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recurrence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37초

두경부의 Adenoid Cystic Carcinoma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박준식;설대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2-14
    • /
    • 1981
  • 1859년 Billroth가 부비동에 발생한 종양을 "Zylindrome" 이라고 처음 명명한 이후 cylindroma, basaloma, basaloid adenoma, cribriform adenocarcinoma등으로 일컬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adenoid Cystic carcinoma라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종양은 주로 두경부의 타액선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그외 기관, 폐, 유방, 피부 등에서도 드물게 생긴다고 한다. 이 종양은 근치수술과 같은 광범위한 외과적 절제후에도 국소재발이나 원격전이가 많으며 방사선 치료로서 완전치유는 불가능 하나 종양의 축소와 동통의 소실등 경감치료에 좋은 효과를 보여 주는 것이 그 특징이다. 저자들은 1963년 1월부터 1980년 l2월까지 전주 예수병원에서 진단받은 adenoid cystic carcinoma 44례에 대하여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동기간의 두경부 악성종양중 3.8%를 차지하며 타액선 악성종양중 40%였었다. 2) 가장 흔한 원발장소는 구개, 악하선으로 각각 8례이며 그외 상악동이 6례 비강이 5례, 이하선, 설부위가 각각 4례였다. 3) major gland가 13례(31%), minor gland가 29례 (69%)였 다. 4) 성별은 남자 21례, 여자 23례로 남여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5) 연령빈도는 19세에서 78세 사이로 평균 연령은 50세 였다. 6) 초친시 종양의 크기는 4∼6cm가 10례로 가장 많으며 임상적 경부 임파전이가 7례, 원격전이가 1례 였다. 7) 27례에서 근치수술을 시행 하였으며 이 중 14례는 수술과 방사선 병용 요법을 시행하였다. 8) 추적 관찰이 가능 하였던 29례에서 gross 3-year survival은 27.6%, determinate 3-year survival은 44.4%였다. 이 중 근치수술 받은 12례 있어서 3-year survival rate는 58%였다. 9) 29례중 10례에서 치료후 국소 재발을 보였다. 치료와 국소 재발 간의 기간은 3개월에서 88개월이며 이중 3례는 5년 이후였다. 10) 치료후 원격전이를 보인 것은 3례이며 전이장소는 모두 폐 였다.

