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oxidation

검색결과 1,121건 처리시간 0.037초

Antioxidant effect of flavonoid, myricetin with GSH, vitamin E, vitamin C on B16F10, murine melanoma cell

  • Yu, Ji-Sun;Kim, An-Ke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44.2-145
    • /
    • 2003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produced during normal cellular function. ROS are very transient species due to their high chemical reactivity that leads to lipid peroxidation and oxidation of some enzyme, massive protein oxidation and degradation. Under normal conditions, antioxidant are substances that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protect cells against adverse effects of ROS. Several biologically important compounds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tioxidant functions. These incluce vitamin C, vitamin E, GSH, flavonoids. superoxide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PX) and catalase(CAT). (omitted)

  • PDF

식품보장과 수분활성에 관한 연구 3. 어육의 건조 및 저장중의 품질 (Studies on Food Preservation by Controlling Water Activity III. Quality Changes of Fish Meat during Drying and Storage)

  • 한봉호;이종갑;배태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89
    • /
    • 1983
  • 말쥐치육을 시료로하여, 건조중과 건어육 저장중의 갈변과 미생물조성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40^{\circ}C,\;50^{\circ}C$에서의 강제송풍식건조중에는 지방산화가 Maillard반응보다 갈기색소물질의 형성에 다소 깊이 관여하였다. 건조중의 지방산화는 감속건조기에서의 말쥐치 건조표면의 수분활성에 영향을 받아서, 공기의 상대습도가 $30\%$일 때 지방산화가 가장 늦었고, 상대습도가 $20\%,\;10\%$로 낮아지거나 $40\%,\;50\%$로 높아질수록 지방산화가 촉진되었다. 건제품을 $30^{\circ}C$에 저장하였을 때에도 갈변색소물질의 형성에는 지방산화가 Maillard 반응보다 다소 깊이 관여하였다. 수분활성 $0.12{\sim}0.76$의 범위에서 지방산화가 가장 늦었던 것은 수분활성 0.33부근이었다. $6\%$의 sucrose, $1.5\%$의 D-sorbitol을 첨가하였던 건어육을 $30^{\circ}C$에 저장하였을때 지방산화가 가장 늦은 수분활성은 0.33보다 다소 낮아졌으며, 평형수분함량의 증가에 따른 이동성(mobility)의 증대로 인한듯한 수용성갈변색소물질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건조직후의 말쥐치육의 미생물조성은 구균 $30\%$, 간균 $65\%$, 곰팡이와 효모가 $5\%$정도였다. 저장중에는 전체 미생물중 구균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였고, 비포자 Gram 음성간균은 감소하였으며, 비포자 Gram 장성균과 포자형성균 및 곰팡이, 효모가 차지하는 비율은 거의 일정하였다.

  • PDF

감마선 조사에 의한 돈지의 산패에 산화방지제의 첨가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Oxidation of Lard Induced by Gamma Irradiation)

  • 변명우;이경행;육홍선;이주운;이현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47-1052
    • /
    • 1998
  • The effects of antioxidants such as ascorbyl palmitate(AP), tocopherol( Toc), BHA and ascorbyl palmitate+ tocopherol(AP+ Toc) on lipid peroxide formations in lard have been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50oC after gamma irradiation with the dose of 1~10kGy. Immediately gamma irradiation greatly increased the initiative oxidation of lard as expected. But antioxidants were found to be greatly effective in minimizing the radiation induced peroxidation of lard. The decreasing order of effects on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was AP>AP+ Toc>BHA> Toc. Oxidation of lard during storage at 50oC after irradiation induced the acceleration of autooxidation. But the additions of an tioxidants inhibited the formation of peroxides.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during storage were BHA> AP+ Toc> Toc>AP. Especially AP+ Toc mix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HA (p>0.05).

  • PDF

철과 구리 이온으로 산화 촉진시킨 난황유 모델시스템에서 Phosvitin의 항산화 효과 (The Influence of Phosvitin on the Inhibition of Iron-, and Copper-catalyzed Oxidation in Egg Oil Model System)

  • 이성기;김용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9-213
    • /
    • 2000
  • Phosvitin, an iron chelating protein in egg yolk, was measured for its ability to inhibit lipid oxidation in egg oil model system. Phosvitin(75$\mu$M) could inhibit both iron(50∼150$\mu$M) and copper(5∼15$\mu$M) catalyzed oxidation of egg oil, and much more effective in the presence of iron than copp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hosvitin in egg oil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up to 121$\^{C}$. But phosvitin was relatively heat stable maintaining 79 and 73% of its antioxidant activity after being heated for 6 min at 100$\^{C}$ and 2 min at 121$\^{C}$, respectively.

  • PDF

황기의 저밀도지질단백질 (LDL)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tragali Radix on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 김은정;양기숙
    • 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29-536
    • /
    • 2001
  • The roo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Leguminosae), which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chronic hepatitis, duodenal ulcers, chronic nephritis and promotion of immunity in folk remedies. Several lines of evidence indicate that oxidative modific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Ox-LDL)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therogenesis. Hence, the role of antioxidants in the prevention of LDL oxidation needs to be determin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we determined the MeOH ex. and fractions of Astragali Radix on the inhibition of LDL oxidation. The CH$_2$C1$_2$ and EtOAc orations inhibited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LDL by a decrease in the lipid peroxide content and the electrophoretic mobility of LDL. Calycosin-7-0-$\beta$-D -glucoside which was isolated from EtOAc fraction inhibits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LDL.

