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itudinal studies

검색결과 933건 처리시간 0.022초

청소년의 학교폭력노출 유형에 따른 회복과 적응을 위한 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covery and Adaptation Factors According to Types of School Violence Exposure in Youth: Focusing o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 김동일;이혜은;금창민;박알뜨리;오지원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1호
    • /
    • pp.99-130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자료 중 3차 년도(2012년)에 학교폭력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보고한 초등학교 6학년 1,137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교폭력노출 청소년 유형(가해, 피해, 중복) 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6(2012), 중2(2014), 고1(2016)의 세 시점에서의 학교폭력노출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자기회귀 계수를 측정한 결과, 학교폭력노출의 모든 유형에서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정적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이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을 매우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교차지연효과의 경우, 이전 시점의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피해 경험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해 집단과 중복 경험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세 번째 연구 결과로, 회복탄력성에서 사회적지지로의 반대 경로에서는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의 경우에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이 다음 시점의 사회적지지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의 보호요인이라는 그동안의 횡단적 연구 결과를 종단적인 관점으로 보완하여, 학교폭력 가해 집단과 피해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오히려 사회적지지에 대해 낮게 지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해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 관계와 본 연구의 한계를 논하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실패경험이 기술혁신 활동과 기술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 제약 산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ilure Experiences on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ies: A Longitudinal Study of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 이재근;허문구
    • 기술혁신연구
    • /
    • 제26권3호
    • /
    • pp.69-97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제약 산업을 대상으로 실패경험이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개발, 지식탐색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실패의 원인을 규명하거나, 감소요건에 대한 고찰위주로 연구하였으나, 실패가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국내 제약 산업을 대상으로 10년간의 연구기간을 설정하여 실패가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혁신활동이 급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실패경험은 탐험적 혁신활동을 촉진시키며, 이는 재무적 여유자본의 크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실패경험은 지식탐색 측면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탐험적 혁신활동과 지식탐색범위의 상호작용은 급진적 혁신성과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패를 부정적 견해로 바라보던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학습과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검증하여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A Longitudinal Case Study of Late Babble and Early Speech in Southern Mandarin

  • Chen, Xiaoxiang
    • 비교문화연구
    • /
    • 제20권
    • /
    • pp.5-27
    • /
    • 2010
  •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 between canonical/variegated babble (CB/VB) and early speech in an infant acquiring Mandarin Chinese from 9 to 17 months. The infant was audio-and video-taped in her home almost every week. The data analyzed here come from 1,621 utterances extracted from 23 sessions ranging from 30 minutes to one hour, from age 00:09;07 to 01:05;27. The data was digitized, and segments from 23 sessions were transcribed in narrow IPA and coded for analysis. Babble was coded from age 00:09;07 to 01:00;00, and words were coded from 01:00;00 to 01:05;27, proto-words appeared at 11 months, and some babble was still present after 01:10;00. 3821 segments were counted in CB/VB utterances, plus the segments found in 899 word tokens. The data transcription was completed and checked by the author and was rechecked by two other researchers who majored in Chinese phonetics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we reached an agreement of 95.65%. Mandarin Chinese is phonetically very rich in consonants, especially affricates: it has aspirated and unaspirated stops in labial, alveolar, and velar places of articulation; affricates and fricatives in alveolar, retroflex, and palatal places; /f/; labial, alveolar, and velar nasals; a lateral;[h]; and labiovelar and palatal glides. In the child's pre-speech phonetic repertoire, 7 different consonants and 10 vowels were transcribed at 00:09;07. By 00:10;16, the number of phones was more than doubled (17 consonants, 25 vowels), but the rate of increase slowed after 11 months of age. The phones from babbling remained active throughout the child's early and subsequent speech. The rank order of the occurrence of the major class types for both CB and early speech was: stops, approximants, nasals, affricates, fricatives and lateral. As expected, unaspirated stops outnumbered aspirated stops, and front stops and nasals were more frequent than back sounds in both types of utterances. The fact that affricates outnumbered fricatives in the child's late babble indicates the pre-speech influence of the ambient language. The analysis of the data also showed that: 1)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CB/VB and early meaningful speech are extremely similar. The similarities of CB/VB and speech prove that the two are deeply related; 2) The infant has demonstrated similar preferences for certain types of sounds in the two stages; 3) The infant's babbling was patterned at segmental level, and this regularity was similarly evident in the early speech of children. The three types being coronal plus front vowel; labial plus central and dorsal plus back vowel exhibited much overlap in the phonetic forms of CB/ VB and early speech. So the child's CB/ VB at this stage already shared the basic architecture, composition and representation of early speech. The evidence of similarity between CB/VB and early speech leaves no doubt that phones present in CB/VB are indeed precursors to early speech.