  • PDF

역분화 연골육종의 임상 결과 (The Clinical Outcome of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 공창배;이승용;송원석;조완형;고재수;전대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4-171
    • /
    • 2019
  • 목적: 역분화 연골육종은 저 악성도의 연골육종과 골육종, 섬유육종 등 고 등급의 육종이 같이 관찰되는 매우 드문 악성 골종양이다. 저자들은 원자력병원에서 경험한 역분화 연골육종 환자들의 임상 양상과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부터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역분화 연골육종으로 진단된 이후 치료 받은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나이, 성별,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위치 및 크기, 병기, 자기공명영상, 수술적 절제연,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 발생 시간, 추시 기간 및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생존율 분석에는 Kaplan-Meier 생존율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남자가 7예, 여자가 4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54세(33-80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대퇴골이 6예, 골반골이 4예, 중족골이 1예였으며 종양의 평균 크기는 12.7 cm (6.0-26.1 cm)였다. 진단 당시 증상은 8예에서 동통, 2예에서 종괴였으며, 나머지 1예는 방사선에서 우연히 발견된 골병변이었다. 진단 시 병적 골절이 동반된 환자는 2명이었으며, 병기는 1예에서 IIA기, 9예에서 IIB기, 1예에서 III기였다. 8예가 원발성, 3예가 속발성 역분화 연골육종이었으며, 원발성 중 1예는 방사선적으로 저 등급의 연골육종으로 오인되어 소파술을 시행받은 후 진단되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7개월(5-56개월)이었고, 국소 재발이 8예, 원격 전이가 10예에서 발생했다. 국소 재발은 평균 8개월(2-23개월), 원격 전이는 평균 7개월(1-32개월)에서 관찰되었다. 역분화 연골육종 환자의 Kaplan-Meier 3년 생존율은 18%였으며, 10명의 환자가 질병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결론: 역분화 연골육종은 조기에 폐 전이가 발생하여 매우 좋지 않은 예후를 갖는 치사율이 높은 악성 골종양으로 확인되었다.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brain metasta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Won, Yong Kyun;Lee, Ja Young;Kang, Young Nam;Jang, Ji Sun;Kang, Jin-Hyoung;Jung, So-Lyoung;Sung, Soo Yoon;Jo, In Young;Park, Hee Hyun;Lee, Dong-Soo;Chang, Ji Hyun;Lee, Yun Hee;Kim, Yeon-Si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3권3호
    • /
    • pp.207-216
    • /
    • 2015
  • Purpose: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has been introduced for small-sized single and oligo-metastases in the brai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reatment outcome, efficacy, and prognostic variables associated with survival and intracranial recurrenc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123 targets in 64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treated with SRS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12. Treatment responses were evaluat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Overall survival (OS) and intracranial progression-free survival (IPF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13.9 months. The median OS and IPFS were 14.1 and 8.9 months, respectively. Fifty-seven patients di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5-year local control rate was achieved in 85% of 108 evaluated targets. The 1- and 2-year OS rates were 55% and 28%, respectively. On univariate analysis, primary disease control (p < 0.001),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0-1 vs. 2; p = 0.002), recursive partitioning analysis class (1 vs. 2; p = 0.001), and age (<65 vs. ${\geq}65$ years; p = 0.036) wer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OS. Primary disease control (p = 0.041) and ECOG status (p = 0.017) were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IPFS. Four patients experienced radiation necrosis. Conclusion: SRS is a safe and effective local treatment for brain metastases in patients with NSCLC. Uncontrolled primary lung disease and ECOG statu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S and intracranial failure. SRS might be a tailored treatment option along with careful follow-up of the intracranial and primary lung disease status.

사지에 발생한 편평세포 상피암의 치료 (Treat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 이두형;신규호;이수현;한수봉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6-133
    • /
    • 2005
  • 목적: 화상흔, 만성골수염 등의 고위험인자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예후가 서구에 비해 나쁜 것으로 알려진 우리나라의 사지에 발생한 편평세포 상피암의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8월부터 2002년 9월 사이에 본원에 내원당시 원격전이가 없었고, 치료 후 36개월 이상 외래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광범위 절제술 및 절제연을 얻기 힘든 사지 말단부나 신경, 혈관계를 침범한 경우에는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57.2세였고, 남자와 여자는 각각 16명과 4명이었다. 병기는 TMN Stage를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절제한 병변의 조직학적 분화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48.3개월(36~84개월)간의 외래 추적 결과 총 6예(30%)에서 전이가 있었다. 근접 림프절로의 전이가 3예, 원격전이가 3예였으며 원격 전이 장소로는 폐가 3예, 흉추가 1예였다. 최종 추시 상 생존은 18예였고 5년 생존률은 50%였다. 국소재발이 3예에서 있었으며 재발된 평균 시간은 11개월(4~18개월)이었다. 합병증으로 광범위 절제술 시행 후 이식 피부의 부분적인 착상 실패가 2예가 있었다.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 군은 평균 1.9번의 수술을 받았고, 절단술을 시행한 군은 평균 1.3번의 수술을 받았다. 결론: 우리나라에 상대적으로 흔한 사지에 생긴 화상 반흔이나 만성 골수염에 속발한 편평 세포 상피암은 높은 전이율을 보였으며, 광범위한 절제연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절단술과 비슷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for stage I glottic cancer: a short-term outcomes compared with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 Cho, Ick Joon;Chung, Woong-Ki;Lee, Joon Kyoo;Lee, Min-Cheol;Paek, Jayeong;Kim, Yong-Hyub;Jeong, Jae-Uk;Yoon, Mee Sun;Song, Ju-Young;Nam, Taek-Keun;Ahn, Sung-Ja;Lee, Dong Hoon;Yoon, Tae Mi;Lim, Sang-Chu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7권4호
    • /
    • pp.271-278
    • /
    • 2019
  • Purpos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reatment outcomes between two radiation techniques,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and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60 (IMRT = 23, 3DCRT = 137) patients with stage I glottic cancer treated from January 2005 through December 2016. The IMRT was performed with TomoTherapy (16 patients), volumetric-modulated arc therapy (6 patients), and step-and-shoot technique (1 patient), respectively. The 3DCRT was performed with bilateral parallel opposing field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30 months (range, 31 to 42 months) in the IMRT group and 65 months (range, 20 to 143 months) in the 3DCRT group. Results: The 5-year overall survival and 3-year local control rates of the 160 patients were 95.7% and 91.4%,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3-year local control rates between the IMRT and 3DCRT groups (94.4% vs. 91.0%; p = 0.587). Thirteen of 137 patients in the 3DCRT group had recurrences. In the IMRT group, one patient had a recurrence at the true vocal cord. Patients treated with IMRT had less grade 2 skin reaction than the 3DCRT group, but this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4.3% vs. 21.2%; p = 0.080). Conclusion: IMRT had comparable outcomes with 3DCRT, and a trend of less acute skin reaction in stage I glottic cancer patients.

