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 K

검색결과 4,631건 처리시간 0.035초

콩의 초기 흡습속도의 온도의존성 (Temperature Dependence of Initial Adsorption Rate of Soybean)

  • 김종군;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60-363
    • /
    • 1989
  • 콩을 상대습도 57-86%, 온도 $16^{\circ}-34^{\circ}C$에서 100시간 저장할 때, 콩의 초기홉습은 다음 식으로 표시되었다. log dw/dt=b log t+log a. 여기에서 w는 수분함량(%), t는 시간이다. 식으로부터 계산한 저장시간(t)에 따른 수분함량(w)은 실측치와 잘 일치하였다. 초기 흡습속도의 활성화에너지는 상대습도에 상관없이 15,500cal/g-mole 정도이었고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온도 $16^{\circ}-28^{\circ}C$에서의 콩의 흡습속도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었다. log(log dw/dt)=-15,500/2.303 RT.

  • PDF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급식용 식재료 및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품질평가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for Raw Materials and Cooked 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 Establishment)

  • 신원선;홍완수;이경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79-389
    • /
    • 2008
  • 학교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와 이를 이용하여 조리한 식품에 대한 미생물적 품질검사를 위하여 2005년 6월${\sim}$7월, 9월${\sim}$10월의 2회로 나누어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11개교에서 원료 식재료와 이를 이용하여 조리한 식품시료(54종 64품목)를 수거하였다. 수거한 시료 중 장내세균은 전처리 채소에서 $0.86{\sim}6.78$ log CFU/g, 육류(돼지고기, 쇠고기, 닭봉)에서 $2.08{\sim}5.18$ log CFU/g, 어류(고등어, 코다리, 동태)에서 $2.20{\sim}4.1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양념된 채소인 생채류와 샐러드에서 $2.99{\sim}5.30$ log CFU/g, 숙채류에서는 $2.45{\sim}4.2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반 가공 식품인 J교의 떡국떡, D교의 두부에서도 각각 0.72와 2.44 log CFU/g의 장내세균이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전처리 야채인 쪽파(1.74 log CFU/g), 비전처리 야채에서 방울토마토(3.70 log CFU/g), 깻잎(3.59 log CFU/g), 쑥갓(3.15 log CFU/g), 미나리(0.20 log CFU/g), 파슬리(3.00 log CFU/g) 등 5건이 검출되었고, 육류는 돼지고기(0.65 log CFU/g), 쇠고기($0.20{\sim}1.50$ log CFU/g), 닭봉(1.78 log CFU/g)에서 검출되었다. 조리된 식품에서는 숙채류인 무청된장무침에서 1건(1.24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다중검출 유전자분석법(Multiplex PCR)을 이용한 유전자분석방법으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aureus, B. cereus, C. jejuni, V. parahaemolyticus, Shigella spp. 8종을 검출하여 확인한 결과, 8건의 조리된 음식과 식재료 19건에서 B. cereus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B. cereus의 정량검사 결과, 깻잎 5.46 log CFU/g, 청포묵무침 1.79 log CFU/g, 쪽파(전처리) 3.48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조리식품인 청포묵무침과 코다리조림은 원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조리된 식품에서 B. cereus가 검출되어 조리과정에서의 교차오염으로 판단되었다. E. coli O157:H7은 냉동쇠고기에서 2건이 검출되었고 1건이 API kit로 확인 동정(93.7%)되었다. L. monocytogenes는 유전자분석결과 튀김 1건에서 검출되었으나 전통적인 배지법으로 확인 실험한 결과, 의심집락은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C. jejuni는 전처리한 양파에서 검출되었다.

실내실험을 통한 김해점토의 투수특성 평가 (Evaluation of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Kimhae Clay by Laboratory Tests.)

  • 김동휘;임형덕;김진원;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47-654
    • /
    • 2000
  • During consolidation, the permeability of clay decreases with void ratio because of the reduction in total void space. After Kozeny(1927) and Carman(1956),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the relations between void ratio and permeability. Most of the relations are expressed in the following forms as : (1) log e - log k(1+e), (2) e - log k, or (3) log e - log k. These relations have been found valid for a large number of normally consolidated clays. From laboratory test(CRS and I $L_{CON}$) results, the relation between void ratio and permeability of Kimhae clay was well defined in all of the three forms. Permeability change index, $C_{k}$, of Kimhae clay was in the range of 0.64~1,03 and average value of $C_{k}$ was 0.821. And the test results satisfied the experimental correlation between $C_{k}$ and e, $C_{k}$=0.5e. In log e - log k(1+e) relation, constant C was in the range of 1.91~4.74$\times$10$^{-8}$ cm/sec and n was in the range of 3.74~4.60.c and n was in the range of 3.74~4.60.74~4.60.0.

