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r cirrhosis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32초

효소 처리 후 항체반응이 사라진 항-Jka 2예 (Two Cases of Anti-Jka Whose Reactivity Was Disappeared after Enzyme Treatment)

  • 최문석;조용곤;이재현;김달식;이혜수;최삼임
    • 대한수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3-179
    • /
    • 2012
  • 저자들은 항체동정검사 효소법에서 항체 반응이 소실된 항-$Jk^a$ 2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첫 번째 환자는 72세 여자로 간경화와 대장암 환자였으며, 두 번째 환자는 55세 여자로 골수이형성증후군과 불완전형베체트병 환자였다. LISS/Coombs gel card (DiaMed AG, Cressoer sur Morat, Swotzerland)법을 이용한 항체동정검사에서 $Jk^a$ 항원을 가진 적혈구의 반응은 음성에서 1+이었고, 효소처리 적혈구에서는 예상과 달리 모두 음성이 었다. 환자의 Kidd 표현형은 Jk(a-b+)이었다. 저자들은 이 환자의 혈청을 효소 처리된 $Jk^a+$ 적혈구 및 EDTA와 함께 반응시킨 결과 양성으로 나옴을 확인하였고, 효소처리 적혈구의 반응이 음성인 이유는 보체에 의한 억제반응으로 생각하였다.

Sex-specific Associations Between Serum Hemoglobin Levels and the Risk of Cause-specific Death in Korea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Health Screening Cohort (NHIS-HEALS)

  • An, Yoonsuk;Jang, Jieun;Lee, Sangjun;Moon, Sungji;Park, Sue 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2권6호
    • /
    • pp.393-40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blood hemoglobin (Hgb) levels and the risk of death by specific causes. Methods: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National Health Screening Cohort (n=487 643), we classified serum Hgb levels into 6 sex-specific groups. Cox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Hgb levels and the risk of cause-specific death. Results: Hgb levels in male population showed a U-shaped, J-shaped, or inverse J-shaped association with the risk of death from ischemic heart diseas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liver cancer, cirrhosis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ll non-linear p<0.05; hazard ratio [HR];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the lowest and the highest Hgb levels for the risk of each cause of death in male population: HR, 1.14; 95% CI, 0.98 to 1.34; HR, 2.87; 95% CI, 1.48 to 5.57; HR, 1.16; 95% CI, 0.96 to 1.40; HR, 3.05; 95% CI, 1.44 to 6.48; HR, 1.36; 95% CI, 1.18 to 1.56; HR, 2.11; 95% CI, 1.05 to 4.26; HR, 3.64; 95% CI, 2.49 to 5.33; HR, 5.97; 95% CI, 1.44 to 24.82; HR, 1.62; 95% CI, 1.14 to 2.30; HR, 3.84; 95% CI, 1.22 to 12.13, respectively), while in female population, high Hgb levels were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death from hypertension and a higher risk of death from COPD (overall p<0.05; HR, 1.86; 95% CI, 1.29 to 2.67 for the lowest Hgb levels for hypertension; overall p<0.01, HR, 6.60; 95% CI, 2.37 to 18.14 for the highest Hgb levels for COPD). For the risk of lung cancer death by Hgb levels, a linear negative association was found in male population (overall p<0.01; the lowest Hgb levels, HR, 1.17; 95% CI, 1.05 to 1.33) but an inverse J-shaped association was found in female population (non-linear p=0.01; HR, 1.25; 95% CI, 0.96 to 1.63; HR, 2.58; 95% CI, 1.21 to 5.50). Conclusions: Both low and high Hgb level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ath from various causes, and some diseases show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sex.

중간엽줄기세포유래 엑소좀: 비세포치료제로서의 활용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Exosomes: Applications in Cell-free Therapy)