남녀 노인의 만성질환 수와 우울감의 관계: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Elderly Men and Women: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 공희진;전혜정;주수산나
    • 한국노년학
    • /
    • 제40권3호
    • /
    • pp.511-5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수와 우울감의 관계에 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6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에 참여한 65세 이상의 기혼 남성 노인 585명과 여성 노인 460명이다. 주요 분석 변수는 만성질환 수, 배우자 관계 만족도, 우울감이며, 선행연구에서 노년기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 현재 흡연 여부 그리고 배우자의 만성질환 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조절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SPSS WIN 25.0을 사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남성 노인의 경우 배우자 관계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 만성질환 수는 우울감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요인이었지만, 높은 집단에서는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여성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남녀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른 것을 발견하였으며, 특히 노인 만성질환자가 정신적으로 건강한 노년기를 영위할 수 있도록 배우자라는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의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Change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Baby Boomer)

  • 송시영;전혜정;주수산나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347-362
    • /
    • 2019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지지(배우자 관계 만족도, 자녀 관계 만족도, 사회적 관계 접촉 빈도, 참여모임 수)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성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5차(2014년)와 6차(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베이비부머(1955년생부터 1963년생)로 5차와 6차 자료 모두에서 배우자와 자녀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다(N=1,210).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배우자 관계 만족도, 자녀 관계 만족도, 사회적 관계 접촉 빈도, 참여모임 수로 측정되었으며, 종속변수는 우울감 변화이다. 시차효과모델을 적용한 회귀식을 통해 우울감 변화를 통계적으로 모형화하였으며, 통제변수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성별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단계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사회적 지지와 성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성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배우자 관계 만족도와 자녀 관계 만족도는 우울감 변화에 대한 주효과가 발견되었지만 사회적 관계 접촉 빈도와 참여모임 수는 우울감 변화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우자와 자녀로부터의 지지는 베이비부머의 우울감을 낮추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남성과 여성 베이비부머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들 중 특히 부부관계와 자녀와의 관계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베이비부머의 우울감 감소를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Clinical performance and failures of zirconia-based fixed partial dentures: a review literature

  • Triwatana, Premwara;Nagaviroj, Noppavan;Tulapornchai, Chantan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2호
    • /
    • pp.76-83
    • /
    • 2012
  • PURPOSE. Zirconia has been used in clinical dentistry for approximately a decade, and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regarding the clinical performance and survival rates of zirconia-based restorations.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literatures published from 2000 to 2010 regarding the clinical performance and the causes of failure of zirconia fixed partial dentures (FPDs). MATERIALS AND METHODS. An electronic search of English peer-reviewed dental literatures was performed through PubMed to obtain all the clinical studies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zirconia FPDs. The electronic search was supplemented by manual searching through the references of the selected articles for possible inclusion of some articles.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longitudinal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cohort studies were the focuses of this review. Articles that did not focus on the restoration of teeth using zirconia-based restorations were excluded from this review. RESULTS. There have been three studies for the study of zirconia single crowns. The clinical outcome was satisfactory (acceptable) according to the CDA evaluation. There have been 14 studies for the study of zirconia FPDs. The survival rates of zirconia anterior and posterior FPDs ranged between 73.9% - 100% after 2 - 5 years. The causes of failure were veneer fracture, ceramic core fracture, abutment tooth fracture, secondary caries, and restoration dislodgment. CONCLUSI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zirconia FPDs was satisfactory according to either USPHS criteria or CDA evaluations. Fracture resistance of core and veneering ceramics, bonding between core and veneering materials, and marginal discrepancy of zirconia-based restorations were discussed as the causes of failure. Because of its repeated occurrence in many studies, future researches are essentially required to clarify this problem and to reduce the fracture incident.

