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r

검색결과 1,237건 처리시간 0.033초

폴리머 기반 박층 라이너의 초기재령 특성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Early-Ag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mer-Based Thin Spray-on Liners)

  • 장수호;이규필;한진태;박영택;최순욱;황귀성;최명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3권5호
    • /
    • pp.413-427
    • /
    • 2013
  • 폴리머 계열의 박층 라이너는 양호한 암반 조건에서 숏크리트와 철망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지보재로 고려되고 있으며, 1990년대부터 광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TSL의 지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TSL의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 성분이 다른 두 가지 TSL 재료에 대해 재령 7일에 인장강도와 부착강도를 측정하였고, EFNARC(2008)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지력 평가 시험도 함께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폴리머 함량이 높아질수록 재료의 인장강도는 높아지나 상대적으로 부착강도는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폴리머 함량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시멘트계 성분이 포함된 TSL 재료의 경우에는 경화가 빠르기 때문에 부착파괴에 대한 저항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폴리머 함량에 따라 TSL의 성능이 상이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의 요통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Low Back Pai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me Elderly)

  • 오경애;박종;전대중;한미아;최성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3호
    • /
    • pp.156-166
    • /
    • 2012
  • 본 연구는 전남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요통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에서 65세 이상 노인 7,070명 중 미응답자와 응답이 불충분한 67명을 제외한 7,003명을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료는 SPSS Win(ver. 19.0)을 이용하여 ${\chi}^2$-test, t-test, ANOVA,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0.05로 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관련요인으로 요통, 연령, 교육수준, 직업유무, 주관적 건강수준, 주관적 스트레스, 음주상태, 만성질환 수, 수면시간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통이 있는 노인군이 없는 군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요통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요통이 있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하여 추후 더 다양한 분석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선형 추진 BLDC 모터에 대한 파라미터 추정 기법을 이용하는 오토 튜닝(Auto Tuning) PI 제어기 설계 (The Design of an Auto Tuning PI Controller using a Parameter Estimation Method for the Linear BLDC Motor)

  • 차영범;송도호;구본민;박무열;김진애;최중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659-666
    • /
    • 2006
  • 서보 모터는 컴퓨터와 센서로부터 오는 지령에 대해 정밀한 모션제어 즉, 정확한 속도조절과 위치 잡기를 수행함으로써 자동화 시스템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사용된다. 특히, 선형추진 BLDC모터는 볼스크류, 타이밍 벨트, 랙/피니온과 같은 마찰 유도 전달 메카니즘들과 연결을 갖는 회전식 서보모터들에 비해 다양한 장점들을 갖는다. 본 논문은 정현파 구동형 선형 추진 BLDC모터의 동특성과 출력들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이용하여 미지의 전동기 계통 파라미터들을 추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추정된 파라미터들은 제어기와 외란 관측기의 이득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고성능의 디지털신호처리프로세서로 계자기준제어(FOC)기법을 구현하기 위해 설계된 TMS320F240을 선형 BLDC 서보 전동기의 제어기로서 사용한다. 이 서보전동기 응용 전용의 DSP는 A/D Converter와 PWM 발생부, 다수의 IO Port를 내장하고 있어 서보모터 제어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 선형 BLDC 서보 전동기 시스템은 또한 IPM 구동기와 홀센서 타입의 전류센서모듈 그리고 게이트 구동 신호와 고장 신호들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광결합 모듈을 포함한다.

국내 중소형 항만의 경쟁력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도 항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etitiveness of small ports - Focus on the Ports of Jeollado -)

  • 이면수;최훈도;임동석;곽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817-821
    • /
    • 2010
  • 물류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항만을 둘러싼 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항만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동북아지역을 중심으로 한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의 급속한 증가, 정기선사의 경영전략 변화, 부두운영업의 글로벌화, 물류중심화 선점을 위한 경쟁 격화, 선박기술의 혁신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항만의 운영 관리 책임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신속히 대응하여 항만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국내외를 연결하는 항만 간 경쟁은 국제적인 것이 일반적이어서 우리나라 항만뿐만 아니라 이웃나라 항만과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확보해야만 한다. 특히 우리나라 항만은 전 세계적으로 항만 간 경쟁이 가장 치열한 동북아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더욱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항만 간 경쟁에서 뒤처져 국제무대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항만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항만선택결정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재고찰하여 중소형 항만에 적용시킬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여 향후 이들 항만의 경쟁력 확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형학적 인자를 이용한 광역 홍수범람 위험지역 분석 (Analysis of large-scale flood inundation area using optimal topographic factors)

