA 검사에서 양성(aneuploidy 혹은 high proliferative activity)을 보인 경우를 부가하였을 때, 민감도는 56.4%(31/55)로 증가하였고(p<0.05), 음성예측도는 38.2%, 특이도는 100% 였다. 4) 1예에서는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한 조직, 세포진검사, 경피적 폐침흡인 등으로는 진단을 내릴수 없었으나 솔질표본을 이용한 DNA ploidy검사에서 aneuploid로 나타났고, 후에 수술로써 편평상피폐암으로 확진되었다. 5) 폐암 환자중 세포 형태에 따른 DNA Ploidy와 증식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기관지 솔질 표본에서 aneuploid나 고증식력 소견이 폐암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하였을 때, 세포진검사에 부가하여 DNA 배수성 측정과 세포주기 분석을 함께 함으로써 폐암 진단의 예민도를 높일수 있었고, 비교적 특이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특히 조직을 얻기 어려운 경우들에서 DNA 분석의 진단적 의의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