늑골 막에 생긴 골 외 유잉 육종 (Periosteal Ewing's Sarcoma of the Rib)

  • 신동일;김정태;장운하;오태윤;이원진;방윤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404-407
    • /
    • 2009
  • 43세 여환이 2달 전부터 간간히 생긴 좌측 흉부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시행한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상 좌측 흉부에 계란 모양의 종괴가 발견되었다. 신경원성 종양과의 감별이 어려워 국소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조직 검사상 늑골 막에 생긴 골 외 유잉 육종으로 판명되었다. 양전자방출 단층 촬영 시행후 전이가 없어 재수술로 광범위 국소 절제술 및 흉부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항암 화학 요법으로 치료하였다. 환자는 1년간의 항암 화학 요법 치료를 받고 있으며 국소 재발 없이 건강한 상태이다. 환자의 나이와 종양의 기원이 일반적인 골 외 유잉 육종과 다른 특징이 있었다. 이에 국내에서 드물게 보고된 늑골 막에서 생긴 골 외 유잉 육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견갑관절 주위 악성종양의 치료경험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Tumors in Shoulder Girdle)

  • 송석환;장주해;강용구;김정만;김형민;이승구;우영균;박원종;문명상;김양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8-76
    • /
    • 1995
  • 견갑관절 주위의 악성종양 치료후의 기능평가를 위하여 저자들은 1991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견갑관절 주위 악성종양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받은 9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남자 5례, 여자4례이었고, 나이는 최저 22세, 최고 64세로 평균 47세이었다. 연부조직 종양이 2례(MFI,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ce 각각 1례)이었는데, 1례는 forequarter 절단, 1례는 광범위 절제술로 치료하였다. 골종양은 7례(chondrosarcoma 2례, osteosarcoma, MFH, plasmacytoma, thyroid carcinoma metastasis 및 malignant schwannoma 각각 1례)이었는데, 1례는 상완골 근위부 부분절제, 4례는 Malawer분류 제 I-A형의 절제, 1례는 제 I-B형, 1례는 제 V-B형의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low grade의 연골육종 1례와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ce 1례, 갑상선 종양 전이의 1례의 3례를 제외한 6례에서 항암화학요법, 혹은 방사선 요법을 시행하였으며, 1례에서 국소재발이 있었으나 평균 15.3개월 추시된 현재 전례가 생존하고 있다. 골종양 7례증 2례는 관절유합술, 4례는 관절전치환술로 치료하였으며, 관절유합술을 시행한 예와 관절성형술을 시행한 예의 기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T2NO 병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예후인자 분석 (The Heterogeneity of T2NO Glottic Carcinoma Treated by Irradiation)

