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droplets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6초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성숙에 따른 간세포 활성과 간 및 근육의 단백질$\cdot$총 RNA 함량변화 (Activities of Hepatocytes and Changes of Protein and Total RNA Contents in Liver and Muscle of Sebastes schlegeli with the Gonadal Maturation)

  • 정의영;장영진;이근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8-346
    • /
    • 1995
  • 난태생 어류인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성숙과 안정적인 출산을 위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간중량지수의 월별 변화와 간세포의 활성이 생식소의 발달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조사하고, 아울러 생식소 발달에 따른 간 및 근육조직내의 단백질과 총 RNA 함량변화도 조사하였다. 암컷의 HSI는 9월부터 높아지기 시작하여 2월에 최대 값(2.58)에 달한 뒤, 3월(성숙기) 부터 5월(출산기) 사이에는 낮아졌다 수컷에서는 10월(성숙기)부터 높아지기 시작하여 4월(회복기)에 최대 값(3.20)에 달했다. 암컷의 난황형성기에 간세포내 글리코겐과 지방적의 양이 점차 감소되나, 총 RNA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수컷에서는 다량의 지방적들이 소모되지 않고 성숙기에도 세포질내에 잔존하고 있었다. 생식소의 발달과 함께 간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가 증가하였는데, 이 들은 단백질 합성과 난황 전구물질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암컷의 간과 근육조직의 단백질 및 총 RNA 함량은 1월(성장기)부터 점차 증가되기 시작하여 4월 초순(성숙기)에 최대 값을 나타낸 다음, 4월 하순(임신기)에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수컷에서는 초기 성숙기인 10월부터 점차 증가하여 성숙 및 교미기인 12월에 최대 값을 보인 다음, 퇴화기인 1월에 다시 감소하였다.

  • PDF

고지방식이를 투여한 생쥐에서 마황과 향부자의 항비만 효능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ies on anti-obesity effects of Ephedrae Herba and Cyperi rhizoma in high fat diet fed mice)

  • 오미진;이창현;김홍준;김하림;김민선;이다영;오찬호;김명순;김종석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8-123
    • /
    • 2016
  • Objectives : This compara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on anti-obesity effects of Ephedrae Herba and Cyperi rhizoma in high fat diet(HFD) fed mice. Methods : Male C57BL/6J mice were fed a normal diet(normal group, N), high fat 45 cal% diet[HFD, control group, C), HFD with Ephedrae Herba(EH group) and Cyperi rhizoma(CR group) extracts fed for 5 weeks. We were observed as follows : changes of body weight, amount of diet intake, weight of total visceral fats, levels of obesity-related hormones and blood lipids. Results : The change of body weight after EH and CR oral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more decreased in EH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FFR(Food Efficiency Ratio) was decreased in EH group, but more increased in CR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weight of periepididymal and perirenal fa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EH and CR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levels of serum leptin and insuli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EH group, and the level of serum adiponectin was increased in EH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EH and CR groups, and HDL-cholesterol leve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EH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versely in CR group, its values showed the opposite effect. The staining density of lipid droplets within the hepatocytes was widely distributed in CR and control groups, but in EH group, its density was weakly stained. Conclusions : Thes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Ephedrae Herba shows conspicuous anti-obesity effect, and Cyperi rhizoma shows weak anti-obesity effect.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의 생식년주기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Bande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 임상구;한창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23-833
    • /
    • 1997
  •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의 명확한 생식년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본 종을 1992년 5월부터 1993년 6월까지 전라남도 영산강 상류로부터 채집하여 암수의 GSI, HSI, 비만도, 난모세포 발달 단계의 분포빈도, 그리고 생식소와 간의 조직학적인 주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하여 생식년주기를 다음과 같은 5단계로 구분 할 수 있었다. 1) 성장기 (4월$\~$5월초): 암컷의 GSI값이 증가하고 주변인기 난모세포들이 점진적으로 성장하였으며, 수컷의 세정관 상피에서는 정원세포들이 활발히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2) 성숙기 (5월$\~$6월초): 암수 모두 GSI가 빠르게 증가하고 여러 단계의 난모세포들이 관찰되었으며, 정소 내에는 정자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3) 성숙 및 산란기 (6월$\~$8월): 암컷의 GSI는 높은 값을 유지하였고, 난모세포들은 많은 양의 난황을 축적하였으며, 수컷의 세정관에는 대부분 정자로 채워져 있었다. 4) 퇴화기 (9월$\~$11월): 암수 GSI는 감소되고, 난소 내에는 대부분 주변인기 세포들로 채워져 있고, 간세포에는 지방구들이 많이 축적되었다. 5) 휴지기 (12월$\~$다음해 3월): 암수 GSI는 낮은 값을 유지하며, 난소 내의 주변인기 세포의 증가와 정자 형성은 보이지 않았다.

