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region competitio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4초

대경권 친환경에너지산업 집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irm Agglomeration of Green Energy Industry in Daegyeong Region)

  • 윤칠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89-705
    • /
    • 2010
  • 본 연구는 대구경북에 소재한 친환경에너지기업을 사례로 입지현황 및 집적 특성을 클러스터 관점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친환경에너지산업육성을 위한 정책입안의 대안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주된 자료는 2010년 6월 21일에서 7월 23일에 걸쳐 기업체와 환경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이다. 대구경북의 친환경에너지기업은 주로 경북의 포항과 구미, 대구의 달서구에 집적되어 있다. 대경권 친환경에너지기업 존립기반의 핵심적 요소는 지역 내 대기업의 입지와 동종기업의 기술적, 지리적 근접성을 들 수 있다. 즉 대경권은 대기업이 신재생에너지를 신수종사업으로 채택하고 설립한 기업이 중심이며 주된 입지요인은 관련 원자재 확보보다는 교통 및 통신의 편리성, 지역 수요자의 높은 품질 기대 수준, 기술적, 지리적 근접성, 지역 동종기업과 경쟁이며, 현재 애로사항으로는 기술 및 연구개발 금융지원과 전문인력 양성 지원이었다. 향후 대경권 친환경에너지산업의 정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인프라 구축지원 혹은 세제 혜택 등에 초점을 맞춘 지원 정책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기업수요에 기반한 기술개발 관련 금융지원, 지역 전문인력양성 및 종사자 재교육 프로그램도입과 친환경에너지산업 분야의 정책과제 발굴에 대경권 친환경에너지산업 육성정책의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PDF

한국 지방대학의 중국유학생 유치·관리방안 (Enrollment Elevation to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Local Universities in Korea)

  • 정건섭;뢰송림;심문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27-340
    • /
    • 2010
  • 세계경제 단일화의 가속화에 따라,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점차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서방 선진국들은 세계 각국 유학생들의 유학 선호 국가가 되어버렸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교육자원, 환경, 정책 등 여러 문제로 각 지방 대학이 유학생 유치에 불리한 위치에 처한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는 중국과 한국 양국의 문화 교류 증대와 양국 간의 지리적 접근성에 힘입어 많은 한국 학생의 중국 유학과 동시에, 중국 유학생 또한 한국 각 지방대학의 주요 입학자원이 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의 중국 유학생 수는 신속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한국의 유학생 교육제도 또한 끊임없이 개선되고 있지만, 유럽, 미국 등 선진 국가나 한국 수도권 대학의 교육 환경적 우세 조건에 비하면 한국 지방대학의 중국 유학생 유치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제시해 본다면, 우선 한국 지방 대학의 중국 유학생 유치는 유리한 점이 있는 반면 또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어떻게 중국 유학생이 선호하는 특색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고, 중국 유학생의 학습과 발전에 적합한 "One-Stop (신속, 빠른, 편리한) 교육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가, 또 어떻게 유학생 교육의 관리 체계와 모델을 완성하여 중국 유학생과 지방대학이 다함께 Win-Win할 수 있는가? 이런 점들이야 말로 한국의 각 지방대학 중국 유학생 관리자들이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겠다.

병원시장지역 내 경쟁 정도가 의원급 의료기관의 항생제 처방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gree of Competition of the Hospital Market Regions on Clinic's Rate of Antibiotics Prescription)

  • 조창익;임재영;이수연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0권2호
    • /
    • pp.129-155
    • /
    • 2008
  • 급성상기도감염증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은 의료기관의 유형, 표시과목, 의료기관이 위치한 지역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1차 의료기관인 의원들 중 내과, 소아과, 이비인후과 의원의 급성상기도감염증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에 환자의 특성과 같은 의학적 요인이 아닌 의원의 수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의원 수의 변화(경쟁 정도의 변화)와 같은 경제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2006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전국 각 의료기관의 급성상기도감염증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을 주 자료원으로 하여, 경쟁지수를 두 가지 형태로 정의하고 수요 측면을 나타내는 변수와 공급 측면을 나타내는 변수를 통제변수로 선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쟁지수를 어떤 형태로 정의하든, 의원이 위치한 지역의 경쟁정도는 의사들의 항생제 처방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장지역 내 경쟁 정도의 변화와 같은 경제적 요인이 의사들의 처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라고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인과관계의 방향과 관련하여, 의사가 진료하는 지역의 경쟁 정도가 높아질수록 항생제 처방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의 진료수입 감소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환경의 변화에 대해 자신의 진료수입을 예전상태로 보전하기 위해 불필요한 의료서비스 소비를 유도해서 얻는 편익(소득효과)이 이를 위해 자신이 지불해야 할 비용(대체효과)보다 크기 때문에 항생제 처방률을 증가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적 유인체계의 변화에 대하여 의사의 진료행태가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Logistics Infrastructure of Container Terminals in Northern Vietnam

