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profiles (TC, TG, HDL-C,LDL-C)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5초

Significance of the Plasma Lipid Profile in Cases of Carcinoma of Cervix: A Tertiary Hospital Based Study

  • Raju, Kalyani;Punnayanapalya, Shruthi Suresh;Mariyappa, Narayanaswamy;Eshwarappa, Sumathi Mayagondanahalli;Anjaneya, Chandramouli;Kai, Lee J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8호
    • /
    • pp.3779-3784
    • /
    • 2014
  • Aims: To study alterations of plasma lipid profiles in carcinoma cervix and to assess significance comparedwith controls in different histological grades and stages. Materials and Methods: Totals of 99 histopathologically diagnosed cases and 35 controls from a tertiary hospital situated in the southern part of India which caters the rural and semi-urban populations were considered for the study. Fasting blood samples were taken to analyze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s (TG),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and low density lipoproteins cholesterol (LDL-C), for comparison of cases, grouped according to histological grades and stages, and controls. One way ANOVA was used for multiple group comparisons and the Student's t test (unpaired) for group wise comparisons. For all tests a 'p' value of 0.05 or less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Results: Out of 99 cases, most (n-39) were seen in the 40-49 year age group followed by 60-69 years (n-22). Serum TG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cases and controls but without any relation to differentiation grade. The lipid profile parameters in various grades of cervical canc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TC and LDL-C values was observed with increase in stage of the disease. Conclusions: The study showed TG is elevated in cervical cancer, and that TC and LDL-C are proportional to the spread of cancer as it increases from stage I to stage IV. An in-depth study of molecular changes in lipid metabolism in cervical cancer patients, enzymes/genes responsible and alterations in LDL receptors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to decide whether the lipid profile has any diagnostic/prognostic role in cervical cancer.

유산소 운동과 단백식이가 흰쥐의 혈중지질,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a Protein Diet on Serum Lipid Profiles, Liver Function, and Immunoglobulin in Rats)

  • 성기동;손원목;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2-97
    • /
    • 2012
  • 본 연구는 4주간의 유산소운동과 단백질 섭취가 흰쥐의 혈중지질,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총 24마리를 대상으로 4주간 20-30분씩 14~17 m/min의 속도로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운동단백식이군(A, n=6), 단백식이군(B, n=6), 운동군(C, n=6), 대조군(D, n=6)으로 분류하였고, 유산소 운동 4주후 혈중지질,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 농도를 측청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산소 운동과 단백질식이를 실시 후 총콜레스테롤(TC)는 운동단백식이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성지방(TG)는 운동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는 운동단백식이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는 운동단백식이군과 운동군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간기능에서는 운동단백식이군과 단백식이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GPT는 차이가 없었다. 면역글로불린 IgG는 운동단백식이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나, IgA, IgM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유산소 운동과 단백섭취는 혈중지질 개선과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 IgG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항체 형성 인자에 영향을 주어 인체의 면역항체 형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첨판 패쇄부전증에 이환된 개에서 NT-proBNP농도, 비만, 당 관련 인자 및 지방 관련인자간에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NT-proBNP and Obesity, Glucose and Lipid Profiles in Dogs with Chronic Mitral Valve Insufficiency)

  • 이승곤;남효승;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1-276
    • /
    • 2012
  • 사람에 연구에 따르면 심부전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NT-proBNP농도는 비만, 비만 관련인자들과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관관계는 아직까지 수의분야에서는 입증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정도의 이첨판 패쇄부전증(CMVI)에 이환된 73마리 개 집단에서 NT-proBNP와 비만 및 비만 관련인자들간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절식시 혈당 농도, 지방관련 인자(i.e., total triglycerides [TG], total cholesterol [T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fructosamine, insulin 및 NT-proBNP 농도를 측정하였다. Insulin/glucose ratio 역시 계산하였다. NT-proBNP 농도는 CMVI에 의한 심부전의 정도에 따라 농도변화가 관찰되었으며, body condition scores (BCS), insulin 및 fructosamine 농도와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비만과 혈중 NT-proBNP농도 간에 상관관계 역시 확인되었다. 또한 NT-proBNP농도는 비만과 관련 있는 인자인 fructosamine과 insulin농도와도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개에서 NT-proBNP농도와 비만 정도와 상관관계를 입증한 첫 보고이다.

