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limate

검색결과 748건 처리시간 0.033초

복합재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통합 인벤토리 구축 방안 (The Compiling method of Integrated inventory for Complex disaster simulation system)

  • 오승희;손진;김성현;정우석;이용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1-593
    • /
    • 2017
  • 기후 변화 및 도시의 복잡화와 과밀화에 따라 기존 지역에만 국한되던 개별 재난이 자연재난에서 사회재난으로 연계되어 복합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이 연계되어 발생하는 복합재난을 사전에 대응하기 위한 복합재난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이 연계성을 통해 복합재난으로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소개하고, 복합재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핵심이 되는 통합 인벤토리에 구축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서 다룬다. 재난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값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인벤토리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복합재난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정형화되고 일관성 있는 인벤토리 구축이 방안이 요구된다.

  • PDF

Multi-temporal Analysis of Deforestation in Pyeongyang and Hyesan, North Korea

  • Lee, Sunmin;Park, Sung-Hwan;Jung, Hyung-Sup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1
    • /
    • 2016
  • Since forest is an important part of ecological system, the deforestation is one of global substantive issue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climate change is related to the deforestation. The issue is worse in developing countries because the forest is one of important natural resources. In the case of North Korea, the deforestation is on the rise from forest reclamation for firewood collection and food production. Moreover, a secondary effect from flood intensifies the damage. Also, the political situation in North Korea presents difficulty to have in-situ measurements. It means that the accurate information of North Korea is nearly impossible to obtain. Thus, assess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forest in North Korea by indirect method is requir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the forest status of North Korea using multitemporal Landsat images, from 1980s to 2010s. Since the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is caused by local residents, we selected two study areas of high population density: Pyeongyang and Hyesan. In North Korea, most of clean Landsat images are acquired in fall season. The fall images have an advantage that we can easily distinguish agriculture areas from forest areas, also have an disadvantage that the forests cannot be easily identified because some of trees have turned red. To identify the forests exactly, we proposed a modifie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mNDVI) value. The deforestation in Pyeongyang and Hyesan was analyzed by using mNDVI. The dimension of forest has decreased approximately 36% in Pyeongyang for 27 years and approximately 25% in Hyesan for 16 years.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est areas in Pyeongyang and Hyesan have been steadily reduced.

가뭄 시 광역자치단체 별 물 비용 분석 및 해상 이동형 담수화 플랜트 이용 대응 방안 연구 (Cost analysis of water supply and development of desalination vessel as a drought response)

  • 양하연;구재욱;황태문;정성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3-60
    • /
    • 2020
  •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Korea is experiencing flooding and drought severely. It is hard to manage water resources because intensive precipitation during short periods and drought are commonly occurred in Korea, recently. Severe drought occurred in 2015 and 2017 in the islands, and coastal and inland areas in Korea, and the citizens experienced decreased water supply and emergency water service by using bottled water.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d additional governmental funds such as the grant of drought disaster. In this study, we tried to calculate the cost of water for drought response based on the cost of tap water for the regional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the grant of drought disaster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Korea, etc. The estimated costs of water for drought responses in coastal and inland areas which have a chance to apply alternative water sources such as brackish or seawater desalination and water reuse in Korea were higher than in other areas in Korea. Additionally, as the novel approach of drought response, the 300 ㎥/day-scale desalination vessel was suggested to provide desalinated water for the islands in Korea. The estimated expenses of water supply for the target island areas (Sinan-gun and Jindo-gun) by the desalination vessel was lower than those by emergency water service by using bottled water.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변화 : 한국 남해안의 광양만 (Seasonal Changes of Tidal-flat Sediments: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 류상옥;김주용;이희준;조영길;안성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4호
    • /
    • pp.349-356
    • /
    • 2003
  • 한반도 남해안의 중앙부에 위치한 광양만에서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집적률과 표층퇴적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년에 걸친 조사결과 광양만 조간대는 주로 겨울에 퇴적되고 세립해지며, 여름에는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태풍과 폭우에 의해 침식되며 조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겨울의 퇴적현상은 파랑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서해안 조간대가 주로 겨울에 침식되는 것과 상반된 결과로, 이는 광양만의 반폐쇄적인 지형적 특성에 따라 파랑의 발달이 극히 제한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공단조성을 위해 주변에 인위적인 매립이 진행되고 있는 조간대에서는 계절과 무관하게 침식이 가속화되고 있다.