  • 허준석;김진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91-398
    • /
    • 2018
  • 중간엽줄기세포는 항염증능, 면역조절능 뿐만 아니라 다계통으로의 분화능 때문에 난치성 환자 치료를 위한 매력적인 대안적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왔다. 지금까지 중간엽줄기세포의 이식 치료법은 면역질환, 심혈관질환, 암, 간질환 및 뇌졸중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전임상 및 임상적용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여러 연구들에 의하면,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는 손상된 세포나 조직에 중간엽줄기세포가 이동하여 직접 세포를 대체하거나 분화시키는 작용이 아니라 중간엽줄기세포에서 분비하는 여러 인자들 즉, 주변분비 효과(paracrine effect)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최근에 중간엽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은 핵산, 단백질, 지질 등을 손상된 세포나 조직의 국소 미세환경으로 전달함으로써 세포간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재생을 중재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엑소좀의 이용은 세포이식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종양형성과 같은 다양한 위험성을 피할 수 있으므로 줄기세포 기반 치료 적용에 유용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이유에서 중간엽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은 재생의학 및 조직공학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적 도구(tool)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치료제로서의 중간엽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의 정의와 역할에 대한 최신 지견과 함께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Exosomal miR-181b-5p Downregulation in Ascites Serves as a Potential Diagnostic Biomarker for Gastric Cancer-associated Malignant Ascites

  • Yun, Jieun;Han, Sang-Bae;Kim, Hong Jun;Go, Se-il;Lee, Won Sup;Bae, Woo Kyun;Cho, Sang-Hee;Song, Eun-Kee;Lee, Ok-Jun;Kim, Hee Kyung;Yang, Yaewon;Kwon, Jihyun;Chae, Hee Bok;Lee, Ki Hyeong;Han, Hye Sook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3호
    • /
    • pp.301-314
    • /
    • 2019
  • Purpose: Peritoneal carcinomatosis in gastric cancer (GC) patients results in extremely poor prognosis. Malignant ascites samples are the most appropriate biological material to use to evaluate biomarkers for peritoneal carcinomatosis. This study identified exosomal MicroRNAs (miRNAs) differently expressed between benign liver cirrhosis-associated ascites (LC-ascites) and malignant gastric cancer-associated ascites (GC-ascites), and validated their role as diagnostic biomarkers for GC-ascite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exosomes isolated from 165 ascites samples (73 LC-ascites and 92 GC-ascites). Initially, microarrays were used to screen the expression levels of 2,006 miRNAs in the discovery cohort (n=22). Subsequentl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analyses were performed to validate the expression levels of selected exosomal miRNAs in the training (n=70) and validation (n=73) cohorts. Furthermore,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levels were determined in ascites samples. Results: The miR-574-3p, miR-181b-5p, miR-4481, and miR-181d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the GC-ascites samples compared to the LC-ascites samples, and miR-181b-5p showed the best diagnostic performance for GC-ascites (area under the curve [AUC]=0.798 and 0.846 for the training and validation cohorts, respectively).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CEA for GC-ascites was improved by the combined analysis of miR-181b-5p and CEA (AUC=0.981 and 0.946 for the training and validation cohorts, respectively). Conclusions: We identified exosomal miRNAs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non-malignant and GC-ascites, showing that the combined use of miR-181b-5p and CEA could improve diagnosis.

간세포암 환자의 고주파열치료 후 종양 재발: 예후인자로서 문맥고혈압 (Tumor Recurrence in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after Radiofrequency Ablation: Portal Hypertension as an Indicator of Recurr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 장성원;조윤구;김주원;길제령;김미영;이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79권5호
    • /
    • pp.264-270
    • /
    • 2018
  • 목적: 간기능이 보존된 간세포암 환자에서 간문맥 고혈압이 고주파열치료 후 종양 재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월에서 2017년 3월 사이에 Milan criteria 및 Child-Pugh class A를 가진 신규 간세포암 환자 중 본원에서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한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종양 재발에 대한 예측인자를 찾기 위해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한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모두 178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추적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42.8개월이었다. 국소 재발률은 문맥고혈압 여부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유발하지 않았다(p = 0.195). 3년 및 5년 원위부 간내 종양 재발률은 문맥고혈압이 없는 환자의 경우 각각 29.5%와 53.7%, 그리고 문맥고혈압이 있는 환자의 경우 51.9%와 63.6%였으며 두 군 사이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11).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문맥압항진은 원위부 간내 종양 재발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 인자이었다(p = 0.008). 결론: Child-Pugh class A를 가진 간세포암 환자의 경우, 문맥고혈압은 종양 재발에 불량 예후인자로 작용하였다.