  • PDF

태아 고환에서 버팀세포의 미세형태학적 연구 (An Ultrastructural Study of Sertoli Cells in Human Fetal Testes)

  • 이태진;윤삼현;김미경;박언섭;유재형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157-165
    • /
    • 2001
  • 정상 성인 고환의 버팀세포(Sertoli cell)는 비분열세포이며, 정세관(seminiferous tubule)단면에서 비교적 불분명하게 관찰되고, 정세관 세포 성분의 $10\sim15%$를 차지하고 있다. 전자현미경적으로 버팅 세포는 특징적인 핵소체와 원형질막 및 세포질 소기관을 갖고 있다. 원형질막은 사춘기에 발달한 두 종류 즉 버팅세포와 버팀세포 및 버팅세포와 생식세포 사이의 세포연접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태이에서 버팅세포의 정확한 미세구조에 대한 기술은 드물다. 이에 본 저자는 태아 고환의 발생 제 14주부터 제27주 사이의 17예를 수집하여 정상 미세구조를 확인하고, 태아기 버팀세포의 분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태아기에서 버팀세포와 생식세포 및 버팀세포와 버팀세포 사이의 세포연접은 부착반점과 비슷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고, 이들은 관찰 대상인 태령 제14주부터 관찰되었다. 태아기 버팅세포의 세포소기관의 발달은 전반적으로 미약하였다. 비교적 풍부하게 사립체가 태령 제14주부터 관찰되었고, 무과립세포질세망이 소수, 그리고 과립세포질세망이 비교적 풍부하게 관찰되었다. 지방소포의 수는 비교적 일정하게 관찰되었고, 포도당입자는 발생 단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다. 미세섬유와 Charcot-Bottcher의 결정소체는 본 연구대상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태아기의 버팀세포에서는 어른에서 관찰되는 특징적인 소견들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어른과는 다소 다른 전자현미경 소견을 나타냈다. 하지만 버팅세포의 분화양상을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태령 제27주 이후부터 사춘기까지의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실험적인 간암 유발과정에서 Butylated Hydroxytoluene이, 미치는 영향 I : 미세구조적인 연구 (Effect of Butylated Hydroxytoluene on Experimental Hepatocarcinogenesis Induced by 3'-Methyl-4-Dimethylaminoazobenzene I. Ultrastructural study)

  • 최정목;강대영;서광선;이충식;송규상;김진만;박원학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2호
    • /
    • pp.197-215
    • /
    • 1997
  • A morphologic study on the effect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on experimental hepatocarcinogenesis induced by 3'-methyl-4-dimethyl aminoazobenzene (3'-MeDAB) was investigated. A total of 110 Sprague-Dowley male rats weighting about 200 g each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and divided into 4 groups; the 3'-MeDAB, BHT, 3'-MeDAB/BHT treat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r to eight rats of each group were sacrified on the 4th, 8th, 14th and 16th experimental weeks, with continuous pelletized feeding containing 0.09% 3'-MeDAB and 0.5% BHT. The liver was examined by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lectron microscopically, the fine structure of the hepatocytes remained consistently abnormal up to 16 weeks after the 3'-MeDAB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s observed earlier than in the ones observed later. Many subcellular changes were observed : nuclear change, decreased glycogen, mitochondrial abnormalities, disaggregate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marked proliferation of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dilatation and distortion of bile canaliculi, increased lysosomes, apoptotic bodies, migration of bile ductule cell. In the BHT treated group,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hepatocytes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the lipid droplets and proliferated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among hepatocytes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duration. The various subcellular changes of 3'-MeDAB/BHT treated groups were simillar to those of the 3'-MeDAB treated group, but the degree of changes in the 3'-MeDAB/ BHT treated group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3'-MeDAB 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butylated hydroxytoluene has a protective/inhibitory effect on the hepatocarcinogenesis induced by 3'-methyl-4-dimethyl -aminoazobenzene.