  • PDF

임분재적(林分材積) 측정법(測定法)의 효율적(效率的) 개선방안(改善方案)에 관(關)한 연구(研究) (Studies on the Efficient Improvement of Measurement Methods of Stand Volume)

  • 이종락;윤종화;이흥균;김장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3호
    • /
    • pp.181-192
    • /
    • 1987
  • 각산정(角算定) 측정법(測定法)으로 임분재적(林分材積)을 추정(推定)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기, 충남북, 강원지역 등의 소나무임분(林分)에서 표준지(標準地) 164개소(個所)를 선정(選定)하여 각(各) 조사인자별(調査因子別)로 실측(實測)하고 Plotless Sampling 방법(方法)으로 측정(測定)한 자료(資料)를 가지고 임분재적(林分材積) 조제방법(調製方法)과 Plotless Sampling 법(法)에 필요한 각종(各種) 표(表)를 조제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검토(分析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산정(角算定) 측정법(測定法)에 의하여 측정(測定)이 가능(可能)한 임분평균수고(林分平均樹高), ha 당(當) 단면적(斷面積), 단면적수고(斷面積樹高)의 측정치(測定値)와 표준지(標準地)에서 측정(測定)한 실측치(實測値) 사이에는 회귀계수(回歸係數) b 가 거의 1인 Y=bx 의 회귀계수(回歸係數)가 성립(成立) 하였으며 이들 사이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어 소나무림(林)에서 각산정(角算定) 측정법(測定法)로 임분재적(林分材積)을 추정(推定)할 수 있다. 2. Dendrometer 로 측정(測定)이 가능한 인자(因子)를 이용(利用)하여 구한, 가장 적합(適合)한 임분재적식(林分材積式)은 log V = -0.0208+0.8497 log G. H., log V = -0.0028+0.7981 log G+0.9313 log H 이며 본식(本式)에 의하여 조제된 임분재적표(林分材積表)는 Table 4, 5와 같으며 표(表)에 의한 측정치(測定値)와 실측치간(實測値間)의 추정오차율(推定誤差率)은 1변수재적표(變數材積表)가 9.16%, 2변수재적표(變數材積表)가 8.50%이었다. 3. 각산정(角算定) 측정법(測定法)에 의한 임분재적(林分材積) 추정시(堆定時) 필요(必要)한 인자(因子)인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 형상단면적(形狀斷面積), 임분형수(林分形數) 등을 구할 수 있는 가장 적합(適合)한 추정식(推定式)은 다음과 같다. FH=D/(1.5205+0.0994 D) log FH=0.0451+0.2429 log D+0.3474 log H log FG=-0.0380+0.7758 log G-0.0066 log H F=H/(-5.1697+2.6013 H) F=FH/(-3.1256+2.7611 FH) log F=-0.0634-0.0848 log GH-0.1224 log Di 4. 이와 같은 식(式)에 의하여 조제한 임분형상고표(林分形狀高表)는 Table 7, 8과 같으며 이의 추정오차율(推定誤差率)은 임분평균직경(林分平均直徑)에 의한 1변수표(變數表)와 임분평균직경(林分平均直徑) 및 임분평균수고(林分平均樹高)에 의한 2변수표(變數表)는 각각(各各) 8.05%, 8.32%이며 단면적(斷面積)과 임분평균수고(林分平均樹高)의 2변수(變數)에 의한 형상단면적표(形狀斷面積表)는 Table 9와 같고 이의 추정오차율(推定誤差率)은 9.76%이었다. 또한 임분형수표(林分形數表)는 Table 10, 11, 과 같으며 이의 추정오차율(推定誤差率)은 임분평균수고(林分平均樹高),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에 의한 1변수표(變數表)는 각각(各各) 5.58%, 5.39%이고 단면적(斷面績) 수고(樹高)와 수간거리(樹幹距離)에 의한 2변수표(變數表)는 4.30% 이었다.