과채즙 식이를 포함한 혈중지질개선 프로그램의 참여도에 따른 효과 (Effects of a Juice Diet Including a Lipid Improvement Program and Program Attendance on the Korean Serum Lipid Profile)

  • 유경이;윤미은;이경순;김신섭;임종은;천성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1-274
    • /
    • 2015
  • Although fasting programs have recently attracted close attention because of benefits of detoxification,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se progra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modified juice-based fasting program on lipid metabolism. A total of 33 volunteers fasted for 10 days and participated in program lectures, exercise programs, water bath regimens, and enemas. Pre- and post-program blood samples were obtained to evaluate lipoprotein levels.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18.0. Changes in the lipid profile were observed during the juice-based fasting program and attending 3 degrees. All lipid profiles decreased significantly, including total cholesterol (TC) (p<0.001), triglycerides (TG),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p<0.05). Program participation was documented by assessing attendance levels as high, moderate, and low. TC decreased significantly in all programs and levels (p<0.05), TG decreased proportionally only in enemas according to the attending degree: high (48 %), moderate (20 %), and low (10 %). HDL-C decreased at all low levels, but moderate exercise ($53.8{\pm}12.5mg/dL$ to $55.6{\pm}10.2mg/dL$) and a high enema ($54.9{\pm}14.1mg/dL$ to $55.0{\pm}9.4mg/dL$) showed small increases. The antioxidant property of the juice-based fasting program in terms of the blood vessel, enemas, and exercis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from increased levels of HDL-C. These results suggest that juice-based fasting and combined lifestyle programs may help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protect against dyslipidemia.

호두의 혈중 지질 수준 및 혈관 건강 개선 기능성 평가: 메타분석 (The effect of walnut (Juglans regia L.) intake on improvement of blood lipid levels and vascular health: A meta-analysis)

  • 곽진숙;박민영;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4호
    • /
    • pp.236-246
    • /
    • 2014
  • 호두의 혈중 지질 수준 및 혈관 건강 개선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4년 7월 9일 기준으로 DB 검색을 통해 426건의 자료를 수집하여, 선정/제외 기준에 따라 선별한 결과 총 19건 (n = 1,040)의 연구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호두를 일상 식사에서 일부 지방 급원 또는 열량을 대체하여 섭취하였을 때,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준 및 혈류 매개 혈관 확장능을 각각 -0.124 mmol/l, -0.085 mmol/l, -0.080 mmol/l, +1.313 % 수준으로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 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s on Lipid Profiles in Mice Fed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

  • 담효동;류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41-648
    • /
    • 2015
  •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에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체내 지질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황칠나무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체중이 모두 control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혈장과 간장의 TG, TC 및 혈장 LDL-C 농도도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으며, 혈장 HDL-C의 농도는 control군이 normal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DA-200군, DE-200군은 normal군의 수준까지 증가하였다(P<0.05). 간장, 비장, 고환 지방의 상대 무게와 혈장 인슐린 농도는 normal군에 비해 control군이 매우 높았으나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는 추출방법에 상관없이 농도에 비례적으로 인슐린 농도가 감소되었다. 그리고 모든 황칠나무 투여군의 간 조직 AST, ALT 활성과 MDA 농도 및 SOD 활성도 변화되었는데 AST, ALT 활성과 MDA 농도는 control군에 비해 낮아졌고 SOD 활성은 control군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특히 DE-200군의 ALT 활성 및 DA-200군, DE-200군의 MDA 농도가 normal군의 수준까지 감소되었다(P<0.05). 또한 hematoxylin과 eosin 염색을 통해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간세포의 지질 침착 정도를 개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황칠나무 잎 추출물은 추출용매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체내 지질 상태의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와사끼병에서 혈중 지질과 지단백의 변화와 심장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hanges of Lipid and Lipoprotein Compositions in Kawasaki Disease and its Impact on Cardiac Complications)