  • Nguyen, Minh Duc;Kim, Sung-June;Jeong, Jung Sik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05-310
    • /
    • 2016
  • The sea-port in Northern Vietnam accounts for around one third of the total country's cargo throughput and for many decades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logistics system of the country. 11 container terminals currently operate in Northern Vietnam, concentrating in Haiphong city and Quang Ninh province.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 the competition among these container terminals has become increasingly more critical. In recent years, massive investments from both government and operator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the local sea-port's logistics infrastructure. This critically needed comprehensive research evaluates the impact of the current logistics infrastructure condition on the competitiveness of terminals and quantitatively compares the competencies of these terminals. In order to meet such requirements, the paper first summarizes the indicators of the logistics infrastructures of the sea ports before developing and testing hypothese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iven factors and the annual throughput of container terminals in the region. Factor analysis will then be applied to score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competency of each container terminal. A significant gap between logistics infrastructures among all container terminals was not observed and the competitiveness between container terminals is mostly driven by traditional activities including cargo handling and storage. According to the results, strategic thinking will be needed to contribute to related organizations for better decisions in investment, management, and operation.

지역화폐운동의 소비문화적 의미 연구: "한밭레츠" 참여자의 소비행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Consumption Culture of Community Currency Movement: Focusing on "Hanbat-LETS" Participants' Consumer Behavior)

  • 천경희;이기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93-61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sumption cultural meaning of Community Currency Movement - a substitute currency institution - through an analysis of consumption behaviors and attitudes of Hanbat-LETS participants, who are recognized as the most active among Korea Community Currency Movements. The analytical method adopted in this study is the 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method, along with the Focus Group Interview.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Hanbat-LETS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following consumption behaviors and attitudes: economical consumption behavior creating the currency value,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consumption behavior shared with community, consumption behavior free from the need of competition and ownership, satisfaction from offering one's property, equal status and relationship among members, merry and happy attitude toward life. Community Currency Movement implies the consumption cultural meaning as followings: emergence of alienation through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society, practice of environment-friendly value, activation of region economy, development of one's ability and means of redemption of unemployment, construction of trustworthy society via trust.

  • PDF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Evaluation of Urban Cultural Tourism Creative Industry in Pan-Yangtze River Delta

  • Mengmeng, Shao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12호
    • /
    • pp.15-21
    • /
    • 2018
  • Purpose - In order to improve the comprehensive competitiveness of cultural tourism creative industries in the region, different grade cities should adapt to local conditions and differentiated development as the angle. It can promote the optimization of regional tourism industry structure, and make relevant suggestions accordingl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tourism creative industry, 24 indicators are selected from four aspects. The comprehensive competitiveness evaluation index system of cultural tourism creative industry is constructed. The essay use factor analysis to quantitatively evaluate 27 cities in the Pan-Yangtze River Delta, and use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the competitiveness of cultural tourism creative industries in each city into five types. Results -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show that the whole area presents five kinds of step-like features, which are mature leading type, the advantageous development type, comparatively advantageous type, well-grounded type and difference-promotion type. Conclusions - The factor analysis method was us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27 cities in the Pan-Yangtze River Delta, and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classify the cultural tourism creative industry competitiveness of each city into fives type city. Based on the differentiation of cultural tourism creative industry competitiveness and 27 cities in the Pan-Yangtze River Delta, the relevant strategies were proposed.

창조융합시장을 위한 유럽 연합 (EU)의 시장과문화적 지역특화방안 (Creative Cultural Localization Ways and IT Market of the EU to Converge the Creative Industries)

  • 서대성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27-33
    • /
    • 2015
  • Purpose - The ICT market in the EU is lagging behind that of the US; however, algorithm and software development within the EU have grown steadily, and they involve focusing on the creative cultural convergence conceptualized as part of Horizon 2020 and connecting neighboring markets in the EE and the Mediterranean region.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requirements to market the EU's creative ICT development in emerging industrial countries after examining its applicability in these countr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deals with data pertaining to the EU's creative industry and competitive edge. The global cultural expansion of the EU facilitates a new concept involving not only low-cost IT products to enhance local cultural artifacts through R&D and the construction of efficient infrastructure services, but also information exchange with a realistic commercialization of the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for creative cultural localization. In the European industry, research on algorithms has been applied for the benefit of consumers. We investigated how the process is conducted in the EU. Results - Europe needs to adjust its economic structure to the local culture as part of IT distribution convergence. The convergence has been converted into a production algorithm with IT in the form of low-cost produc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n attempt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nsport infrastructure, workforce availability, and the distribution of the distance to the local industries and consumers, using IT algorithms. Integrated in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ICT infrastructure and solutions, smart localized regional clusters are formed with the help of grafting. Europe has own strategy to increase the number of hub-and-spoke cities. Europe is now becoming integrated, with an EPC system for regional cooperation rather than national competition in ICT technology. Europe has also been recognized in this study as changing the step-by-step paradigm for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new creative culture industries. Conclusions - As a result, there are several ways of converging with others through EU R&D intensity; therefore, the EU can be seen as successfully increasing marginal value, which is useful in developing a special industrial cluster or local cultural cities that create converged development by connecting people and objects with IT. In fact, when compared to the US, Europe has a strong culture and the car industries have a tendency to overshadow the IT industries with integration of services in IT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rapid environmental changes, the convergence of IT services is likely to take place in Europe, similar to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the automotive industry. This requires a focus on human resources and automated systems management. The trend is to move away from low-wage industries, switched to key personnel centers of the local university-industry. EU emphasizes the creation of IT market demand in Europe involving local cultural convergence for marketing as the second step to strengthen the economic hub-and-spoke areas.

