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 arm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7초

The effect of early arm exercise on drainage volume after total mastectomy and tissue expander inser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 Joo, Oh Young;Moon, Seung Jin;Lee, Dong Won;Lew, Dae Hyun;Lee, Won Jai;Song, Seung Yo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6호
    • /
    • pp.583-589
    • /
    • 2021
  • Background In prosthesis-based breast reconstruction patients, the drain tends to be kept in place longer than in patients who undergo only mastectomy. Postoperative arm exercise also increases the drainage volume. However, to preserve shoulder function, early exercise is recommend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arly exercise on the total drainage volume and drain duration in these patients. Methods We designed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involving 56 patients who underwent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following mastectomy using tissue expanders. In each group, the patients were randomized either to perform early arm exercises using specific shoulder movement guidelines 2 days after surgery or to restrict arm movement above the shoulder height until drain removal. The drain duration and the total amount of drainage were the primary endpoint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or mastectomy specimen weight between the two groups. The total amount of drainage was 1,497 mL in the early exercise group and 1,336 mL in the exercise restriction group. The duration until complete removal of the drains was 19.71 days in the early exercise group and 17.11 days in the exercise restriction group. Conclusions Exercise restriction after breast reconstruction did not lea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rainage volume or the average time until drain removal. Thus, early exercise is recommended for improved shoulder mobility postoperatively. More long-term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early exercise on shoulder mobility in prosthesis-based breast reconstruction patients.

Long-Term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Posterior Cervical Foraminotomy

  • Kwon, Young-J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6권3호
    • /
    • pp.224-229
    • /
    • 2014
  • Objective : To report long-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posterior cervical foraminotomy (MI-PCF) performed in patients with unilateral single-level cervical radiculopathy. Methods : Of forty-six patients who underwent MI-PCF for unilateral single-level radiculopathy between 2005 and 2013, 3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with a mean follow-up of 32.7 months. Patients were regularly followed for clinical and radiological assessment. Clinical outcome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the neck/shoulder and arm, and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Radiological outcome was measured by focal/global angulation and disc height index (DHI). Outcomes after MI-PCF were evaluated as changes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parameters from the baseline. Mixed effect model with random patients' effect was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in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parameters repeat measures. Results :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nd all patients had an uneventful recovery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VAS scores for neck/shoulder and arm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3 months) and were maintained with time (p<0.001). NDI improved significantly post-operatively and tended to decrease gradually during the follow-up period (p<0.00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focal and global angulation at follow-up. Percent DHIs of the upper adjacent or operated disc were maintained without significant changes with time. During the follow-up, same site recurrence was not noted and adjacent segment disease requiring additional surgery occurred in two patients (6%) on the contra-lateral side. Conclusion : MI-PCF provides long-term pain relief and functional restoration, accompanied by good long-term radiological outcome.

노년여성을 위한 재킷패턴 연구 (A Study on the Jacket Pattern for Elderly Women)

  • 배주형;김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1008-101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ppropriate jacket pattern for elderly women over sixty years old, providing a good fit and appearanc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ength of the jacket was made long enough to cover the area 22.0cm below the waistline. The waist back length was made 1.7cm longer than the actual size of the waist back length. The armhole length was made 0.5cm longer than B/4, enhacing the appearance and functionality while allowing freer movement of the arms. As for the front and back interscye breadths, the front interscye breadth was made 1.7cm larger than the actual size while the back interscye breadth was only 1.0cm larger, providing the front interscye breadth more space. The bust breadth was made 10.0cm larger than the bust circumference measure(B/4+2.5cm), the waist breadth was made 6.0cm larger than the waist circumference measure(W/4+1.5cm), The hip breadth was made 12.0cm larger than the him circumference measure(H/4+3.0cm). The sleeve length was made 3.0cm larger than the arm length measure, as the sleeve length of a jacket is usually long enough to cover the ulnar styloid. The sleeve width was made 5.0cm larger than the upper arm circumference measure, as the upper arm circumference measure of the model pattern was too large than necessary, worsening the overall appearance. The sleeve cap height was set at AH/4+4.7cm. The wrist circumference of 27.0cm was set, allowing 2/3 and 1/3 for the large sleeve and small sleeve respectively.

염색체 17q22 염색체내 결손으로 진단된 1례 (A Case of 17q22 with Interstitial Deletion)

  • 강소연;이범희;김구환;최진호;유한욱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58-61
    • /
    • 2011
  • 저자들은 출생 후 소두증 및 양안격리증과 넓은 콧마루, 얇은 입술 등의 특징정인 얼굴 모습, 손가락마디 융합증과 근위부에 위치한 엄지 손가락 등의 손의 기형이 있으면서 양측 청력 장애와 진행하는 관절의 구축을 보였던 남아의 염색체 검사에서 17번 염색체 장완의 q22-q24 부분의 염색체내 결손(interstitial deletion)을 확인한 1례를 경험하였으며 이는 국내 첫 보고이다.