Long-term assessment of periodontal disease progression after surgical or non-surgical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 Sanz-Martin, Ignacio;Cha, Jae-Kook;Yoon, Sung-Wook;Sanz-Sanchez, Ignacio;Jung, Ui-W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9권2호
    • /
    • pp.60-75
    • /
    • 2019
  • The primary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assess the evidence on periodontal disease progression after treatment in patients receiving supportive periodontal therapy (SPT) and to identify predictors of clinical attachment level (CAL) loss. A protocol was developed to answer the following focused question: In adult patients treated for periodontitis, what is the disease progression in terms of CAL loss after surgical or non-surgical treatment?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prospective cohort studies, and longitudinal observational human studies with a minimum of 5 years of follow-up after surgical or non-surgical treatment that reported CAL and probing depth changes were selected. Seventeen publications reporting data from 14 investigations were included. Data from 964 patients with a follow-up range of 5-15 years was evaluated. When the CAL at the latest follow-up was compared to the CAL after active periodontal therapy, 10 of the included studies reported an overall mean CAL loss of ${\leq}0.5mm$, 3 studies reported a mean CAL loss of 0.5-1 mm, and 4 studies reported a mean CAL loss of >1 mm. Based on 7 publications, the percentage of sites showing a CAL loss of ${\geq}2mm$ varied from 3% to 20%, and a high percentage of sites with CAL loss was associated with poor oral hygiene, smoking, and poor compliance with SPT. The outcomes after periodontal therapy remained stable over time. Disease progression occurred in a reduced number of sites and patients, mostly associated with poor oral hygiene, poor compliance with SPT, and smoking.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동향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Focused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 김점순;홍상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101-108
    • /
    • 2023
  • 연구의 목적은 노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RISS를 통해 검색된 논문 49편의 학술논문(일반적 특성, 연구대상, 연구자 수, 연구 변인, 연구방법)을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논문은 1988년도에 2편을 시작으로 한두 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2009년과 2010년도에는 소폭 증가하여 각 4편, 2014년에 5편이 발표된 이후로 큰 증가세로 이어지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표본 크기별로는 201~300인 경우가 14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 연구가 많았으나 동향 분석을 통해 2편의 질적 연구와 종단연구 2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주제어로는 여가 스포츠, 신체활동, 생활체육, 댄스 스포츠, 거동 불편 등 신체적 건강과 관련된 변수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노인에 관한 연구의 수가 증가돼야 할 것이며, 노년기의 삶 경험과 의미가 탐색 될 수 있는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Impact of dental imaging on pregnant women and recommendations for fetal radiation safety: A systematic review

  • Thiago Oliveira Gamba;Fernanda Visioli;Deise Renata Bringmann;Pantelis Varvaki Rados;Heraldo Luis Dias da Silveira;Isadora Luana Flores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4권1호
    • /
    • pp.1-11
    • /
    • 202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dental imaging in pregnant women with respect to fetal health. Materials and Methods: Searches were conducted of the PubMed, Scopus,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in May 2023. The inclusion criteria encompassed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ies that focused on the analysis of diagnostic dental imaging in pregnant women, as well as studies utilizing phantoms to simulate imaging examinations. The exclusion criteria consisted of reviews, letters to the editor, book chapters, and abstracts from scientific conferences and seminars. Results: A total of 3,913 articles were identified. Based on a review of the titles and abstracts, 3,892 articles were excluded, leaving 21 articles remaining for full-text review. Of these, 18 were excluded, and 4 additional articles were included as cross-references. Ultimately, 7 articles underwent quantitative-qualitative analysis. Three retrospective studies were focused on pregnant women who underwent dental imaging procedures. The remaining 4 studies utilized female phantoms to simulate imaging examinations and represent the radiation doses absorbed by the uterus or thyroid. Conclusion: Few dental radiolog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safe radiation threshold for pregnant women. Additionally, the reviewed articles did not provide numbers of dental examinations, by type, corresponding to this dose. Dental imaging examinations of pregnant women should not be restricted if clinically indicated. Ultimately, practitioners must be able to justify the examination and should adhere to the "as low as diagnostically acceptable, being indication-oriented and patient-specific" (ALADAIP) principle of radioprotection.

사회경제적 건강 불평등에 대한 생애적 접근법 (Lifecourse Approaches to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 강영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3호
    • /
    • pp.267-275
    • /
    • 2005
  • Evidence on the relation of socioeconomic position (SEP) with health and illness is mounting in South Korea. Several unlinked studies and individually linked studies (longitudinal study) showed a graded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EP and mortality among South Korean males and females. Based on the mortality relative ratios by occupational class reported in the published papers of South Korea and western countries, the magnitude of the socioeconomic inequality in mortality in South Korea seems to be similar to or even greater than that in western industrialized countries. A potential contribution of health related selection, health behaviors and psychosocial factors to explain this socioeconomic inequality in mortality was discussed. It was suggested that early life exposure measures would demonstrate a greater ability to explain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all-cause mortality than the above pathway variables in South Korea. This is based on the cause-specific structure of mortality among the South Korean population who have a relatively greater proportion of stomach cancer, hemorrhagic stroke, liver cancer and liver disease, and tuberculosis, which share early life exposures as important elements of their etiology, than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early and later life socioeconomic conditions in producing socioeconomic inequality in health may differ according to the outcome, thus remains to b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