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hospermum erythrorhizon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8초

자초 추출물 극성 성분의 피부 보습 증진 및 아토피 피부염 호전 효과 (Effects of Oral Intake of Gromwell Water Fraction on Ceramides Content and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 김영란;조시영;서대방;김성한;이상준;조윤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47-551
    • /
    • 2009
  • 자초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성분이 어떤 분획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자초 에탄올 추출물과 이를 각각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물질들을 NC/Nga mice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 10주간 식이 공급한 후, 세라마이드 함량과 아토피성 피부염 발전의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자초 추출물들의 5주 이상의 장기간의 식이 공급은 체중 및 식이 효율에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자초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식이 공급은 표피에서 세라마이드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자초 에탄올 추출물을 다시 물로 추출한 물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아토피 피부염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라마이드 함량이 50%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EA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세라마이드 함량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에 의해 발생한 표피의 과증식도 자초의 물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어느 정도 억제되었으나, EA 추출물을 먹인 군에서는 과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IgE의 수준과 소양증은 아토피 피부염 음성 대조군에 비해 자초 추출물 3종을 먹인 군들에서 모두 호전되었다. 이것은 자초의 7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활성 성분이 에틸아세테이트 층보다는 물 층에 존재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NC/Nga mice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자초 70% 에탄올 추출물 중 물 추출물이 EA 추출물 보다 표피의 세라마이드 함량의 증가와 표피 과증식 억제를 비롯하여 혈청 IgE 감소 및 소양증 완화에 더욱 효과적임을 보였다. 이로부터 자초 7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극성 성분은 피부의 보습 및 아토피성 피부염 발전의 억제의 효능이 확인되어 건강 기능식품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Detection of Spurious Jindo Hongju

  • Choi, Kap-Seong;Song, Bo-Hyeon;Kim, Jung-Ho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96년도 임시총회 및 제8차 학술발표회 진행표 및 발표논문 초록
    • /
    • pp.25-25
    • /
    • 1996
  • ;Jindo Hongju is an unique red-colored traditional distilled wine of Korea. The unique attractive color of Jindo Hongju is due to the pigments of gromwell (Lithospermum erythrorhizon) root, derivatives of naphtoquinone such as shikonin and acetylshikonin. Which are extracted during the distillation process. The attractive color of the gromwell pigments is easily changed to dark red or to brown causing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Jindo Hongju. Due to the discoloration of the pigments and to the limited supply of gromwell roots, some brewers manufacture spurious Jindo Hongju using artificial colora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ise a simple method of detecting spurious Jindo Hongju products. The color of the gromwell pigments was greatly affected by pH change and the change could be demonstrated by the change of the absorption spectrum. At pH 4.0 the normal pH of Jindo Hongju, the absorption spectra of gromwell pigments and genuine Hongju products showed an absorption maximum of 520 nm. The absorption maximum was shifted to 570 nm and to 616 nm as the pH was raised to 7.0 and 11.0 respectively. This transition due to the pH change was also demonstrated on em chromaticity diagram. The characteristic transition due to pH change of gromwell pigment solution was not observed with an artificial colorant (red No.2) which was suspected to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imitation products. The absorption spectra of most of the Jindo Hongju collected from the market were similar to that of the gromwell pigments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 transition due to pH change with the addition of NaOH. However, with a few of the products, the absorption spectra was similar to that of the artificial colorant and the characteristic transition due to pH change was not observed, indicating these products might have been forged. The result of study suggests that the transition of the absorption spectrum and the change of the color due to pH change be used for the detection of imitation products. Farther more, since, at pH above 9.0, the color of the gromwell pigments and genuine Jindo Hongju could be visually differentiated from that of the artificial colorant and forged products, it might be possible that the forged products be easily detected by raising the pH to above 9.0 and visually comparing the color with that of the gromwell pigment at the same pH.me pH.