제 3기 포항분지의 학전층과 두호층에서 산출된 거미불가사리 화석 (Cenozoic Brittle Stars (Ophiuroidea) from the Hagjeon Formation and the Duho Formation, Pohang Basin, Korea)

  • 성미나;공달용;이봉진;이성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4호
    • /
    • pp.367-376
    • /
    • 2009
  • 신생대 제3기 포항분지의 두호층과 학전층으로부터 총 40점의 거미불가사리 화석을 채집하였다. 학전층에서 총 32개체, 두호층 8개체로 학전층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보존 상태는 오히려 두호층에서 더 완전한 보존 상태를 보이며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불량하여 종 수준까지의 감정은 불가능하다. 즉, 대부분의 표본들은 분절된 형태로 발견되었고, 분류학상으로 중요한 중심판(disk)과 판(plate)등의 세부적인 구조는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발견된 거미불가사리 화석은 중심판과 팔의 형태나 완절의 구조 등에 따라 크게 3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그룹 1은 학전층에서 산출된 거미불가사리 화석들로 대부분 분절된 팔만이 보존되어 있고, 완판은 팔로부터 분리되어 완절이 드러나 있으며, 완극은 길고 곧게 뻗어 있으며, 촉수공(tentacle pores)이 보존된 특징을 갖는다. 그룹 2는 두 호층에서 산출된 표본들로(4 개체) 짧고 원뿔 형태의 완극을 가지며 완판이 잘 보존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 화석들은 측완판(lateral arm plates)이 복완판(ventral arm plates)이나 배완판(dorsal arm plates)에 비해 크기가 작다. 그룹 3은 외형은 희미하나 원형의 중심판이 뚜렷하게 보존되어 있는 것들로 두호층에서만 4개체가 발견되었다. 포항분지에서 발견된 거미불가사리 화석의 보존 특징과 각 지층의 이미 알려진 퇴적학적 조건 및 암상관계를 비교 검토해 본 결과 이들이 상호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학전층에서 발견된 거미불가사리 화석들(그룹 1)은 상대적으로 보존상태가 불량한데, 이는 사암 또는 사질 이암이 우세한 역질 사암이 퇴적되었던 상대적으로 좀 더 고 에너지의 퇴적환경의 영향 때문으로 해석된다. 반면 두호층의 표본(그룹 2, 3)들은 개체 수는 적지만 상대적으로 완전한 보존 상태를 보이는데, 이는 세립질의 이암이 퇴적되는 상대적으로 저에너지 환경에서 재퇴적 및 이동 없이 퇴적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학전층에서 거미불가사리 화석의 산출량이 더 높은 이유는 이들이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에 많이 모여 살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UHF RFID 모듈을 이용한 원거리 데이터 전송 전용단말기 개발 (The Development of Terminal for Long Distance Data Transmission Using UHF RFID Module)

  • 황기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2465-247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ARM 칩(AT91SAM7S256), UHF/RF RFID R/W 모듈(WJR7090) 및 Bluetooth통신(FB755AC)을 이용하여 UHF RFID R/W에 적합한 원거리 데이터 전송 전용단말기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UHF RHID R/W 전용 단말기는 RFID Tag값을 Tagging하고 그 값을 Bluetooth를 통해서 서버로 전송하고, 전송한 RFID Tag값을 DB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단말기에 전송하였다. 개발한 전용단말기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성능실험을 실시하였고, 개발한 단말기의 우수성 및 송수신패킷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원발성 소세포폐암에서 염색체 5번의 장완에 위치한 종양억제유전자좌의 확인 (Identification of Tumor Suppressor Loci on the Long Arm of Chromosome 5 in Primary Small Cell Lung Cancers)