협력적 거버넌스와 영남권 지역 발전: 개념적 재고찰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Development of the Yeongnam Region : a Conceptual Reconsideration)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27-449
    • /
    • 2015
  • 네트워크 거버넌스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정부와 시장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새로운 사회정치적 질서를 구축하고자 하는 참여와 협력의 과정이며, 이러한 점에서 협력적 거버넌스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지방(정부) 간 협력적 거버넌스는 이중적 협력관계, 즉 지방정부들 간 협력과 각 지방 내 정부기관과 시민사회 간 협력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협력적 거버넌스의 핵심 요소인 협력은 신뢰와 호혜성을 전제로 한 규범성이 아니라 경쟁과 대립에 바탕을 둔 전략으로 이해된다. 또한 협력적 거버넌스의 모형은 이러한 협력의 구조적 배경에 대한 분석과 절차적 과정 및 실재적 과정에 관한 고려도 포함시켜야 한다. 협력적 거버넌스에 내재된 규범성은 실제 거버넌스의 구축에는 제대로 반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자유주의적 전략을 위한 명분으로 동원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협력적 거버넌스의 개념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그람시적 관점에서 협력적 거버넌스는 '정부+시민사회'에서 동의와 저항이 동시에 작동하는 헤게모니적 거버넌스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오스트롬의 이론의 급진화에 바탕을 두고, 협력적 거버넌스는 자율적 의사결정 주체들의 다중심성을 만들어나가는 다중심적 거버넌스로 이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방들 간 협력적 거버넌스는 단지 담론적 과정이라기보다 물질적 토대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지역들 간 연계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경제적 상호보완성과 물적 인프라의 구축을 요구한다.

  • PDF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역산업 육성정책의 개선방안 - 호남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s of Supporting projects in the regional industry for Regional Competitiveness -Focused on Honam Region-)

  • 박상옥;원유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036-2047
    • /
    • 2014
  • 세계도시의 흐름 속에서 국가 간 장벽이 허물어지면서 무한경쟁의 세계화 및 지식경제시대에 대한 지역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세계 각국은 앞다투어 산업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산업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기술혁신과 지식창출을 촉진하는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 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단순히 정책적 과제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지자체의 많은 관심과 역할이 중요하며 장기적으로 지역산업과 관련된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지를 분석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산업 육성정책의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지역산업 육성정책의 세부 지원사업을 PLS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영향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산업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산업 육성정책은 '인프라활용, '기술개발', '마케팅', '투자유치', '인력양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지역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산업 육성정책은 '연구지원', '기술이전', '투자유치', '인력양성', '네트워킹'으로 도출되었고, 셋째, 산업발전은 지역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연안습지의 자연현황 분석 및 그 활용에 관한 연구 - 태안 신두리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nalysis of a Conservation state and a Sustainable use of the Coastal Wetland - A case study of Sindu-ri area in Tae-an -)

  • 방광자;이동근;강현경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1호
    • /
    • pp.71-8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a conservation state and a sustainable use of coastal wetland in Sindu-ri Tae-an, using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and the awareness result of local residents by published paper. To investigate a forest structure in Sindu-ri area, twenty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The community, is divided by three groups. The divided groups are Robinia pseudoacacia(I), Pinus thunbergii-Robinia pseudoacacia(II), Robinia pseudoacacia(III). Survey site I is simple canopy layer and deteriorative forest. Survey site II is grassland and swamp, where Pinus thunbergii-Robinia pseudoacacia is dominant trees of vegetation. Robinia pseudoacacia is competition species with Pinus thunbergii in survey site II. Survey site III is barren land(sand-hill) where main species is Robinia pseudoacacia. As a result, survey II district is considered as the most suitable for the conservation of species diversity. It is proposed in this paper that the ecological nature trail would be connected in survey site I and II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local residents of Tae-an, where natural environment is well-conserved, prefer conservation to development of the region. In case of Tae-an, where the condi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is well conserved and the development potential exists, the development is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