  • PDF

Thaumatococcus daiellii 열매 유래 토마틴의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에 의한 항비만 효과 (Thaumatin Isolated from Katemfe Fruit of Thaumatococcus daiellii Inhibits 3T3 L1 Adipocytes Differenciation)

  • 차재영;정재준;양현주;박준석;김현우;김수현;정해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83-787
    • /
    • 2011
  •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에 대한 Thaumatococcus daiellii 열매 유래 토마틴의 항비만 효과를 검토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 토마틴을 0-5 ${\mu}M$ 농도로 처리한 결과 세포생존율은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는데, 토마틴 8일 처리 후 1 및 3 ${\mu}M$ 농도에서 각각 97% 및 88.3%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또한 토마틴 3 ${\mu}M$ 처리 농도에서 Oil-Red-O염색 지방구가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3T3-L1 세포 내 중성지방 농도는 양성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천연 식물성 토마틴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증식 억제 및 중성지방 농도 감소 효과를 보여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 섬진강 기수역 암컷 피뿔고둥 Rapana venosa (복족류 : 뿔소라과)의 생식세포 발달에 따른 난황형성과정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교미 시기와 산란 활성 (Ultrastructural Studies of Vitellogenesis According to Germ Cell Development, and Mating Period and Spawning Activity in Female Rapa Whelk, Rapana venosa (Gastropoda: Muricidae) in the Brackish Water Area of Seomjin River, Korea)

  • 손팔원;이일호;김성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031-1040
    • /
    • 2015
  • 섬진강 기수역에 서식하는 피뿔고둥, R. venosa(Muricidae)의 생식세포분화와 난모세포 내에서의 난형성과정 중 난황형성의 미세구조적 연구를 위해 투과전자현미경 관찰로 조사하였다. 초기난황형성난모세포들에서 골지체와 미토콘드리아는 글리코겐 입자들, 지방적들과 난황과립들의 형성에 관여하였다. 후기난황형성난모세포들에서 조면소포체와 다포체들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과립들의 형성에 관여하였다. 여러 크기의 다포체들은 후기난황형성 난모세포 내에서 변형된 미토콘드리아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특히, 다른 복족류들의 결과들과 이매패류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비교하여 보면, 이매패류의 경우에는 난황형성의 타가합성과 관련된 것으로, 난황막 위에 미세융모(microvilli)와 피질층에 피질과립들이 출현하고 있는데, 복족류의 경우는 난황형성난모세포내에서 난황형성 중 난모세포 밖으로부터 외생적으로 일어나지 않아 출현하지 않는 점이 이매패류나 두족류와 다른 점이다. 성숙란 내의 성숙난황과립은 3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 (1) 난황과립의 중앙부에 결정중심이 있고, (2) 주변부에는 전자밀도가 밝은 피질층이 있고, 그리고 이들을 (3) 한계막이 둘러싸고 있다. 최종적으로 복족류 종들의 난모세포들 내에서의 난황형성과정은 타가합성과정(외생적 endocytosis)이 발견되지 않고 단지 난모세포 자체의 내생적 자율합성과정을 거쳐 일어나는 특징을 보였다. 피뿔고둥은 난황형성을 위해 난황형성과정 중, 염분농도가 높고 낮음으로 인해 내생적 자율합성과 외생적 타가합성이 변경된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교미시기와 산란 활성은 수온 및 염분농도 상승과 관련이 있다.

사람 태아 고환에서 간질세포 분화의 형태학적 관찰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Leydig Cells in Human Fetal Testes)

  • 이계일;김대중;김경용;박언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511-522
    • /
    • 1999
  •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공 유산된 사람 태아 17예를 태령 14주에서 27주로 분류한 뒤, 고환간질내에서 간질세포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람 태아 고환의 간질세포를 형태적으로 방추형간질세포, 밝은 간질세포, 어두운 간질세포 그리고 변성 간질세포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미성숙한 방추형간질세포는 14주에 많이 관찰되었으며 점차 분화되어 밝은 간질세포와 어두운 간질세포로 변하였다. 3. 밝은 간질세포와 어두운 간질세포는 17주와 24주에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변성 간질세포는 27주에 많이 관찰되었다. 4. 무과립세포질세망은 밝은 간질세포내에서 현저히 관찰되었으며 점차 내강이 팽대되어 세포질 전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5. 사립체는 밝은 간질세포에 많이 분포하였고 사립체능은 농축되어 진하게 나타났으며, 어두운 간질세포에서 전자밀도가 높은 사립체 함유물을 포함하고 있었다. 6. 지방소적은 태령 14주부터 관찰되어 16주에 가장많은 분포를 보였고 20주 이후 감소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7. 간질세포내에 풍부한 양의 당원과립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면 사람 태생기 중 고환의 간질세포는 다른 동물에서와 같이 유사한 분화과정을 거친다고 할 수 있다.

