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 hole blasting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8초

장공발파 시 천공간격과 기폭시차에 따른 최대주변형률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Maximum Principal Strain due to the Hole Spacing and the Detonation Delay Time in the Long-Hole Blasting)

  • 송정언;박훈;김승곤
    • 화약ㆍ발파
    • /
    • 제32권3호
    • /
    • pp.10-1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자유면을 가진 암반의 장공발파 시 천공간격과 뇌관의 기폭시차에 따라 발생되는 내부주변형률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Visual FEA 유한요소 프로그램으로 해석 암반의 단면을 모델링하여 인접공균열권 내의 주요 절점에서 최대주변형률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장공발파 시 천공간격이 좁고 기폭시차가 길수록 인접공 균열권 내에 미치는 최대주변형률 값이 크게 나타났고, 장약장 내 폭약의 기폭 위치에 따라 최대 주변형률의 차이를 보였다.

터널 장공발파에서 굴진율 개선 및 작업공정 시간 단축 사례 (Cas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unnel Advance Rate & the Time Reduction of Working Process in Long Hole Blasting About Tunnel Excavation)

  • 김희도;이준원;이하영
    • 화약ㆍ발파
    • /
    • 제31권2호
    • /
    • pp.32-39
    • /
    • 2013
  • 일반적으로 장공발파 방법은 과거 대규모 채탄막장이나 댐 기초굴착, 광산 등에서 행하여져 왔으나, 최근 우리나라에서 신설되는 토목터널에서 시공 효율성 및 경제성을 목적으로 많이 실시되고 있다. 고속국도제 600호선 부산외곽 고속도로 ${\bigcirc}$공구 또한 총연장 약 8km의 4차선 대단면 도로 터널로서 Type I, II, 4.4m 장공발파를 실시하는 현장이다. 그러나 당 현장에서는 발파 후 굴진율이 약 75%에 그쳐 발파 후속작업 시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전체 작업공정 시간이 증가하여 계획된 굴진을 못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당 현장에서 위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실시된 장공발파 공법 중 천공경과 가장 밀장전 할 수 있는 ${\phi}36mm$폭약을 적용하여 굴진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공정 시간을 단축시킨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고속도로 터널에 대한 전단면 발파 설계방안 연구 (Design guide for full-face blasting in highway tunnel)

  • 이상돈;최해문;이현구;류창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930-937
    • /
    • 2004
  • In tunnel blasting, rock damage and overbreak at excavation limits are strongly related to stability of the tunnel and cost for rock support, and also affect to maintenance after tunnel construction. In this study, many field tests and measurements have been carried out in highway tunnels so that discordance between blast design and practical production blasting could be settled and actual methods of over break control could be propos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in existing blasting patterns. Test blasting in tunnel was carried out many times in two tunnel sites. Also, long hole blasting longer than existing blasting pattern was executed for good grade of rock mass whose RMR value is more than 60. Using the results of test blasting, new standard blasting patterns for two lane tunnel were proposed. As a result of profile measurement after blasting, drilling is a major factor of overbreak. And then the methods for minimizing overbreak were adapted in new blasting patterns.

  • PDF

정밀발파의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Cautious blasting)

  • 허진
    • 화약ㆍ발파
    • /
    • 제8권3호
    • /
    • pp.3-13
    • /
    • 1990
  • First ot of all, under given condition such as bit gage of 36mm Drill bit with right class of jack-leg-experimental test carried out from two face of Bench, firing of each hole brought 90 degree Angle face and them measured length of Burden and charged ammount of powder as following. $ca=\frac{A}{SW}$ A=Activated Area A=nd i=m S=Peripheral length of charged, room Ca=Rock Coeffiecency d: di=Hole diameter When constructed subway of Seoul in 1980 the blasting works increased complaint of ground vibr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damage to structures. Some empirical equations were made as follows on condition with Jackleg Drill (Bit Gage 36mm) and within 30 meter distance between blasting site and structures. $V=K(D/W)^{-n}$ N=1.60 - 1.78 K= 48 - 138 Project is one of contineous works to above a determination of empirical equation on the cautious blasting vibration with Crawler Drill (70-75mm) in long distance. $V=41(D/\sqrt[3]{W})^{-1.41}$ $30m\le{D}\le{100m}$ $V=124(D/\sqrt[3]{W})^{-1.66}$ $100m\le{D}\le{285m}$.