  • PDF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Kimchi and Its Ingredients

  • Lee, Ji-Hyun;Ha, Ji-Hyoung;Lee, Hae-Won;Lee, Jae Yong;Hwang, Ye-Seul;Lee, Hee Min;Kim, Sung Hyun;Kim, Su-Ji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4-1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김치 제조시 철저한 재료 세척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더불어 비가열 식품인 김치의 위생 안전성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미생물 저감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국내에서 유통되는 김치 원 부재료 200건의 세척 전과 후의 비교분석과 시판 김치 100건에 대하여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김치 원 부재료 및 완제품에 대하여 일반세균수, 대장균 및 대장균군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병원성 미생물 9종(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정성 정량, Staphylococcus aureu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Campylobacter jejuni/coli,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정성)을 분석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김치 원 부재료 및 완제품에서 일반세균은 1.4~9.0 log CFU/g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원 부재료 중 생강에서 8.8 log CFU/g, 완제품 중 총각김치에서 9.0 log CFU/g으로 일반세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장균군은 0.5~7.3 log CFU/g으로 확인되었으며, 생강에서 7.3 log CFU/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병원성 미생물 9종의 분석결과, Bacillus cereus를 제외한 나머지 8종의 식중독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김치 제조 시 사용되는 김치 원 부재료들의 세척공정 후 미생물 수는 일반세균수 0.2~3.2 log CFU/g, 대장균군 0.3~2.7 log CFU/g, Bacillus cereus 1.0~3.9 log CFU/g 감소하였다. 따라서, 김치 원 부재료의 세척 공정으로 미생물 오염도를 감소 시켰으며, 이 결과를 통하여 김치 완제품의 위생 및 저장성 증진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on Cultivation Environment of Strawberry and Tomato in Korea

  • Oh, Soh-Young;Nam, Ki-Woong;Kim, Won-Il;Lee, Mun Haeng;Yoon, Deok-H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10-51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icrobial hazards for cultivation environments and personal hygiene of strawberry and tomato farms at the growth and harvesting stag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irty strawberry farms and forty tomato farms located in Korea and tested for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the S. aureus and B. cereus, a total of 4,284 samples including air born, soil or medium, mulching film, harvest basket, groves and irrigation water etc. were collected from eight strawberry farms and nine tomato farms for one year. As a result, total S. aureus and B. cereus in all samples were detected. Among the total bacteria of strawberry farms, S. aureus (glove: $0{\sim}2.1Log\;CFU/100cm^2$, harvest basket: $0{\sim}3.0Log\;CFU/100cm^2$, soil or culture media: 0~4.1 Log CFU/g, mulching film: $0{\sim}3.8Log\;CFU/100cm^2$), B. cereus (glove: $0{\sim}2.8Log\;CFU/100cm^2$, harvest basket: $0{\sim}4.8Log\;CFU/100cm^2$, soil or culture media: 0~5.3 Log CFU/g, mulching film: $0{\sim}4.5Log\;CFU/100cm^2$)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The total bacteria of tomato farms, S. aureus (glove: $0{\sim}4.0Log\;CFU/100cm^2$, harvest basket: $0{\sim}5.0Log\;CFU/100cm^2$, soil or culture media: 0~6.1 Log CFU/g, mulching film: $0{\sim}4.0Log\;CFU/100cm^2$), B. cereus (glove: $0{\sim}4.0Log\;CFU/100cm^2$, harvest basket: $0{\sim}4.3Log\;CFU/100cm^2$, soil or culture media: 0~5.9 Log CFU/g, mulching film: $0{\sim}4.7Log\;CFU/100cm^2$)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The contamination of S. aureus and B. cereus were detected in soil, mulching film and harvest basket from planting until harvest to processing, with the highest count recorded from the soil. But S. aureus and B. cereus were not detected in irrigation water samples. The incidence of S. aureus and B. cereus in hydroponics culture farm were less than those in soil culture. The amount of S. aureus and B. cereus detected in strawberry and tomato farms were less than the minimum amount required to produce a toxin that induces food poisoning. In this way,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food poisoning bacteria was lower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the Korea strawberry and tomato, but problems can be caused by post-harvest management method.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create a manual for sanitary agricultural environment management, and post-harvest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to reduce the contamination of hazardous microorganisms.

