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term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9초

PM10 장기노출 예측모형 개발을 위한 국가 대기오염측정자료의 탐색과 활용 (Exploration and Application of Regulatory PM10 Measurement Data for Developing Long-term Prediction Models in South Korea)

  • 이선주;김호;김선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4-126
    • /
    • 2016
  • Many cohort studies have reported associations of individual-level long-term exposures to $PM_{10}$ and health outcomes. Individual exposures were often estimated by using exposure prediction models relying on $PM_{10}$ data measured at national regulatory monitoring sites. This study explored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regulatory $PM_{10}$ measurement data in South Korea and suggested $PM_{10}$ concentration metrics as long-term exposures for assessing health effects in cohort studies. We obtained hourly $PM_{10}$ data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for 2001~2012 in South Korea. We investigated spatial distribution of monitoring sites using the density and proximity in each of the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PM_{10}$ measurement data were examined by annual/seasonal/diurnal patterns across urban background monitoring sites after excluding Asian dust days. F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PM_{10}$ measurement data, we compute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and coefficient of divergence (COD). Based on temporal and spatial investigation, we suggested preferred long-term metrics for cohort studies. In 2010, 294 urban background monitoring sites were located in South Korea with a site over an area of $415.0km^2$ and distant from another site by 31.0 km on average. Annual average $PM_{10}$ concentrations decreased by 19.8% from 2001 to 2012, and seasonal $PM_{10}$ patterns were consistent over study years with higher concentrations in spring and winter. Spatial variability was relatively small with 6~19% of CV and 21~46% of COD across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2010. To maximize spatial coverage and reflect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ur suggestion for $PM_{10}$ metrics representing long-term exposures was the average for one or multiple years after 2009. This study provides the knowledge of all available $PM_{10}$ data measured at national regulatory monitoring sites in South Korea and the insight of the plausible longterm exposure metric for cohort studies.

Effects of Feeding Patterns and Sexes on Growth Rate, Carcass Trait and Grade in Korean Native Cattle

  • Choi, B.H.;Ahn, B.J.;Kook, K.;Sun, S.S.;Myung, K.H.;Moon, S.J.;Kim,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6호
    • /
    • pp.838-843
    • /
    • 200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by three different feeding patterns in Korean native cattle (KNC). In each of 3 years, fifteen KNC were randomly assigned in a (3 feeding management)${\times}$(3 sex) factorial design experiment; thus, in total, there were 5 animals in each of the 9 treatments. The three feeding management treatments were longterm (24 month) restriction feeding (LTFR), long-term restriction feeding-hormone implant (LTFR-tH), and short-term (18 month) nonrestriction feeding (STFNR). Three sexes were bull, steer, and heifer. Concentrate diet was fed restriction-feeding method based on body weight in LTFR and LTFR-tH. However, the diet was fed ad libitum in STFNR. Hormonal implantation was made three times with M-$PO^{TM}$ for bulls and with F-$TO^{TM}$ for heifers at 18, 20, 22 month of age in LTFR-tH. Animal were purchased from the local cattle market and managed in two local farms and at the university research unit. Animals were slaughtered at 24 months for long-term trial and at 18 month for short-term trial. The growth rate was the highest in bulls and the lowest in heifers.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diminished in F-$TO^{TM}$ implanted heifers. The average daily gain was high in STFNR due to ad libitum feeding. The carcass grade was similar among the treatments on percentage bases. Hormonal implants improved significantly the meat quality grade in all sexes. Castration increased body fat content and improved meat quality grade by intramuscular fat deposition. In conclusion, long-term feeding and hormone treatment increased meat quality grade more than short-term feeding. However, ADG was higher in the short-term trial although feedefficiency was lower.