  • 윤신원;이호석;김동운;이강원;정영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2호
    • /
    • pp.1370-1377
    • /
    • 2005
  • 목 적 : 가와사끼병에서의 지질대사의 변화는 특히 이 병이 관상동맥을 직접 침범하는 질환이므로 특히 중요하다고 하겠다. 성인에 있어서 TC의 증가 및 HDL-C의 감소, Lp(a)의 증가는 죽상경화증의 중요한 위험인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가와사끼병에서의 혈중 지질성분 및 지단백, Lp(a)의 시기별 변화와 관상동맥 병변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중앙대학교병원에서 가와사끼병으로 진단되어 고농도 감마글로불린으로 치료한 환아 51명을 대상으로 TL, PL, TG, HDL-C, LDL-C, TC, apo A1, apo B, Lp(a) 등을 급성발열기, 아급성기인 발열 2주, 회복기인 2개월, 1년 후 각각 측정하였고 초음파 검사 소견에 따라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는 나이와 성별을 고려한 가와사끼병이 아닌 급성발열성 질환으로 입원한 25명을 대상으로 삼았다. 결 과 : 가와사끼병에서 급성 발열기에 대조군에 비하여 HDL-C($33.64{\pm}7.49mg/dL$ vs $50.43{\pm}14.41mg/dL$, P<0.01)과 apo A1($99.75{\pm}6.39mg/dL$ vs $113.34{\pm}11.35mg/dL$, P<0.05)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관상동맥 확장이나 심염 등 심합병증 여부에는 큰 차이는 없었다. 아급성기에는 모든 지질성분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를 보였으며 발열 2개월째에는 모든 지질성분이 정상화되었고 발병 1년 후에 역시 정상범위였으며 어느 시기에서도 관상동맥 확장이 있었던 군과 정상인 군에서 지질성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가와사끼병의 급성발열기에 HDL-C의 및 apo A1의 감소를 보였으며 발병 2주째에는 모든 지질성분이 일시적으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런 변화는 발열 2달째에는 모두 정상화되었으며 1년 경과 후에도 계속 정상소견을 보였다. 어느 시기에도 관상동맥병변이 있었던 군과 정상관상동맥을 보였던 군에서 지질성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어 이러한 급성기의 일시적인 HDL-C과 apo A1의 감소는 가와사끼병의 관상동맥 병변 여부나 장기적인 예후와는 직접적인 큰 상관은 없고 급성혈관염이라는 염증 반응의 하나의 현상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들이 후에 성인이 되었을 때 동맥경화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지역사회 중심 집단 걷기운동 프로그램의 운영 효과 분석 (Effects of Community-Based Group Walking Exercise Program)

  • 고영애;백희정;황인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4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group walking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profiles and psychological factors. Also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walking exerci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ercise behavior among participants. Method: The subjects, aged 30 to 77 years, were 138 participants in a 24-week, group walking exercise. A walking exercise protocol and education was given to the participants, which was to do walking over three times a week and over thirty minutes each time. We compared the participants' body composition (BMI, PBF, BFM, FFM, WHR and VFA), blood lipid profiles (HDL-C, LDL-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exercis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group walking excerci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using the SAS program. Results: Mean walking frequency was 11.4 times per month and mean walking time was 71.5 min. BMI, PBF, BFM, WHR, and VF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FM increased significantly (p=.0002).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d in TC, LDL-C and TG.. Exercise self-efficacy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but quality of life increased significantly(p=.0088). Conclusion: Community-Based 24 weeks group walking exercis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quality of life.