  • PDF

색채 목가구 개발을 위한 천연염료의 이용에 관한 연구(제2보) - 천연염료의 처리 방법에 따른 색 변화 연구 - (Application of Natural Dyes for Developing Colored Wood Furniture (II) - Color Variation by Treatment Methods of Natural Dyes-)

  • 문선옥;김철환;김경윤;이영민;신태기;김종갑;박종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70-78
    • /
    • 2007
  • 본 연구는 치자나무, 홍화, 오배자, 지치(지초), 소목 및 밤송이 등으로부터 추출한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밤나무재를 염색할 때 나타나는 목재 표면의 색상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천연염색법을 검토하였다. 목재 시편은 염액의 온도, pH, 침지시간, 반복처리 횟수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조건을 적용하여 다채로운 색을 발현시겼고, 천연염색된 시편의 색상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L^*$, $a^*$$b^*$ 값을 측정하여 채도와 염착농도를 산출해 내었다. 도막처리법은 천연염색 시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침지 처리에 비해서 더욱 경제적인 처리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착색력이 낮은 도막처리법은 반복적인 도막 처리를 통하여 원하는 색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색상의 농담도 쉽게 표현할 수 있었다. 천연염색 처리 결과 염액의 온도가 높으며 약산성 염료(pH4의 수준)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착색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효과 검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 박욱연;장동석;조학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96
    • /
    • 1992
  • 천연식품보존료 개발 목적의 일환으로 항균효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한약재 중에서 목단피, 황백, 연교, 오미자, 자초, 길경 등 20종을 대상으로 물과 95% 에탄올로 항균성물질을 추출하여 각종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물 추출물의 경우, 모든 세균에 대하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난 것은 치자, 구기자, 오미자 등의 3종이었으며, 그중에서 오미자가 증식 억제력이 제일 강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대부분의 세균에 대하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난 것은 치자, 오미자, 자초 등의 3종이었으며, 목단피, 황백, 금은화 등의 3종은 그람양성균에만 효과가 나타났는데, 특히 황백의 경우, S. aureus에 대하여는 0.01%의 첨가로 균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한편 이들 한약재들의 물 추출물은 진균류에 대해서는 증식억제 효과가 좋지 않았으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목단피, 황백, 치자, 자초 등의 4종이 증식억제 효과가 우수하였고, 그중 황백이 균증식 억제력이 제일 강하였다. 전 시료를 통하여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 보다 $2{\sim}100$배나 항균력이 높았으며, 특히 자초의 에탄올 추출물은 맛과 향 등의 관능검사결과 이미 이취가 적을 뿐만 아니라 항균력도 우수하여 천연식품 보존료로서 이용 가능성이 높았다.

  • PDF

강원도 양구군 파로호 동부 3개 산지(숫돌봉, 성주봉, 수리봉)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Three Eastern Mountains(Susdolbong(Mt.), Seongjubong(Mt.), Sulibong(Mt.)) of Paroho Lake in Yanggu-gun, Korea)

  • 송진헌;신현탁;윤호근;김상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양구군에 위치한 숫돌봉(508m), 성주봉(625.3m), 수리봉(596.2m) 지역을 중심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3개 산지 식물상 조사결과, 84과 255속 350종 4아종 43변종 6품종으로 총 403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5과 18분류군, 나자식물이 1과 3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9과 302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8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은 특산식물이 은사시나무, 키버들, 세잎승마, 진범, 등 총 11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위기종(EN) 개느삼 등 1종 취약종(VU) 세잎승마, 삼지구엽초, 솔나리 등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약관심종(LC) 도깨비부채, 가침박달, 태백제비꽃 등 총 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털여뀌,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흰명아주, 좀명아주, 족제비싸리,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토끼풀, 들괭이밥, 애기땅빈대, 달맞이꽃 등 총 28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조사식물 403분류군의 6.9%를 차지하였다.

색채 목가구재 개발을 위한 천연염료의 이용에 관한 연구 (제1보) - 천연염료의 추출 방법에 따른 색채 변화 연구 - (Application of Natural Dyes for Developing Colored Wood Furniture (I) - Color Variation by Extraction Methods of Natural Dyes -)