경경정맥 간내 문맥 정맥 단락술 후 드물게 발생하는 동맥-담관루: 증례 보고 (Arterio-Biliary Fistula as a Rare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of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A Case Report)

  • 고지수;권려민;김한면;김민정;하홍일;박지원;우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705-711
    • /
    • 2022
  • 46세 남자 환자가 알코올성 간경화와 동반된 지속되는 복수로 인해 경경정맥 간내 문맥 정맥 단락술을 시행 받았다. 시술 후 9일째 흑색변 및 헤모글로빈 수치의 감소로 혈관조영 컴퓨터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혈액담즙증 및 우간동맥과 우간내담관 사이의 동맥-담관루가 의심되었다. 혈관조영술에서 분절간동맥의 작은 분지와 우간내담관의 동맥-담관루가 확인되었다. 분절8 간동맥에 대해 코일로, 분절5 간동맥에 대해 글루-리피오돌 혼합물로, 우전 간동맥에 대해 젤폼으로 색전술을 시행하였고, 시술 후 혈관조영술에서 동맥-담관루는 소실되었다. 그러나 색전술 시행 2일 후 환자는 진행하는 파종성 혈관 내 응고로 인해 사망하였다. 경경정맥 간내 문맥 정맥 단락술 이후 위장관 출혈이 있을 경우 혈액담즙증의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하여 가능한 빠른 시기에 적절한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간담도질환(肝膽道疾患)의 Scintiphotography 상(像)에 있어서 $^{131}I$-Rose bengal 및 $^{198}Au$-colloid의 섭취(攝取)와 배설(排泄)에 관(關)한 역동학적(力動學的) 연구(硏究) (Dynamic Study on the Hepatobiliary Diseases with Combination of $^{131}I$-Rose bengal and $^{198}Au$-Colloid Scintiphotography)

  • 이용국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9-64
    • /
    • 1971
  • The radioactive $^{131}I$-rose bengal serial scintiphotography was performed in 62 patients with the hepatobiliary diseases and in 20 normal subjects. This approach permitted visualization of the hepatic uptake of $^{131}I$-rose bengal from the circulation and its excretion into the biliary trees and the intestines. In some of these patients, gallbladder function was examined, using eggs as a gallbladder constrictor. The time of maximum hepatic uptake was well correlated to the conventional biochemical liver function tests. In addition to $^{131}I$-rose bengal scintiphotography, $^{198}Au$-colloid scintiphotography was also performed to make comparison of these two tes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normal subjects, the maximum hepatic uptake of $^{131}I$-rose bengal occurred at $23{\pm}2.9$ minutes, the initial hepatic excretion at $34{\pm}5.1$ minutes, the visualization of the gallbladder at $29{\pm}5.7$ minutes and the intestinal visualization at $54{\pm}25.8$ minutes. The radioactivity in the gallbladder decreased to $10.7{\pm}5.0%$ one hour after the ingestion of eggs. 2. In the patients with cirrhosis of the liver, there was a delayed and decreased hepatic uptake. The maximun hepatic upake occurred at $43{\pm}12.9$ minutes.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uptake between the cirrhotic and the norma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itial hepatic excretion occurred at $60{\pm}18.5$ minutes and had tendency of delaying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The gallbladder was visualized in 13 of 16 cases (81%) and its visualization occurred at $49{\pm}14.6$ minutes with a tendency to be delayed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The intestinal visualization occurred at $63{\pm}15.8$ minutes and its delaying tendency was somewhat more prominent. 3. In patients with hepatitis, the maximum hepatic uptake occurred at $59{\pm}21.4$ minutes and was significantly delayed. The initial hepatic excretion occurred at $82{\pm}34.3$ minutes and the results revealed a delaying tendency. The gallbladder was visualized in 15 of 20 cases (75%) at $57{\pm}18.7$ minutes, which was significantly delayed. The Intestinal visualization was noted in all cases with marked delay. 4.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jaundice, the maximum hepatic uptake was noted at $83{\pm}14.7$ minutes, showing the most significant delay. The hepatic excretion into biliary trees and intestines was not entirely noted in all cases except the only one case with gallbladder visualization. 5. In patients with cholelithiasis, the maximum hepatic upake and the initial hepatic excretion were slightly delayed with mean times of $39{\pm}11.2\;and\;48{\pm}17.1$ minutes respectively. The visualization of the gallbladder was demonstrated in 10 of 17 cases (59%) and occurred at $52{\pm}25.6$ minutes with a slight delay. The intestinal visualization occurred at $67{\pm}47.7$ minutes and was slightly delayed. $^{131}I$-rose bengal in the gallbladder remained high, $49.3{\pm}21.3%$, which suggested quantitatively decreased power of gallbladder constriction. 6. The time of the maximum hepetic uptake was correlated well to BSP retention and serum alkaline phosphatase ativity. However, the maximum hepatic uptake had no definite correlation with serum albumin, serum globulin, TTT, serum cholesterol, SGPT or SGOT. 7. In the diagnosis of the hepatobiliary diseases with jaundice, $^{131}I$-rose bengel serial scintiphotography has proved to be more useful than $^{198}Au$-colloid scintiphotography. With these results, it could be justified that $^{131}I$-rose bengal scintiphotography is an excellent diagnostic aid for dynamic hepatobiliary function studies in the clinical practice.