  • PDF

Lipid Specificity for Membrane Oxidation Catalyzed by Cytochrome c : An EPR Study

  • 민동필;한상화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3호
    • /
    • pp.279-284
    • /
    • 1996
  • Decay of the spin label attached to cytochrome c or to stearic acid has been measured by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 spectroscopy to monitor membrane oxidation induced by cytochrome c-membrane interaction. Binding of cytochrome c sequestered the acidic phospholipids and membrane oxidation was efficient in the order linoleic oleic>stearic acid for a fatty acid chain in the acidic phospholipids. The spin label on cyt c was destroyed at pH 7 whereas that on stearic acid embedded in the membrane was destroyed at pH 4, presumably due to different modes of cyt c-membrane interaction depending on pH. Interestingly, cyt c also interacts with phosphatidylethanolamine, an electrically neutral phospholipid, to cause rapid membrane oxidation. Both EPR and fluorescence measurements indicated that electrostatic interaction is at least partially responsible for the process.

양파즙 첨가가 참치스프레드의 지질 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ion Juice Addition on Lipid Oxidation of Tuna Spread)

  • 조희숙;박복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3-201
    • /
    • 2003
  • 참치스프레드에 양파즙을 5%, 15%, 30% 및 45%씩을 첨가하여 냉장 저장 시 참치스프레드의 품질 특성 및 지질 산패도를 측정함으로써 양파의 천연항산화제로서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pH는 전반적으로 저장 초기에는 pH가 $6.06{\sim}6.20$정도이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다가 21일 이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구는 21일 이후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저장 49일까지 증가되었고 양파즙 첨가구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저장 42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양파즙 15%와 양파즙 30% 첨가구의 경우 증가폭이 다소 완만하였다. 산가는 초기에 $0.68{\sim}0.78$이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양파즙 15%와 30% 첨가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지질의 산화 억제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과산화물가는 초기에 $2.2{\sim}2.6\;meq/kg$이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냉장 14일까지는 약간 증가하다가 그 후 급격히 증가하였고, 대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저장 42일에는 50.57 meq/kg로 가장 높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내다가 그 후에는 감소하였다. 양파즙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상당히 안정한 효과를 나타냈으나 42일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파즙을 첨가한 참치스프레드의 TBA가가 전반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낮아 양파가 지방의 산화를 지연시켰음을 알 수 있었고, 양파즙 첨가량에서는 15%와 30% 첨가군이 5%나 45% 첨가군보다 낮은 TBA가를 나타내어 산가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색도에서 L값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대조구에 비해 양파즙 첨가구가 다소 높은 값을 보였고, 저장 전 보다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L값은 증가하였다. 한편 a값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양파즙 5% 첨가구만 저장 35일 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b값은 대조구와 첨가구 모두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양파즙 첨가구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맛은 저장 초기에 증가하다가,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체로 양파즙 15% 및 30%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부패취도 양파즙 첨가량 및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성이 인정되었고(p<0.05), 양파즙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부패취가 적게 나타났으며, 양파즙 15% 첨가구에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외관에 있어서 저장 28일까지 양파즙 15% 및 30% 첨가구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구와 5% 첨가구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경도는 저장기간 동안 감소되었지만 대체로 양파즙 15% 첨가구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전반적인 바람직성은 양파즙 15% 첨가한 참치스프레드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kappa}-Carrageenan$ 필름을 사용하여 포장한 고등어육의 수분 손실 및 지방 산화 (Effects of ${\kappa}-Carrageenan$-Based Film Packaging on Moisture Loss and Lipid Oxidation of Mackerel Mince)

  • 황금택;임종환;박현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90-393
    • /
    • 1997
  • 2% ${\kappa}-carrageenan$, 0.1% KCl, 0.75%, PEG, 및 0.75% glycerol을 사용하여 제조한 필름을 고등어육의 포장재로 사용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포장 후 수분 손실 및 지방 산화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고등어육을 carrageenan 필름으로 포장하여 $20^{\circ}C,\;10^{\circ}C,\;0^{\circ}C$, 및 $-15^{\circ}C$에 저장하였으며, 포장하지 않은 시료도 $0^{\circ}C$에 저장하면서, 무게 감소, PV, TBA가 등을 측정하였다. $20^{\circ}C,\;10^{\circ}C$, 및 $0^{\circ}C$에 저장한 포장 또는 비포장 시료는 저장 후 15일 이내에 60%의 무게 감소 현상을 보였으나, $-15^{\circ}C$에 저장한 시료는 25일 후에도 약 3% 정도만의 무게 감소가 있었다. 포장하지 않은 채 $0^{\circ}C$에 저장한 시료는 지방 산화가 꾸준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PV는 20일만에 23 mequivalent peroxide (PO)/㎏, TBA가는 5일만에 $0.4\;{\mu}mole$ malonaldehyde (MA)/g에 도달한 반면, carrageenan 필름으로 진공 포장한 어육은 28일간의 저장기간 동안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PV 및 TBA가가 각각 2 mequivalent PO/kg 및 $0.4\;{\mu}mole\;MA/g$ 이하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