러시아 제국의 이단아 남서문학 - 오데사 문학에 나타난 유대인, 피카로(picaro), 언어를 중심으로 (Southwestern Literature as Heresy of the Russian Empire)

  • 이은경
    • 비교문화연구
    • /
    • 제38권
    • /
    • pp.215-243
    • /
    • 2015
  • This paper looks at the literary mood of southwestern Russia in the late Russian Empire, while examining the writers of this area and their literary tendencies. Southwestern literature was formed in the late Russian Empire, and prospered centering around Odessa. Because of the uniformity in the Soviet culture, however, it could not stay alive but disappeared in the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Odessa, the center of southwestern literature was a multiracial region unlike other Russian cities. A unique culture was created, therefore, combining the western European culture and local ethnicity. Jews in Odessa could enter into the Russian society and assimilate naturally. They could utilize their talents as a strength to enrich the Russian culture without giving up their cultural heritage. For example, in lingual aspects, using Yiddish was not against the Russian culture. In addition, it contributed to interesting new coinages and led to efforts among writers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two languages. Many Jewish writers showed special interest not only in Yiddish but also in French, German and other languages. Therefore, they took the lead in translating and introducing west classics. As evident in the way Yiddish language was formed, mixing their language with other languages enabled jews to soak their way into other cultures naturally. Their yearning for the Russian and western European cultures, combined with their unique sense of humor, led to generic twists and problematic experiments. From another point of view, it is also unusual that southwestern literature diversified locational settings and heroic characters in literary works. European style heros, appearance of multiracial people, pain or waggery experienced by Jews in their assimilation process, thrilling revenge to unfair violence of Russians, and espiegle swindlers are the new domains that southwestern literature pioneered. In summary, southwestern literature was formed in a heterogeneous cultural climate, which wa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Russian Empire. In this regard, it was in deviation from the Russian literary tradition. From the Soviet point of view, it existed as a heresy which was against the Russian Empire.

기후변화에 따른 SOC시설물의 외부침수 재해도 곡선 산정 (Derivation of External Flood Hazard Curves for SOC Facilities under Climate Change)

  • 김범진;김현일;한건연;허준행;신주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16
    • /
    • 2018
  • 최근 국가시설물에서는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대상 부지 내의 홍수 발생 시 주요시설물에 기능 마비가 발생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대규모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부침수에 대비할 수 있는 위험도 분석이 필요하다. 대상 부지에서의 외부침수의 원인으로서는 LIP(Local Intensive Precipitation)에 의한 홍수 발생조건, 인근에 댐, 제방 등이 위치한 경우 이들 시설물의 붕괴에 따른 홍수류의 원전 유입, 지진해일/폭풍해일에 의한 바다로부터의 홍수 유입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대상 부지 및 그 SOC시설물의 안전도를 높은 수준에서 관리하기 위해서는 극한홍수가 유입될 때 침수심, 침수유속, 침수시간, 침수강도 등의 재해도를 분석하여야하고, 이들 SOC시설물의 취약도 평가를 실시하고 재해도와 취약도를 결합한 연계분석을 통하여 위험도를 재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해서 LIP(극한강우) 조건을 빈도별 분석하였고, 기후변화에 의한 가능최대강우량(PMP)의 재포락을 실시하고, 이를 확률강우조건과 비교 검토하였다. 대상부지에서의 RCP4.5와 RCP8.5 조건하에서 발생빈도-지속시간-극한강우량과의 상관도를 제시하였다. 지형분석의 고도화 및 수문분석을 통한 LIP를 이용한 극한 홍수량의 산정을 실시하였고, 수리분석에 의한 극한홍수조건의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침수해석을 통한 수리변량(침수심, 침수강도, 침수지속시간 등)을 산정하였고, 침수해석결과에 주요지점별 발생빈도-지속시간-침수위의 관계를 재해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집중호우 조건하에서 국가 주요시설물에서의 침수심, 침수강도 등에 대한 새로운 재해도 곡선을 산정함으로써 중요한 SOC시설물의 내수 설계, 홍수 방지기능 설계, 홍수 방지 대책 및 절차의 고도화 및 홍수 저감 기능 평가에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해안 도시유역의 수재해 저감설계 최적화 기법 연구 (Optmized Design for Flood Mitigation at Sea Side Urban Basin)

  • 김원범;김민형;손광익;정우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7-267
    • /
    • 2016
  • 1987년 백중사리 기간 중 태풍 "위니"의 영향으로 인해 전남 목포, 신안, 무안 등 서해안 일대에서의 침수피해 및 2002년 발생한 태풍 "루사"와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막대한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가져와 사회적 혼란과 함께 자연재해에 대하여 국민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형과 해안선이 복잡하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강우 및 조석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동해, 남해, 서해의 해양특성은 물론 강우특성이 달리 나타날 뿐아니라 최근 이상기후로 인하여 해수위 상승 또한 달리 나타나고 있어 수재해 발생 빈도 및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나, 해안 도시 유역의 수재해 저감에 대한 설계기술 및 대응기법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안지역에 영향을 주는 강우특성을 분석하고 해수위 상승 원인별 위험도를 고려하여 침수를 모의하였다.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하고 유한체적법과 well-balanced 기법이 적용된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침수를 예측하고 실측치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모의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침수심 예측결과는 해안 도시유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수재해 저감기법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후변화에 따른 SOC구조물의 외부/내부침수 위험도 분석 (Risk Analysis on Inundation of SOC Facilities under Climate Change)