  • PDF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의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초기 임상 결과 (Preliminary Results of 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for Primary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 금기창;박희철;성진실;장세경;한광협;전재윤;문영명;김귀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23-129
    • /
    • 2002
  • 목적 :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삼차원적인 방사선치료계획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전향적으로 실시하고 조기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원발성 간암의 비수술적 치료에서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잠재적인 역할과 가능성을 판단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원발성 간암으로 진단 후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기법을 적용하여 치료를 받은 17명의 환자가 본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다. 대상 환자의 선정 기준은 방사선치료의 과거력이 없는 경우, 간외 전이가 없는 경우, 간경변증의 정도가 Child-Pugh classification A또는 B군인 경우, 종양이 전체 간 용적의 2/3를 넘지 않는 경우, 전신수행도가 Europea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3기 이상으로 악화되지 않은 경우이었다. 15명의 환자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과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이 시행되었다. 대상 환자는 In-ternational Union Against Cancer (UICC) 병기별로 II기 1명, III기 8명, IVA기 8명이었다. 4명의 환자에서 간문맥 혈전증이 동반되었으며, 종양의 평균 직경은 8 cm이었다. 조사영역은 종양과 주변 1.5 cm이었고 조사선량의 분포는 $36\~60\;Gy$로 중앙값은 59.4 Gy이었다. 종양의 반응은 치료 후 $4\~8$주에 시행한 영상 진단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15개월이었다. 결과 : 2년 생존율은 $21.2\%$였고 평균 생존 기간은 19개월이었다.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포함하여 11명의 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보여 반응률은 $64.7\%$였다. 종양의 진행을 보인 환자는 3명으로 이 중 2명의 환자가 조사영역 밖에서 종양의 진행을 보였다. 추적 기간 중 6명의 환자에서 원격 전이가 나타났고 폐 전이와 뼈 전이가 각각 5명과 1명이었다. 삼차원 입체 조형 치료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는 방사선 간염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Grade 2의 위염과 십이지장염이 각각 1명씩 발생했다. 치료로 인해 사망하였던 경우는 없었다. 결론 :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의 치료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적용할 것은 비교적 안전하였고 실제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향후 원발성 간암의 비수술적 치료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역할이 기대되며 이 치료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한 제 3상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항 바이러스 치료중인 B형 간염환자에서 HBeAg 및 HBV DNA 검출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HBeAg and HBV DNA Detection in Hepatitis B Patients Treated with Antiviral Therapy)