  • 문선옥;김철환;김재옥;김종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75-85
    • /
    • 2004
  • 현대 주거 공간의 색채 유형이 다양화 되고 실내 공기질 관리법이 시행되면서 환경친화형 컬러가구재의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치자, 홍화, 오배자, 자초, 소목 및 밤송이 등으로부터 천연염료를 추출하여 적정한 염색조건을 도출하였다. 천연염료 추출시 용매의 pH가 높아지면서 동일계 색상일지라도 더 짙은 염료가 얻어졌다. 염색에 앞서 천연염료와 목재 조직과의 결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구리, 철 및 크롬 계통의 매염제를 처리하였는데, 매염제의 종류에 따라 황색, 갈색, 녹색 등의 색상이 얻어졌다. 매염 처리된 목재 시험편에 본 천연계 염료로 염색한 경우 염색시의 pH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짙은 색상이 얻어졌을 뿐만 아니라 염액이 목재 조직 내부로 더욱 깊이 침투하였다. 컴퓨터 모델링을 통하여 보여진 천연염색된 컬러가구는 다양한 색상이 요구되는 현대 주거 공간과 조화를 꾀할 수 있어 천연염료가 현대 목가구 제작에 적합한 재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DMZ접경지역에 위치한 파주시 삼봉산·자웅산 일대의 관속식물 다양성 (Vascular Plant Diversity of Sambong and Jaung Mountains in Paju City, Border Area of the Korean DMZ)

  • 송진헌;변경열;길희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0-5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삼봉산 (282m), 자웅산 (263m) 지역을 중심으로 관속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2개 산지 식물상 조사결과, 94과 271속 383종 11아종 34변종 6품종으로 총 434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10과 24분류군, 나자식물이 2과 8분류군, 쌍자엽식물이 73과 322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8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은 특산식물 키버들, 세잎승마, 개나리, 오동나무, 백운산원추리 5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취약종(VU)은 세잎승마, 왜박주가리, 금붓꽃이 확인되었고, 약관심종(LC)은 쥐방울덩굴, 금강제비꽃, 두루미천남성, 지치, 말나리가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끈끈이대나물, 흰명아주, 좀명아주, 일본목련, 개소시랑개비, 족제비싸리, 자주개자리, 아까시나무, 토끼풀, 애기땅빈대, 수박풀, 달맞이꽃 등 총 40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조사식물 434분류군의 9.2%를 차지하였다. 이 지역은 취락시설과 가까운 산지들로서 특기할만한 식물들의 생태적인 보전·방안 및 대책수립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hikonin에 의한 지방세포형성 억제과정에서의 유전자 발현 연구 (A Study on the Gene Expression in Shikonin-Induced Inhibition of Adipogenesis)

  • 이해용;강련화;정상인;조수현;오동진;윤유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37-1643
    • /
    • 2009
  • 천연생약 자초의 한 성분인 shikonin은 항염증, 항암 및 항비만 등 다양한 분야에 효과를 보여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shikonin이유도하는 adipogenesis억제 과정에 어떤 인자들이 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Shikonin의 효과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C/EBPs, $PPAR{\gamma}$를 포함한 다양한 adipogenesis 인자들의 mRNA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기 분화의 주요 조절자인 C/$EBP{\beta}$와 C/$EPB{\delta}$는 shikonin에 의해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후기 분화의 주요 조절자인 $PPAR{\gamma}$와 C/$EPB{\alpha}$의 mRNA 발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Shikonin에 의한 adipogenesis억제의 메커니즘을 좀 더 자세히 밝히기 위해 adipogenesis과정의 상위 단계에 위치한 조절자들의 mRNA 발현을 분석하였다. C/$EBP{\beta}$의 상위 조절자인 C/$EBP{\gamma}$, CHOP은 shikonin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KROX20의 경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ro-adipogenic 인자인 KROX20의 감소가 C/$EBP{\beta}$에 영향을 주기 보다는 C/$EBP{\beta}$와 독립적으로 그 하위의 인자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한다. $PPAR{\gamma}$의 상위 조절자로 알려져 있는 KLF 들 중에서 pro-adipogenic 인자인 KLF15의 mRNA 발현은 shikonin에 의해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anti-adipogenic 인자인 KLF2는 shikonin에 의한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 다른 pro-adipogenic 인자인 KLF5의 경우, 주로 작용하는 초기 분화에서는 shikonin에 의해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후기 분화에서는 조금 증가하였다. 이러한 후기 분화에서의 KLF5의 변화는 KLF15에 비해 전체 분화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 같다. 결론적으로, shikonin은 pro-adipogenic 인자인, KROX20과 KLF15의 조절을 통해 $PPAR{\gamma}$ 및 C/$EPB{\alpha}$의 mRNA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 세포의 분화를 저해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