  • 이형식;문성록;안기정;정은지;서창옥;김귀언;노준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99-205
    • /
    • 1990
  • 1978년 1월부터 1987년 12월 사이에 연세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44예의 T2NOMO 병기의 성문암 환자중 후향적 분석이 가능하였던 42예의 환자의 최소 추적기간은 3년 이었으며, 5년 추적조사 기간은 $81\%$에서 가능하였다. 전체 환자(42예)의 5년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각각 $63.1\%$$53.3\%$이었다. 5년 무병 생존율을 기초로한 성문의 운동성 장애와 성문암의 국소 침윤정도에 따른 예후인자의 분석에 있어서 성문의 운동성이 정상이고 성문 하부로의 침윤이 존재하지 않은 14예의 환자의 5년 무병생존율은 $83.1\%$로 방사선 치료만으로도 성문의 운동성 장애가 있거나 성문 하부 침윤이 있었던 경우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치료 성적을 나타내어 T2NOMO 병기 내에도 방사선 치료에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아군 (subgroup) 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아울러 치료 실패 양상, 선량-반응 관계, 치료 실패환자의 수술요법 등에 관한 분석을 하여 향후 치료의 지침으로 삼고자하였다.

  • PDF

Outcomes of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for unresectable primary or recurrent cholangiocarcinoma

  • Jung, Da Hoon;Kim, Mi-Sook;Cho, Chul Koo;Yoo, Hyung Jun;Jang, Won Il;Seo, Young Seok;Paik, Eun Kyung;Kim, Kum Bae;Han, Chul Ju;Kim, Sang Bum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163-169
    • /
    • 2014
  •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SBRT) for unresectable primary or recurrent cholangi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5 through August 2013, 58 patients with unresectable primary (n = 28) or recurrent (n = 30) cholangiocarcinoma treated by SBRT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an prescribed dose was 45 Gy in 3 fractions (range, 15 to 60 Gy in 1-5 fractions). Patients were treated by SBRT only (n = 53) or EBRT + SBRT boost (n = 5). The median tumor volume was 40 mL (range, 5 to 1,287 mL). Result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10 months (range, 1 to 97 months). The 1-year, 2-year overall survival rates, and median survival were 45%, 20%, and 10 months, respectively. The median survival for primary group and recurrent group were 5 and 13 months, respectively. Local control rate at 1-year and 2-year were 85% and 72%, respectively. Disease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s at 1-year and 2-year were 26% and 23%, respectively. In univariate analysis, ECOG performance score (0-1 vs. 2-3), treatment volume (<50 vs. ${\geq}50mL$), and pre-SBRT CEA level (<5 vs. ${\geq}5ng/mL$) were significant in overall survival rate. In multivariate analysis, ECOG score (p = 0.037) and tumor volume (p = 0.030)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current tumor group, patients with >12 months interval from surgery to recurr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overall survival rate than those with ${\leq}12$ months (p = 0.026). Six patients (10%) experienced ${\geq}$grade 3 complications. Conclusion: SBRT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local modality for unresectable primary or recurrent cholangiocarcinoma.

상악동의 선양낭성암종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 금기창;박희철;김귀언;서창옥;정은지;김세헌;김영호;홍원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7-223
    • /
    • 1996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eatment modalities and treatment results in patients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From Feb. 1977 to March 1994, 10 patients with the disease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ix men and 4 women were presented with median age of 57 years. According to AJCC TNM system, all patients except one had advanced T3 and T4 disease. Only one patient had the regional metastasis to lymph node but none of them had hematogenous metastasis on initial admission. One patient(Group 1) was treated with surgery alone, 3 patients(Group 2) were treated with definitive radiotherapy and 6 patients(Group 3)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 of surgery and radiotherapy. One patient who was treated with surgery alone had experienced a locoregional recurrence 9 months later and 3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had PRs(partial response) followed by the subsequent progression of the local disease. Whereas all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 of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had CRs(complete response). Among them, only one patient was recurred in the primary site, who was salvaged by reoperation and reirradiation therapy. In conclusion, combination of surgery and radiotherapy resulted in the best treatment modality for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Improved radiotherapy technique and development of multimodality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local control and the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advanced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maxillary sin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