  • 김범진;금호준;이재영;김현일;한건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52-52
    • /
    • 2019
  • 최근 국가시설물에서는 2000년대 이후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대상 부지 내의 홍수 발생 시 주요시설물에 기능 마비가 발생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대규모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부침수에 대비할 수 있는 위험도 분석이 필요하다. 대상 부지에서의 외부침수의 원인으로서는 LIP(Local Intensive Precipitation)에 의한 홍수 발생조건, 인근에 댐, 제방 등이 위치한 경우 이들 시설물의 붕괴에 따른 홍수류의 원전 유입, 지진해일/폭풍해일에 의한 바다로부터의 홍수 유입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대상 부지 및 그 SOC시설물의 안전도를 높은 수준에서 관리하기 위해서는 극한홍수가 유입될 때 침수심, 침수유속, 침수시간, 침수강도 등의 재해도를 분석하여야하고, 이들 SOC시설물의 취약도 평가를 실시하고 재해도와 취약도를 결합한 연계분석을 통하여 위험도를 재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후변화를 고려한 외부침수 위험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 부지 내의 내부침수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현장답사를 통해 물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 가능한 침수패스 경로를 파악하고, 출입문 위치와 창문의 높이, 출입문의 틈간격 및 높이를 파악하였다. 현장답사를 토대로 침수구역을 선정하였다. 침수구역 선정시 대침수구역과 소침수구역 중요기기들이 위치한 구역을 바탕으로 선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차원 침수 해석을 실시하여 각 구역별로 시간대별 침수가능 높이를 산정하였다. 또한 각 구역별 중요기기의 임계높이를 산정하고, 이를 분석된 최대 침수심과 비교하여 각 구역별 침수에 취약한 구역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바탕으로 사회기반 시설에 대한 보호 및 홍수피해 예방으로 인한 사회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주요시설물의 SSC별 방재대책을 수립하고, 단계별 저감대책을 제시하여 위험도 경감을 위한 대비책을 마련이 가능할 것 이라고 판단된다.

  • PDF

Effect of Customized Fertilizer Application and Soil Properties on Amino Acids Composition in Rice Grain

  • Sung, Jwakyung;Lee, Yejin;Chun, Hyenjung;Ha, Sangkeun;Sonn, Yeonkyu;Lee, Jongsi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64-468
    • /
    • 2015
  • Our government has performed to support the nation-wide application of customized fertilizer based on soil-testing results and crop nutrient balance in order to promote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nd to respond the global environment guide-line since 2010. This study was performed at the selected local paddy fields (Hwaseong-si, Uiseong-gun and Miryang-si) with different soil chemical properties in 2012. The contents of amino acids measured showed an increasing trend with fertilization, and glutam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followed by aspartic acid, leucine and alanine. However, valine, isoleusine, tyrosine and lysin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fertilizat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in N, expressed as a crude protein, and amino acids dose was observed between experimental sites (p<0.001), treatments (p<0.01 to 0.001) and interaction of both factors (p<0.01 to 0.001). In our experiment the following order of carbon skeleton backbones to produce amino acids was observed irrespective of experiment sites and fertilization: ${\alpha}$-ketoglutarate > oxalate > pyruvate > 3-phosphoglycerate > phosphoenolpyruvate. In conclusion, customized fertilizer had no difference in amino acid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NPK practice which was higher than in no fertilization, and also the normal paddy represented slightly higher amino acids compared to the reclaimed. Further study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is required to investigate what is main factor to amino acids between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가뭄사상 및 농업수리시설물이 쌀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관 분석 (On the Linkage Between Irrigation Facilities and Rice Production Under Drought Events)

  • 우승범;남원호;전민기;윤동현;김태곤;성재훈;김한중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5호
    • /
    • pp.95-105
    • /
    • 2021
  • Drought is a disaster that causes prolonged and wide scale damage. Recently, the severity and frequency of drought occurrences, and drought damage have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climate change. As a result, a quantitative study of drought factors is needed to better understand and prevent future droughts. In the case of agricultural drought, several existing studies examine the economic damage caused by droughts and their causes, but these studies are not well suited to estimating crop-oriented agricultural drought damage and the factors that absolutely affect agricultural drought. This study determines which factors most affect agricultural drought. It examines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ose related to agricultural water supplied by irrigation facilities. Rice paddy production per unit area is lower than the average from the last two years where agricultural drought occurred. We compare the relative frequency of agricultural drought impacts with irrigation facilities, effective reservoir storage, the number of water supply facilities, and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such as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agricultural drought, we correlate rice paddy production anomalies with irrigation water supply for the past two years.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ice paddy production and irrigation water usage, and there was a low or moderat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ice paddy production anomalies compared to the average of the past two years and SPI. As a result, agricultural water supply by irrigation facilities was judged to be more influential than meteorological factors in rice paddy produ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local governments establish policies related to agricultural drought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