  • 조은송;김호근;조철호;장준;정경영;김영삼;박재민;김성규;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1호
    • /
    • pp.49-59
    • /
    • 2000
  • 연구배경 : 암 발생 및 진행 과정 중 암유전자의 활성화, 종양억제유전자의 불활성화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종양억제유전자의 불활성화는 많은 경우에서 하나의 대립형질의 돌연변이와 다른 대립 형질의 결손에 의한다고 한다. 따라서 암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 특이 종양 억제유전자를 찾고자 종양 억제유전자 불활성의 특성인 LOH를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를 시행하여 왔다. 아직까지 소세포폐암과 관련된 특이 유전자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원발성 소세포폐암의 발생과 진행에 병인적 중요성을 갖는 종양억제 유전자를 찾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원발성 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15명의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암 조직과 이에 대응하는 정상 조직의 파라핀포매 블록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였으며, 염색체 5번 장완에 위치하는 19개의 현미부수체 표지자들을 이용하여 PCR-LOH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15예 중에서 LOH가 1개라도 관찰된 경우는 10예로 66.7%이었다 (Fig. 1). 2) LOH가 있는 10예 중 검사를 시행한 모든 표지자들의 결혼이 있는 경우는 2예(SCLC1, SCLC3)로써 13%이었다 (Fig. 1). 3) 경사를 시행한 19개의 표지자들중 5개에서 50% 이상의 LOH 빈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5q14-15에 위치하는 D5S409와 5q23-31에 위치하는 D5S404와 사이인 18.3 cM 간격에서 57.1%, 5q31.l에 위치한 IRF-1에서 63.6%, 5q31.3-33.3에 위치하는 D5S209에서 54.5%, 5q34-35에 위치하는 D5S400에서 54.5%, 그리고 5q34-qter에 위치하는 D5S429와 5q35.2-35.3에 위치하는 D5S498사이인 5.5cM 간격에서 75%의 빈도로 관찰되었다(Table 1, Fig. 1, Fig. 2). 4) Shifted bands는 15예 중 3예에서 관찰되었는데 SCLC8에서 26.3%, SCLC 6 에서 5.3%, SCLC14 에서 5.3%의 altered loci가 관찰되었다 (Fig. 1, Fig. 2). 5) Shifted bands는 검사한 총 285 loci 중 2.5%인 7 loci에서 관찰되었다 (Fig. 1). 결론 : 염색체 5번의 장완에는 원발성 소세포폐암 일부에서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 최소 5개의 종양억제유전자좌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특이 유전자를 찾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낙지 Octopus minor 수컷 생식기관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Microscopic Anatomy of Male Reproductive Organ in the Long Arm Octopus Octopus minor (Cephalopoda: Octopodidae))

  • 김성진;김현진;신소령;서명교;김평우;김은하;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8-185
    • /
    • 2023
  • 본 연구는 낙지의 생식생태 이해에 필요한 수컷 생식기관과 정포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기재하였다. 낙지는 교접완의 유무를 통하여 성을 구별할 수 있는 성적이형을 갖는 종이다. 수컷 생식기관은 정소, 일차수정관, 저정낭, 이차수정관, 정포선, 정포낭으로 구성된다. 정소는 조직학적으로 정세관형이었으며, 수컷 생식세포들은 층상배열상을 보였다. 일차수정관은 정소와 저정낭을 연결하는 관으로 상피층과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저정낭은 일차수정관과 이차수정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피층은 상피세포와 점액세포로 구성된다. 점액세포는 AB-PAS (pH 2.5) 반응에서 푸른색, AF-AB (pH 2.5) 반응에서 보라색으로 반응하였다. 이차수정관은 저정낭과 정포선을 연결하는 짧은 관으로 내강에 주름이 발달하였다. 정포선은 다수의 관상선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분비세포는 호산성 과립을 가지고 있었다. 정포낭은 주머니 모양으로 내강에 주름이 발달하였으며, 상피층에 공포상의 분비세포가 존재하였다. 정포는 길이 약 83.5 mm로 전방부의 당김사, 중간부의 발사체와 고정체, 후방부의 정자 저장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상지혈류를 보전한 쇄골하동맥피판 대동맥성형술 (Repair of the Coarctation of the Aorta Using the Subclavian Artery as a Flap and Preservation of Arterial Blood Flow to the Left Arm)

  • 허동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6호
    • /
    • pp.625-630
    • /
    • 1991
  • From April 1990 through June 1990, three patients underwent subclavian flap aortoplasty for relief of the coarctation of the aorta. The age of the patients were 13 days, 7 months and 39 months and their weights were 3.3kg, 6.5kg, and 11kg, respectively. Two patients had persistence of the ductus arteriosus and all patients had associated intracardiac anomalies. We used the technique devised by Mendonca, namely, repair of the coarctation of the aorta using the subclavian artery as a flap and preservation of the arterial blood flow to the left arm. In one patient with long narrowing of isthmus, significant residual pressure gradient was remained by this technique and we added patch aortoplasty. There were no hospital deaths and follow-up over a one year period shows all patients in good condition.

  • PDF

손상된 선박의 구난 기술 및 안전 예항에 관한 연구(1) - 손상시의 선체 자세 및 잔존 복원성 평가법 - (A Study on Rescue Technique and Safe Tow of Damaged Ship(1) - Prediction of Final Drafts and Residual Stability of Ship in Damage -)

  • 손경호;이상갑;최경식;안영규;김윤수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83-90
    • /
    • 1997
  • Damage stability is generally very important as a part of rescue technique of damaged ship and also in connection with the requirements of MARPOL73/78[2]. Damage stability calculat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and suggest, which can be used on an onboard computer for any operating drafts. The program is based on lost buoyancy method for calculation of final drafts, and also based on added mass method for calculation of residual righting arm. The numerical method suggested by Hamamoto-Kim[6] is adopted for calculation of intact righting arm(GZ). The model experiments on damage stability are also carried out in a small tank with tanker model 2.385 meters long.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calculations by the suggested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