한강 하구역의 염분 분포 및 생태환경특성 (Salinity Distribu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of Han River Estuary)

  • 박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9-166
    • /
    • 2004
  • 한강 하구의 염분 및 생태 환경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기존에 발표된 논문과 국립수산과학원의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한강 하구의 염분 분포 특성을 구명하였으며, 염분과 연관하여 동식물플랑크톤, 저서생물 및 어류플랑크톤의 분포를 논의하였다. 염분의 시공간적 분포를 고려할 때 인천북항 주변 해역은 계절에 무관하게 연중 한강 유입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담수 유입량이 많은 하계에는 팔미도 해역까지 담수 영향권이 확대되었다. 반면 해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상한선은 한강 본류인 경기도 김포시 고촌면 신곡리의 신곡수중보에 이르며, 해침이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수역은 이보다 더 하류인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전류리로 판단된다. 동식물플랑크톤의 분포는 담수 및 해수 지역에서 혼재되어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염분의 분포 범위보다 훨씬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기수성 어류플랑크톤은 매우 제한된 수역에 분포하는 반면, 성어는 그 분포범위가 담수에서 해수에 이르는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경험적 분석에 의한 한강하구 환경의 문제점은 1)한강 하구 및 유수지역의 개발 압력에 따른 환경 파괴, 2)갯벌 매립에 의한 조간대 상실, 3)군사용 철책에 의한 육수전이환경(陸水轉移環境)의 생태적 단절이 매우 심각하였다.

  • PDF

심도자술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 환아에서 동맥내 Urokinase 국소 주입요법의 효과 (Intraarterial Catheter-directed Urokinase Infusion for Femoral Artery Thrombosis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in Infants and Children)

  • 이형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397-1402
    • /
    • 2002
  • 목 적 : 대퇴동맥 혈전증은 하지 절단같은 극단적인 재앙뿐만 아니라 하지의 성장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심도자술의 심각한 합병증이지만, 소아에서 이에 대한 표준적 치료법은 아직 정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저자는 심도자술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에서 urokinase의 동맥내 국소 주입요법의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심도자술 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으로 동아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동맥내 urokinase 국소 주입법을 이용해 혈전용해술을 받은 9명, 12례를 대상으로 하여, 병력지와 혈관조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대퇴동맥을 이용한 심도자술이 행해진 391례 중 전신적 헤파린 또는 urokinase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대퇴동맥 혈전증의 발생빈도는 2.8퍼센트였다. 2) 대상 환아들의 연령은 기하평균 5.8개월(1-71개월)이었고 체중은 $8.5{\pm}4.6kg$(3.5-20.5 kg)였다. 3) Urokinase는 1,000-4,400 unit/kg/hr로 $50.6{\pm}29.2$시간(18-110시간)에 걸쳐 주입하였는데, 치료중 2례에서 환측의 천자부위로 출혈이 있었으며, 한명은 수혈이 필요했다. 심도자술후 4일 이내에 치료를 시작했던 환아들은 모두 혈전의 완전 소실을 보였다. 혈전 형성후 각각 12일과 19일째 치료를 시작했던 2례는 호전되지 않아 풍선 혈관성형술을 실시하였는데 부분적으로 도움이 되었다. 결 론: 심도자술후 발생한 대퇴동맥 혈전증에서, 전신적 혈전용해제 투여로 회복되지 않으면, 반대측 대퇴동맥을 통한 국소적 동맥내 혈전용해제 투여를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허베이스피릿호 원유유출 사고 이후 태안주민의 식생활 변화 - 포커스 그룹 면담 결과 - (Changes of Eating Habits of the Residents of Taean, Korea after the Herbei Oil Spill Accident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 박지현;권성옥;정우철;허종일;오세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66-472
    • /
    • 2011
  • Hazardous chemicals, such a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heavy metals, are known as being harmful to human health were included in oils released by the Her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in December 2007. To investigate changes of eating habits by the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we conducted 5 focus group interviews for residents at Taean coast areas, who had experienced the oil spill accident. Participants included 46 women (mean age: $57.2{\pm}10.9$) who were mainly responsible for preparing family meals.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audio-taped, transcribed and categorized by themes. Participants expressed more frequent illness symptoms such as dizziness, vomiting, visual loss, and skin diseases after the accident. They mentioned that their worries about economic hardship and worsened health status since the accident induced ment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bout their children. Regarding eating habits, participants reported less intakes of fishes and meats and relatively more intakes of vegetables and kimchi due to the lack of household incomes after the accident. Although the participants had been used to collecting or catching fish or shellfish for their consumption previously, they mainly purchased these foods from local markets after the accident. Changes of eating habits induced by the accident included drinking boiled water and having steamed or fried seafood rather than raw seafood. Changes of food intakes occurred less frequently in older adults due to their longterm fixed eating habits, although they felt uncomfortable for having raw fish. The findings of this study clearly present that the exposure of hazardous substances by the oil spill accid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hanges in eating habits besides economic,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among the residents in Taean. Continuous health and nutrition monitoring and support are needed.