  • PDF

일부 산업장 남성근로자들의 흡연,음주실태에 따른 혈압 및 혈액검사치의 특성 (Properties of Blood Pressure and Routine Laboratory Test Results by the Status of Smoking and Alcohol Intakes in Male Workers)

  • 유창균;정용준;조영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1-145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incidence and the degree of cigarette smoking and drinking among working men, and th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blood pressure, various hematological indices and blood chemistry. The sample consisted of 2,287 male workers who had undertaken a general health check-up during the two-year perio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1. Such factors as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lipid profiles, and liver function tests were determined and then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subjects smoking and/or drinking status.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1. The drinking and smoking status have shown that 52.7% of participants were in the habit of both drinking and smoking while 11.6% were not associated with either. On the other hand 25.4% were involved only in drinking and 10.2% only in smoking. In the group smoking over 21 cigarettes per day over 30, the age group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at 20.1%. 2.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or drinking status, and blood pressure, hematology and blood chemistry, the smoking and/or drinking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blood pressure, both systolic and diastolic, Hb & Hct, TG, LDL-C, SGOT, and ${\gamma}$-GTP, than the non-smoking and/or non-drinking group. But HDL-C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moking group an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rinking group than the non-smoking/non-drinking group. 3. Regarding amount smoked, a larger number of cigarettes per da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blood pressure, systolic and diatolic, TG, TC, LDL-C, Hb, Hct, and ${\gamma}$-GTP. As for the amount druck, an increasing amount of alcohol intake was associated with rising levels of blood pressure, systolic and diatolic, TG, TC, LDL-C, HDL-C, Hb, SGOT, and ${\gamma}$-GTP. 4. Regarding the correlation among all the variables stated above, the smoking and drinking amount was shown to be in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both systolic and diastolic, TG, TC, Hb, and ${\gamma}$-GTP. On the contrary, LDL-C and HDL-C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only with the amount drunk amount, and Hct only with the amount smoked. 5. As wi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he odds ratio of the smoking group was 2.35 and 2.58 compared to the non-smoking/drinking group. whereas it was 1.47 and 1.75 in the smoking/drinking group. Concerning serum lipids, the smoking/drinking group had 1.97 times the levels of TG in the non-smoking/non-drinking group, though the smoking group had 1.55 times the levels of HDL-C in the non-smoking/non-drinking group. As with liver function test results, the drinking group had 2.50 times and the smoking/drinking group had 4.41 times the levels of ${\gamma}$-GTP in the non-smoking/drinking group. respectively. The above results revealed that smoking and alcohol intake were effected the results of blood pressure and laboratory tests. Specifically, not only the smoking/drinking group but also those only smoking or only drinking were not as desirable as the non-smoking and non-drinking group to the results of blood pressure and laboratory tests.

천마 분획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strodiae rhizoma Fraction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with High Fat Diet)

  • 홍희도;김영찬;금인경;김성수;김경임;한찬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370-374
    • /
    • 2005
  • 건강식품소재로서 천마의 효능과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천마성분 분획물이 혈청 지질함량과 동맥경화유발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기간은 총 12주간으로 실험 1기는 초기 6주 동안 흰쥐사료에 유지를 첨가한 고지방식이(HFCD)를 급여하였고, 실험 2기는 6주 동안 천마성분 분획물을 함께 투여하였다. 천마성분 분획물로는 에탄올 가용성인 저분자분획(MW<1K, GR-1), 수용성 획분에 pronase처리한 다당체분획(GR-2), periodate를 이용한 다당체산화를 통하여 단백질분획(GR-3)을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시험 종료체중은 고지방대조군이 천마분획물군 보다 평균 44 g 정도 높았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증체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FER) 역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실험 2기 종료후 측정한 혈청 지질중 TC와 TG농도는 다당체 분획을 투여한 경우에 고지방대조군에 비해 각각 21.5, 39.6% 낮았다. HDL콜레스테롤은 단백질분획이 저분자분획과 다당체분획 보다 높았고, LDL콜레스테롤은 천마분획물 투여군에서 고지방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동맥경화위험지수는 단백질분획이 1.45로 다른 천마성분 분획물들의 $1.94{\sim}2.05$, 대조군의 2.12에 비해 가장 낮았다. 따라서 천마 다당체 또는 단백질분획 같은 수용성 고분자분획은 혈중 지질함량 및 조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