  • PDF

정밀발파의 표준화(下) (Standardization of Cautious blasting)

  • 허진
    • 기술사
    • /
    • 제23권6호
    • /
    • pp.41-46
    • /
    • 1990
  • First of all, Under given condition such as bit gage of 36mm Drill bit with right class of jack-logs experimental test carried out from two face of Bench, firing of each hole brought 90 degree Angle face and them measured length of Burden and charged ammount of powder as following. (equation omitted) A=Activated Area A=ndi=m S=Peripheral length of Charged. room Ca=Rock Coeffiecency d : di=Hole diameter When constructed subway of Seoul in 1980 the blasting works increased complaint of ground vibr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damage to structures. Some empirical equations were made as follows on condition with Jackleg Drill (Bit Gage ø 36mm) and within 30 meter distance between blasting site and structures. V=K(D / W)$\^$-n/ N=1.60-1.78 K=48-138 Project one of contineous works to above a determination of empirical equation on the cautious blasting vibration with Crawler Drill(ø 70-75mm) in long distance. V=41(equation omitted) V=124(equation omitted).

  • PDF

장공 터널발파에서 Emulsion폭약의 시공사례와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f Application of the Emulsion Explosives in Long Hole Tunnel Blasting)

  • 조영곤;김희도;이상돈
    • 화약ㆍ발파
    • /
    • 제19권1호
    • /
    • pp.31-40
    • /
    • 2001
  • 일반적으로 장공발파(長孔發破) 방법(Long hole blasting method)은 그동안 주로 대규모 채탄막장이나 댐 기초굴착, 광산 등에서 행하여져 왔으나 최근 토목터널에서 시공 효율성 및 경제성을 목적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터널설계 패턴은 I -Type을 기준으로 3.5~3.8m 천공이며 신공법 적용시 최대 4.Om까지 설계되는 것이 보통이었다. 과거 착암장비는 천공장이 늘어남으로서 슬러지에 의한 천공속도가 저하되어 천공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빠른 슬러지 배제가 필요하고 Rod의 휨 현상에 의한 천공오차의 증대를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장비의 발달로 인하여 천공각도 및 천공장 등을 Computer로 모니터링하여 제어할 수 있어 정밀한 천공이 가능하여 졌고 또한, 고성능 에멀젼계 폭약(Super Emulsion)의 개발로 그동안 극 경암터널에서 에멀젼계 폭약의 단점으로 여겨졌던 비 장약량의 증대와 사압현상의 발생, 굴진효율 저하문제론 극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건설중인 대상현장을 중심으로 장공 터널발파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암질에 따른 새로운 Type별 설계기준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된 연구의 대상현장은 충북 괴산군 영풍면 소재 중부내륙(여주-구미간) 고속도로 제 9공구 이화터널 건설공사현장으로 $\varphi{102mm}$ 무 장약공 Cylinder 4공을 이용한 심발법을 사용하였으며 천공장은 최대 5.0m로 2000년 11일 15일에서 동년 12월 15일까지 31일간 총 112회의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평균 92%의 높은 굴진 효율을 기록하였다.

  • PDF

광산 통기수갱발파에서 전색조건이 발파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Effect of Stemming Condition in Mine Ventilation Shaft Blasting)

  • 김준하;김정규;정승원;고영훈;;김종관
    • 화약ㆍ발파
    • /
    • 제39권3호
    • /
    • pp.15-23
    • /
    • 2021
  • 통기 수갱은 지하공간 개발시 분진 또는 매연 등을 제거하기 위해 광산과 터널에서 사용되는 통로이다. 광산에서는 통기 수갱 개발을 위해 10~20m 구간의 크라운필라 영역을 1회의 장공발파로 굴착하는 공법이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천공오차를 파악하기 위해 장약공을 완전히 천공하였을 때 장약공 하부가 구속되지 않으며, 또한 이는 폭약 장약과 발파효율을 떨어트리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는 장약공 하부에 전색을 사용함으로 장약공 하부를 전색하여 폭약 장약의 문제를 해결하고 발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NSYS AUTODYN 2D SPH(Smooth particle hydrodynamics)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장약공 직경(45, 76mm)과 다양한 전색장을 달리한 통기 수갱 발파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또한 발파에 따른 하부의 대괴 사이즈, 저항선을 확인하여 최적의 하부전색장을 도출하였다. 해석 결과 하부전색장 30cm 이하의 경우 발파효율이 저하되며, 발파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30cm 이상의 전색장을 적용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도심지의 대심도 수직구 발파에서 지반진동저감 시공 사례 (A Case Study of Deep Shaft Blasting for Reducing Ground Vibration in Urban Area)