  • PDF

곤드레 (Cirsium setidens) 에탄올 추출물의 알코올성 지방간 손상 억제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irsium setidens ethanolic extracts against alcoholic fatty liver injury in rats)

  • 김은혜;정자용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6호
    • /
    • pp.420-42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prague-Dawley 종 흰 쥐 수컷을 정상 대조군 (C), 알코올 군 (E), 알코올 + 100 mg/kgBW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군 (E+LCS), 알코올 + 500 mg/kgBW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군 (E+HCS)으로 나누어 Lieber-DeCarli control diet 혹은 Lieber-DeCarli ethanol diet를 8주간 공급하였으며, 이때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은 액상 사료에 직접 섞어 공급하였다. 알코올과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식이 공급 종료 후 간 조직의 지방구 축적 정도를 살펴본 결과, E+LCS군과 E+HSC군은 E군에 비해 지방간 발생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정상 대조군인 C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 비슷하게,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공급은 알코올에 의해 증가된 간 조직과 혈청의 중성지방 농도를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혈청 AST와 혈청 ALT 활성도 정상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의 공급은 p-AMPK과 p-ACC 단백질 수준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두 단백질 모두 E군에 비해 E+HSC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FAS mRNA와 SCD1 mRNA 수준은 E군에 비해 E+HS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곤드레 에탄올 추출물은 간 조직에서 알코올 공급에 의해 증가된 $NF{\kappa}B$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NF{\kappa}B$의 표적 단백질인 $TNF{\alpha}$ 단백질 수준을 농도의존적으로 낮추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곤드레는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 발생 및 관련된 간 손상을 유의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AMPK 활성 증가와 $NF{\kappa}B$ 활성 억제가 관여함을 제시하였다.

생식주기(生殖周期)에 따른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 정소내(精巢內)의 cyst 세포(細胞) 및 간질세포(間質細胞)의 구조적(構造的), 조직화학적(組織化學的) 변화(變化) (Structural and Histochemical Changes in the Cyst cell and the Interstitial Cell in the Testis of a Teleost Hexagrammos agrammus associated with the Reproductive Cycle)

  • 정의영;이기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3-205
    • /
    • 1994
  • 1992년 1월 부터 12월 까지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의 생식주기(生殖周期)에 따른 정소내(精巢內)의 cyst 세포(細胞)와 간질세포(間質細胞)의 미세구조적(微細構造的) 변화(變化)를 알기위해 전자현미경 및 광학현미경적 조사를 하였다. 성숙(成熟)한 정소내(精巢內)의 cyst 세포(細胞)들은 haematoxylin에 미약하게 염색되나 세포의 크기는 커진다. 이때 이들 세포는 여러개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글리코겐 입자들 및 소수의 지방적(脂肪滴)들이 cyst 세포의 세포질내에 나타나고 있어, 성장기(成長期)의 cyst 세포들 보다 기능이 더 활발하게 보여 본(本) 종(種)의 cyst 세포는 영양공급, 분비 및 스테로이드 합성기능(合成機能)이 큰것으로 추정된다. 성숙(成熟) 및 산란기(産卵期)에 잘 발달된 간질세포(間質細胞)들은 관상의 크리스테를 갖는 간상(杆狀) 또는 구상(球狀)의 미토콘드리아들과 다수의 활변소포체들, 그리고 소포내(小胞內)의 미확인된 전자밀도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本) 종(種)의 간질세포(間質細胞)들에는 포상(胞狀)의 핵(核)과 관상의 크리스테를 갖는 미토콘드리아와 활면소포체가 나타나고 있어 steroid간질세포(間質細胞)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나, 간질세포(間質細胞)들의 Sudan black B에 대한 조직화학적 반응은 음성반응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