  • 천준홍;채홍주;박미선;임수연;유선희;이선호
    • 핵의학기술
    • /
    • 제23권1호
    • /
    • pp.35-39
    • /
    • 2019
  • [목적] B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감염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이며 만성간염, 간 경변, 간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B형 간염바이러스의 혈청학적 검사는 필수적이다. 항 바이러스 치료중인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방사계수 측정법(IRMA; Immunoradiometric assay)과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분석법(CMIA; Chemiluminescent Micropartical Immunoassay)을 이용하여 HBe-Ag 검사를 시행하였고,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Realtime-Polymerase Chain Reaction)법을 이용하여 혈청 내 HBV DNA 검출율 을 비교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항 바이러스 치료가 시행중인 B형 간염 환자 270명을 대상으로 HBeAg 혈청 검사와 HBV DNA 정량 검사를 실시하였다. HBeAg 혈청 검사는 검출 원리가 다른 두 가지 혈청학적 검사법(IRMA, CMIA)을 적용 하였고, 혈청 내 HBV DNA는 Abbott m2000 System을 사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Realtime-Polymerase Chain Reaction)법으로 정량 측정 하였다. [결과] HBeAg 검출율은 면역방사계수법(IRMA)의 경우 24.1% (65/205),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 분석법(CMIA)에서는 82.2% (222/48)의 결과를 보였다. 혈청학적 검사방법(IRMA, CMIA)에 따른 HBeAg 검사결과의 일치율은 33% (89/270)이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을 이용한 혈청 내 HBV DNA의 검출율은 29.3% (79/191)를 보였고, 혈청 내 HBV-DNA 농도는 $16IU/mL{\times}1.0{\times}10^9IU/mL$ 이며 검출한계는 <15IU/mL 이다. 면역방사계수법(IRMA)으로 HBeAg 검출결과가 양성일때 55.4%, 그리고 음성일때 20.9%의 HBV DNA 검출율과 $1.1{\times}10^8IU/mL$, $5.7{\times}10^5IU/mL$의 혈청내 HBV DNA농도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 분석법(CMIA)의 경우 HBeAg 검출결과가 양성일때 HBV DNA 검출율은 28.4%, 음성일때 33.3%의 결과를 나타냈으며 혈청 내 HBV DNA농도는 $6.0{\times}10^7IU/mL$, $2.4{\times}10^5IU/mL$ 이었다. 면역방사계수법과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 분석법에서 동일하게 HBeAg 검출 결과가 양성인 경우 HBV DNA 검출율은 62.3%의 결과를 보였으며, 혈청 내 HBV DNA 농도는 $1.1{\times}10^8IU/mL$ 이다. [결론] 혈청학적 검사법에 따른 HeAg 검출율은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검사kit에 사용된 Ab의 특성과 epitope, HBV의 genotype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각된다. 혈청학적 검사 결과로 분류 된 그룹별 HBV DNA의 검출율과 농도를 비교한 결과, Group II(IRMA 양성, CMIA 양성, N=53)에서 높은 검출율과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을 위한 복수액 분석 (Ascitic Fluid Analysis for the Differentiation of Malignancy-Related and Nonmalignant Ascites)

  • 이은영;김병덕;최재혁;이상엽;류헌모;이경희;현명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76-84
    • /
    • 1999
  •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 진단은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계측치들이 감별을 위하여 사용되어져 왔는데 어느 것도 단독 사용시 두 군을 완벽히 구분짓지는 못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악성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에 있어서 여러 계측치들을 비교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계측치를 찾고 이 결과를 토대로 악성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구분에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진단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1995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 복수를 주소로 내원하여 복수 천자를 시행한 80명을 대상으로 이들 환자들을 악성 복수 환자군과 비악성 복수 환자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악성 복수군은 다시 암종증이 동반된 21명의 환자와 암종증의 증거가 없는 6명의 환자로 구분하였고 비악성 복수군은 다시 52명의 간경변증 환자군과, 1명의 간경변증이 없는 군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환자에게서 복수와 혈액에서 동시에 검체가 얻어졌고 계측치로 복수액의 콜레스테롤, CEA, LDH, 단백치, 세포진 검사, 복수액과 혈청의 LDH 비, 단백비, 혈청-복수액 알부민 차를 구하였고, 각 계측치의 평균을 구하여 두 군을 비교하였는데, 모든 계측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저자는 각 계측치마다 각 측정치를 적용하여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즉 가장 높은 진단 능력을 나타내는 측정치를 절단치로 정한 후각 계측치에 적용하여 진 양성, 진 음성, 가 양성, 가 음성으로 분류한 후 민감도, 특이도, 양성 기대도, 음성 기대도, 진단 능력을 산출하였고, 연구된 계측치 중 민감도가 높은 계측치인 복수액의 콜레스테롤을 선별검사의 단계에 적용하고, 특이도가 높은 계측치인 세포진 검사와 복수와 혈청의 단백비를 악성 복수로 분류된 군에 적용하여 악성 복수를 확진하는 2단계 진단 과정을 80명의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복수액 분석 결과 복수액의 콜레스테롤치가(절단치: 30 mg/dl) 93%의 가장 높은 민감도를 보였고, 복수액의 세포진 검사와 복수액과 혈청의 단백비가(절단치: 0.5) 100%, 98%의 가장 높은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2) 2단계의 진단 과정을 통하여 복강내 암종 전이가 확인된 21명 모두 악성 복수군으로 분류되었다. 3) 광범위한 간전이가 있는 악성 복수 모두 비악성군으로 분류되었다. 4) 간 경변증으로 인한 52례에서 모두 비악성군으로 분류되었다. 5) 전체 진단 과정을 통해 총 27명의 악성 복수 중 81.5%인 22명이 악성 복수군으로 진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들이 제시한 진단 과정은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 진단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더욱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임상 양상, 방사선학적 검사, 기타 검사 등을 토대로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