  • 황남순;김경현;김정환;정민성;이형진;나경민
    • 화약ㆍ발파
    • /
    • 제39권2호
    • /
    • pp.15-26
    • /
    • 2021
  • 2013년부터 국산 전자뇌관이 출시되면서 많은 석산 및 건설현장에서 폭넓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도심지에서 이루어지는 SOC 프로젝트의 경우, 대부분 민원을 줄이기 위해 대심도로 설계가 이루어지는 추세이다. 대심도 굴착개발은 작업구 및 환기구 등의 시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된다. 현장 인근에 보안물건이 위치한 경우, 기계식굴착공법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기계식굴착방법은 암반의 강도 및 굴착장비의 성능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기계식 굴착공법의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공사기간이 늘어나면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사례는 도심지내 대심도 수직구 현장에서 기계식굴착공법으로 설계된 현장을 전자뇌관 발파공법으로 전환한 사례이다. 전자뇌관을 이용하여 발파소음과 진동에 대한 환경규제기준을 충족시키면서 공사기간을 단축시켰다.

터널굴진에서 장약 및 기폭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Charging and Initiating Method in a Tunnel Excavation)

  • 오이환;원연호;임한욱
    • 화약ㆍ발파
    • /
    • 제24권2호
    • /
    • pp.1-8
    • /
    • 2006
  • 본 연구는 규석광의 터널 굴착시 굴진장 향상과 사압현상 및 소결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모든 장약공의 장약밀도를 다르게 적용하였다. 이 때 심발공은 동일 장약공내에 2개의 뇌관을 이용한 정기폭과 역기폭의 복합기폭방식을 도입하였다. 자유면 형성이 어려운 공저부분은 높은 장약밀도로 장전하고, 주상부분은 공저보다 낮은 장약밀도로 장전함으로써 폭약의 위력이 효과적으로 암반에 대응할 수 있는 공법인 복합장약기폭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경암이나 장공발파에서 흔히 발생되는 사압현상 및 소결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1회 천공장 대비 굴진장을 95% 이상 증대시킴으로써 약 15% 정도의 시공능율이 향상되고 비장약량이 20% 정도 감소되었다.

터널 발파 진동 저감을 위한 대구경 무장약공 천공 장비의 최적 세팅조건 산정을 위한 딥러닝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Setting of Large Uncharged Hole Boring Machine for Reducing Blast-induced Vibration Using Deep Learning)

  • 김민성;이제겸;최요현;김선홍;정건웅;김기림;이승원
    • 화약ㆍ발파
    • /
    • 제38권4호
    • /
    • pp.16-25
    • /
    • 2020
  • 터널 발파 굴착 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MSP(Multi-setting smart-investigation of the ground and pre-large hole boring method) 공법은 1회 천공 시 수평방향으로 50m에 달하는 장거리를 천공하기 때문에 고 중량 해머비트와 롯드의 일방향 회전으로 롯드의 처짐과 우향 현상이 동반된다. 이는 전문가의 경험과 시공 이력을 바탕으로 가변적인 세팅을 통해 일부 보정되고 있다. 그러나 암반 특성, 장비 상태, 경험 부족 등은 목표 지점으로부터 천공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큰 이격 오차 발생 시 재시공으로 인한 공기 증가와 경제적 손실이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상황별 천공 장비의 최적 세팅조건 산정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학습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과적합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dropout, early stopping, pre-training 기법들을 사용하여 향상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구경 천공 장비의 상황별 초기세팅 산정 모델 개발의 높은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과 다양한 인자들의 추가 학습을 통해 최적화된 세팅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