합성단면의 콘크리트 크리프 효과에 대한 일반화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Generalized Parameters on Concrete Creep Effects of Composite Section)

  • 연정흠;김의헌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629-638
    • /
    • 2009
  • 합성단면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단면에 크리프에 의한 장기변형이 발생되면 합성단면에는 추가의 변형이 발생되며 콘크리트 단면에는 장기변형의 일부구속으로 잔류응력이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복잡한 합성단면에서 콘크리트 단면의 장기변형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기존의 단계별계산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 하였다. 장기변형이 발생하는 콘크리트 단면과 이 변형의 일부를 구속하는 구속단면의 단면특성과 재료특성으로부터 초기 합성단면의 환산단면특성이 유도되고, 각 단계의 크리프계수가 고려된 유효탄성계수가 적용된 환산 단면특성이 유도되었다. 합성단면의 일반화 반응에 대한 5개의 일반화 매개변수로 구성된 단계별계산법의 식이 유도되었다. 각 단계별 계산식에는 크리프계수의 증가가 일정하도록 하여 식의 단순화와 계산시간의 감축 및 균등한 단계별 계산오차가 가능한 균등 크리프 단계별계산법을 제안하였다. 콘크리트 단면의 초기 축방향 탄성 변형률에 대한 일반화 반응은 콘크리트 단면적의 비율에 가장 민감하고, 콘크리트 단면의 단면이차모멘트 비율보다는 구속단면의 단면이차모멘트 비율에 보다 민감하였다. 반면에 콘크리트 단면의 초기 탄성곡률에 대해서는 콘크리트 단면의 단면이차모멘트 비율에 가장 민감하였다.

종사상 지위분류에 따른 산업분포변화: 부산, 1994~2004 (The Change of Industrial Distribution Pattern by Worker Status Classification : Busan, 1994~2004)

  • 강인주;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1-121
    • /
    • 2007
  • 도시산업구조의 진단과 예측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계획수립을 위한 주요한 과제이다. 지금까지의 산업관련 도시공간구조 연구들은 주로 도시산업체 자료나 총 종사자수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유형별 공간분포의 측정에 집중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비정규직 문제를 포함한 근로자의 종사상 지위가 중요한 이슈가 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읍면동 단위의 1994년 및 2004년 종사상 지위별 자료를 수집하고 동 변화자료를 기반으로 공간분석 단위를 일치시킨 후 GIS를 활용하여 종사상 지위분류체계 자료를 활용한 도시산업구조의 질적 변화를 공간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GIS환경에서 부산시 산업구조의 종사상지위 유형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이 한계에 부딪히고, 서비스업 및 도소매업은 영세한 생계형으로 진행되어 부산의 고용흡수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통계상으로는 종사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비정규직과 비임금 노동자가 급증하면서 부산지역 일자리의 질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전통적인 도심지는 쇠퇴하는 반면 신도시나 신흥공업단지가 형성된 지역,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 일자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발전의 근간이 되는 산업구조의 행태적 패턴 뿐 아니라 종사상지위라는 질적 평가를 통한 장기적 차원의 산업발전계획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 PDF

방사선조사(放射線照射)와 자연저온(自然低溫)에 의한 발아식품(發芽食品)의 Batch Scale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5보(第五報) : 장기저장(長期貯藏)된 조사(照射)밤의 조리적성(調理適性)에 대하여- (Batch Scale Storage of Sprouting Foods by Irradiation Combined with Natural Low Temperature -V. Cooking Qualities of Irradiated Chestnut after Long-term Storage-)

