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 span floor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기존 아파트 바닥의 수직진동 성능 평가 (Evaluation of Floor Vibration Existing in Apartment Building)

  • 한상환;이민정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21-22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측정과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기존 아파트 바닥의 수직진동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에 사용된 기준은 ATC-1(1999) 기준과 AISC-11(1997) 기준, 그리고 일본건축학회 기준(1991)이며, 우리나라 사람의 감성을 고려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수행된 인지실험으로 제안된 인지곡선(2003)을 함께 사용하였다. 뒤꿈치 충격하중(heel drop)과 보행하중(walking)을 이용한 현장 측정으로 바닥판의 동특성을 파악하고 최대가속도값을 측정하여 이를 기준과 비교하였다. 대상 바닥판의 동특성은 고유진동수가 17Hz~22Hz이고, 감쇠비는 3~4%이다. 수직진동 성능 평가에 앞서 현행 기준의 최소두께 기준과 대상 바닥판의 두께를 비교 검토한 결과 기준의 최소값은 만족하나, 단부 슬래브에 대한 10% 증대 항목을 적용하면 만족하지 않았다. 대상 바닥의 보행하중에 대한 최대가속도값은 모두 ATC-1(1999) 및 AISC-11(1997) 기준과 일본건축학회 기준(1991)을 만족하지 못하였고, 뒤꿈치 충격하중에 대한 최대가속도값은 64RC-L만 일본건축학회 기준(1991)의 제한값에 근접하며 만족하였다. 우리나라 사람의 감성이 고려된 인지곡선(2003)과의 비교 결과 보행하중과 뒤꿈치 충격하중에 대한 대상 바닥판의 최대가속도값은 모두 '약하게 인지' 수준과 '인지하지 못함' 수준에 사이에 분포하고 있어, '인지하지 못함'을 인지의 하한선으로 본다면 대상 바닥판에서는 모두 진동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으로 구한 1KN의 정적 집중하중에 대한 처짐은 모두 1mm 미만으로 10Hz 이상의 고유진동수를 갖는 바닥판에 대하여 고려하도록 하는 ATC-1(1999) 및 AISC-11(1997)의 최소 강성 기준은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가스공사 분당사옥 발파해체 시공사례 (Case Study on the Explosive Demolition of the KOGAS Office Building in Bundang District)

  • 김상민;박근순;손병민;김호준;김희도;김갑수
    • 화약ㆍ발파
    • /
    • 제36권4호
    • /
    • pp.48-61
    • /
    • 2018
  • 본 사례연구는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한국가스공사(KOGAS) 분당사옥 건물의 발파해체 프로젝트에 관한 것이다. 대상건물은 긴 경간을 갖는 보 구조물이라는 특징 때문에 프로젝트 초기에는 잭 서포트를 이용한 기계식 해체공법이 고려되었다. 하지만 과도한 보강비용과 안전상의 불확실성, 그리고 공사기간의 장기화 우려 때문에 발파해체공법을 대안공법으로 적용하였다. 폭약의 기폭순서는 붕괴과정 중에 주변의 건물 및 시설물 방호를 목적으로 정교하게 설계하였으며, 대상건물은 왼쪽 전방을 향해 붕괴되도록 유도하였다. 1층, 2층 및 5층에 위치한 발파기둥들에 설치된 폭약을 순차적으로 기폭시키는 데에는 총 550개 이상의 전자뇌관(Unitronic 600)이 사용되었다. 분진발생을 저감하기 위해 각각의 발파대상 기둥과 바닥에는 작은 물주머니와 큰 물주머니를 각각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본 프로젝트에서는 대상건물의 발파해체 시에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소음, 분진 및 충격진동을 경감시키기 위해 총체적인 노력을 경주하였다.

H형강을 사용한 합성트러스의 합성효과 (The Composite Action of Composite Truss Using H-Shaped Section Steel)

  • 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637-646
    • /
    • 2009
  • 바닥슬래브가 있는 경우 국내에서 설계되는 트러스보는 바닥 슬래브와의 합성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상하현재를 H형강으로 구성한 합성트러스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 합성트러스의 역학적 거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단연결재의 유무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체로서는 철골트러스, 비합성 및 합성트러스 등으로 이루어지며 가력방법으로는 중앙집중재하와 균등휨의 두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어 커넥터를 사용한 합성트러스의 합성효과가 실험적으로 확인되어졌다.

고강도 T형강을 사용한 합성트러스의 합성효과 (The Composite Effects of Composite Truss using High Strength T-shaped Steel)

  • 채대진;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37-645
    • /
    • 2012
  • 슬래브와 트러스 보의 합성효과를 고려한 합성트러스의 경우 단순히 고정하중으로 취급되던 슬래브를 구조체로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구조재료를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구조체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장스팬 설계의 중요 변수인 사용성 측면에서도 상당한 이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슬래브 하부에 다양한 설비 시설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보의 춤이 깊어지는데 대한 단점을 상당부분 상쇄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합성 트러스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 상하현재를 600MPa급 고강도강을 사용하여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스터드 커넥터의 유 무에 따른 합성 트러스의 역학적 거동 특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하현재로 일반강재를 사용한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고강도강으로 T형강을 사용한 경우는 일반강재를 T형강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구조성능에서 더욱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주택재개발사업 특성이 재입주에 미치는 영향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ttlement and Housing Redevelopment Characteristics)

  • 고덕균;김홍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01-107
    • /
    • 2005
  • The reason that compulsory removals of a low-quality housing redevelopment such as involuntary or unintentional migration present a problem for urban communities is that whether involuntary movers adapt themselves to their new home has an influence on the urban communities that surround them. Moreover, involuntary emigrants have higher probability of choosing faulty residential areas than voluntary emigrants do. This gives rise to a problem of another residential migration for involuntary mover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a new housing policy that enables original residents to come back to their old community. However studies for resettlement had not conducted subjects about housing redevelopment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s the involuntary movers directly. Instead personal microscopic characteristics such as statistics of resettlement, the moving distance, the reason of moving,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had been main subjects of farmer studi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ttlement and housing redevelopment characteristic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obtained at 47 areas designated by Seoul (metropolis) since 1990 for redevelopment. Cluster Analysis Is used for dividing high rate of resettlement with low rate of resettlement and Regression Analysis i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ttlement and housing redevelopmen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a redeveloped housing complex on returning residents at 47 areas designated by Seoul (metropolis) since 1990 fur re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A housing complex with a high returning rate (remove-in rate?) has no state/public land, unauthorized building owners who are in the low-income brackets, and few interested parties such as union members.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a redeveloped housing complex with a short-period project span. On the contrary, a housing complex that has a low returning rate is crowded by state/public land, and numerous unauthorized building owners, and interested parties. Second, According to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factors that affect returning residents, 'physical properties(characteristics) of a region', 'population properties within a region', and 'properties of a project span' indicate a negative(-)influence whereas 'properties of a complex density' shows a positive(+) influence. In a nutshell, the more the physical properties, population properties, projectspan properties, the lower the returning rate and the more the complex density properties, the higher the returning rate. In detail, an area with many small land and new/large buildings, a high population, and a long project duration has a low returning rate of original residents while an area holding large capacity and buildings with many number of floors (multiple-storied building) has a high returning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