상추와 생산환경의 미생물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 김세리;이지영;이서현;김원일;박경훈;윤혜정;김병석;정덕화;윤종철;류경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9-295
    • /
    • 2011
  • 본 연구는 상추를 대상으로 재배~수확 후 단계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이천지역 상추농가와 수확 후 처리시설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E. coli)과 병원성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을 조사하였다. 상추 생산과정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일반세균수 수준은 4.0 log CFU/(ml, g, $100\;cm^2$, hand)이었다. 또한 수확 후 처리시설에서 사용되는 장갑에서 E. coli가 3.5 log CFU/hand로 비교적 높게 검출되었고, B. cereus는 토양과 저울에서 각각 3.5 log CFU/g, 2.6 log CFU/$100\;cm^2$로 타시료에 비해 높았다. 특히 정식 후 10일 째 상추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및 B. cereus의 오염수준이 정식 후 62일째 상추 보다 각각 l.19, 1.87, and 1.94 log CFU/g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및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상추의 유해 미생물 오염은 생산단계부터 발생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유해미생물의 오염을 사전에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산에서부터 소비까지 위해요소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Dithiocarbamate 금속착물의 분배 및 추출평형(제2보). Ammonium Pyrrolidine Dithiocarbamate의 금속착물 (Studies on Partition and Extraction Equilibria of Metal-Dithiocarbamate Complexes(II). Metal Complexes of Ammonium Pyrrolidine Dithiocarbamate)

  • 이종선;최종문;최희선;김영상
    • 분석과학
    • /
    • 제8권3호
    • /
    • pp.321-334
    • /
    • 1995
  • 흔적량 금속이온인 Co(II), Ni(II) 및 Cu(II)의 ammonium pyrrolidine dlthiocarba-mate(APDC) 착물을 용매추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킬레이트제인 $4{\times}10^{-5}M$ APDC의 클로로포름에 대한 추출에서 가장 큰 분포비 (log D=1.3543)는 pH 2.0에서 나타났으며, 이때 분배계수($K_{p.HPDC}$)는 2.489였다. 수용액과 유기용매층에서 이들 착물의 UV/Vis 스펙트럼을 얻었는데, 안정한 착물을 형성하는 pH는 각각 Co(II):5.0, Ni(II):8.0 및 Cu(II):8.0이었고 금속이온과 APDC는 1:2의 착물을 형성하였으며, 1분만 흔들어 주어도 정량적으로 유기층에 분배되었다. 유기용매로의 분배 및 추출평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M(PDC)_2$ 착물을 합성하여 클로로포름에 $10.0{\mu}g/ml$가 되게 녹이고, HCl 용액과 NaOH 용액으로 pH를 조절한 수용액으로 역추출을 하였다. 분포비와 추출률은 $Co(PDC)_2$의 경우 PH6.5~8.5에서 log D=2.834 : E(%)=99.a%9 $Ni( PDC)_2$는 pH 11.0에서 log D=5.699 : E(%)=100%, 그리고 $Cu(PDC)_2$는 pH 6.0에서 log D=2.025 : E(%)=99.1%의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추출상수와 착물의 생성상수는 각각 $Co(PDC)_2$는 log $K_{ex}=9.671$ : log ${\beta}_2=6.938$, $Ni(PDC)_2$는 log $K_{ex}=9.646$ : log ${\beta}_2=7.071$, $Cu(PDC)_2$는 log $K_{ex}=9.074$ : log ${\beta}_2=7.049$였다. 이런 결과들로부터 흔적량 금속이온을 분리 농축하는 최적의 추출과정을 작성할 수 있으며, 정밀소재 및 환경시료 등에서 매트릭스의 영향없이 정량할 수 있음이 기대된다.

  • PDF

Stellar surface gravity extracted from Wilson-Bappu effect

  • 박선경;강원석;이정은;이상각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39.1-139.1
    • /
    • 2012
  • Wilson and Bappu (1957) fou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BR) between the absolute magnitude ($M_v$) and the width of the Ca II K emission line (W) for late type stars. In this study, we revisit the WBR to claim that WBR can be an excellent indicator of stellar surface gravity. We analyze 95 high-resolution spectra of G, K and M type stars obtained with UVES and BOES. WBR found in this work is $M_v$=34.22-18.34logW. In addition, stellar atmospheric parameters ($T_{eff}$, logg, [Fe/H], ${\xi}_{tur}$) are determined with the MOOG code and the Kurucz ATLAS9 model grids for G and K type stars. For M type stars, the method of Belle et al. (1999) is used to derive effective temperature which shows good agreement with other methods. Using the derived $T_{eff}$ and the measured logW,we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gg and [logW, logT]; ${\log}g-_{fit}=-25.051-5.527{\log}W+10.254{\log}T_{eff}$. This relation can be applied to estimate the surface gravity of M type stars, which is difficult to be determined by other meth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