  • 양호숙;김종군;조한옥;변명우;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8-244
    • /
    • 1983
  •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에 의한 장기저장(長期貯藏) 밤의 조리적성(調理適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한 몇가지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밤의 갈변요인인 색도(色度)와 tannin성 물질은 저장기간이 경과할 수록 다소 증가하였으나, 저장말기(貯藏末期)에 조사선량(照射線量)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저장말기(貯藏末期) 밤의 정미성(呈味性)에 영향을 주는 유리당(遊離糖) 및 아미노산 조성(組成)은 적정조사선량(適正照射線量)인 25Krad구(區)에 있어 조사(照射)에 의한 영향은 보이지 않았다. 3. 저장말기(貯藏末期) 밤으로 제조한 밤초의 열량은 199Kcal/100g으로서 생밤의 159Kcal/100g 가시부에 비해 25%의 열량 증가를 보여 고(高)칼로리 영양식으로 기대된다. 4. 저장말기(貯藏末期) 제조한 밤초의 질감(質感)과 관능성(官能性)은 $20{\sim}25$Krad조선구(照船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코끼리 조개의 동결저장 중 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전처리의 효과 (The Effects of Pretreatment on the Lipid Oxidation of Korean Geoduck Muscle during Frozen Storage)

  • 유병진;최흥길;정인학;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6-304
    • /
    • 1993
  • 코끼리 조개의 동결저장 중 일어나는 품질저하의 주 요인인 지질산화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코끼리 조개육의 총지질함량은 $4.06\%$로 적으나 지방조성이 처리조건에 따라, 내장을 포함한 시료에서 중성지질이 $39.7\%$, 당지질 $6.8\%$, 인지질 $53.5\%$, 내장을 제거한 시료에서 중성지질 $46.1\%$, 당지질 $4.5\%$, 인지질 $49.5\%$, 그리고 blanching한 시료에서 중성지질 $51.9\%$, 당지질 $8.2\%$, 인지질 $39.9\%$로 인지질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으며 내장제거, blanching 등의 처리에 따라 인지질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지방산조성은 전 지질에서 포화지방산이 $35.22{\sim}38.48\%$, monoene산이 $19.81{\sim}22.35\%$, polyene산이 $39.25{\sim}42.60\%$로 polyene산의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주요 구성지방산은 $C_{16:0}$$17.20{\sim}20.07\%$, $C_{20:5}$$18.29{\sim}19.80\%$, $C_{22:6}$$10.25{\sim}11.15\%$$10\%$ 이상을 점하는 주요 구성지방산이었으며 그리고 $C_{18:0},\;C_{16:1},\;C_{18:1},\;C_{14:0},\;C_{20:1}$등이 $5\%$ 이상 차지하고 있었다. 저장 중의 지질산화는 POV의 증가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장 포함한 시료 VM과 내장제거한 생시료(RM)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저장 90일에 각각 3.72, 3.00meq/kg의 값을 보였으나 blanching한 시료(BM)에서는 저장 90일에 1.44meq/kg에 머물러 상당히 안정됨을 볼 수 있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조성의 변화에 있어서는 blanching에 의해 polyene산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이후 저장 중의 변화는 적어서 내장제거 후 blanching하여 동결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 PDF

밤의 Polyethylene Film 밀봉 저장 효과 (Studies on storing Chest - nut(Castanea crenata var. dulcis Nakai) Sealing with Polyethylene Film)

  • 이병영;윤인화;김영배;한판주;이정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31-335
    • /
    • 1985
  • 밤의 안전저장 방법을 개발하고자 충남 공주산 옥광밤을 공시품종으로 하여 호흡량 조사 및 P.E 필름 두께별 저장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수확후 호흡량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여 $20^{\circ}C$에서 수확 3일후에 35$CO_2$mg/kg/hr이었으며, 호흡량의 온도계수 $Q_{10}$은 2.4$\sim$2.7이었다. 그러고 방을 상온에서는 0.03mm 저온에서는 0.05mm P.E 필름으로 밀봉저장하는 것이 포장내의 가스농도가 C.A 저장의 적정가스농도에 접근하는 탄산가스 $5{\sim}6%$, 산소 3% 정도로 유지되어 감모율을 $8{\sim}15%$로 억제한 상태에서 $7{\sim}9$개월간 저장 가능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용성탄닌은 감소하고 환원당이 증가하여 식미가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