  • 이경상;이대업;정성호;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6호
    • /
    • pp.481-490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한 홍수재해의 시 공간적 패턴의 변화가 복잡해짐에 따라 홍수범람 예측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에 따른 홍수피해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비구조적 대책으로 홍수위험등급 및 범람범위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홍수위험지도의 작성이 필요하다. 실제로 고정밀도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지형, 지질, 토지피복, 기상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강우-유출-범람해석을 통해 침수면적 및 침수깊이 등 범람 정보를 획득해야 되며, 2차적으로 피해액 산정을 위해 사회 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DB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에서는 이러한 자료가 부족하고, 일부지역에서는 자료자체를 획득할 수가 없어 홍수위험지도 제작이 불가능하거나 그 정확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ASTER 또는 SRTM과 같은 범용 지형자료로부터 주요 지형학적 인자를 선정하고, 선형이진분류법(Liner binary classifiers)과 ROC분석(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을 사용하여 실제 홍수유역을 유사하게 모의하는 최적 지형학적 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광역 홍수범람지도를 작성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북한(2007), 방글라데시(2007), 인도네시아(2010), 태국(2011), 미얀마(2015) 5개국의 대규모 홍수범람에 대해 적용하였다. 실제 홍수범람 영상정보에서 획득된 침수면적과의 공간적 비교 검토 결과, 최저(38%, 방글라데시), 최고(78%)으로 평균적으로 약 60%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형학적 인자 기반의 홍수범람지도 작성방법은 미계측유역에 대해서도 DEM만을 사용하여 홍수위험 지역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1 2차원 범람해석 모형의 적용이 어려운 대유역에 대해 홍수범람 우려지역에 대한 공간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장재의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YTOTOXICITY OF CAVITY LINERS)

  • 김정혜;김영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5권2호
    • /
    • pp.77-92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 effects of 6 cavity liners in vitro. Human fibroblasts were cultured in ${\alpha}$-MEM and each liner was manually mixed and filled in glass ring cylinder ($8{\times}8mm$ in diameter, in height). The cylinders filled with the liners wer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dish (35mm in diameter) containing 3ml of ${\alpha}$-MEM. Millipore filters (pore size $0.22{\mu}m$) to simulate dentin barrier were also placed between the bottom of cylinder and the dish. Then the culture dishes were stored in 5% $CO_2$ containing incubator for 5 and 10 days at the temperature of $36.6^{\circ}C$.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analyzed by counting the cells in the period of 5 and 10 days respectively, and were assessed by calculating the cell multiplication rate and the relative growth rate. The experiem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ell number of Zinc oxide-eugenol was $(4.13{\pm}1.31){\times}10^4$ cells/ml at 5 days and $(4.32{\pm}1.61){\times}10^4$ cells/ml at 10 days. 2. The cell number of Cavitec was ($8.35{\pm}2.87{\times}10^4$ cells/ml and $(10.08{\pm}5.10){\times}10^4$ cells/ml at 5 and 10 days respectively. 3. The cell number of Dycal was $(13.56{\pm}3.89){\times}10^4$ cells/ml at 5 days and $(34.75{\pm}8.85){\times}10^4$ cells/ml at 10 days. 4. The cell number of life was $(11.46{\pm}3.32){\times}10^4$ cells/ml and $(21.92{\pm}6.18){\times}10^4$ cells/ml at 5 and 10 days. 5. The cell number of Base cement was $(13.73{\pm}3.73){\times}10^4$ cells/ml and $(36.68{\pm}5.20){\times}10^4$ cells/ml at 5 and 10 days. 6. The cell number of Dentin cement was $(13.58{\pm}3.90){\times}10$ cells/ml and $(66.95{\pm}24.09){\times}10$ cells/ml at 5 and 10 days. 7. The cell multiplication rate of zinc oxide-eugenol cements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calcium hydroxide and glass ionomer cement. (P < 0.05)

  • PDF

GT rotary file을 이용한 근관성형법과 충전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CANAL SHAPING METHODS WITH GTTM ROTARY FILE AND CONDENSATION METHODS)

  • 강유미;진정희;유미경;이세준;이광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5호
    • /
    • pp.521-52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aping time of two shaping methods and the leakage of three different obturation techniques. Ninty three canaled human molar teeth were used, whic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f forty teeth each and ten control teeth. After working length determination, the one group was prepared crown-down technique using rotary root canal instruments of GT rotary files .12/20, .10/20, .08/20 and .06/20 taper(Maillefer Instrument SA. Switzerland). The other group was instrumented with Gates Glidden burs(#1, #2, and #3) to coronal preparation and GT rotary files .08/20 and .06/30 taper to apical preparation. Shaping time was measured. After root canals were instrumented, they were divided to three subgroups and obturated as follows : Subgroup 1, obturated with single cone method Subgroup 2, obturated with lateral condensation : Subgroup 3, obturated with continuous wave technique. Three subgroups were obturated using non-standardized gutta-percha cone(Diadent, Korea, .06 or .08 taper) and AH-26(Dentsply DeTrey, Germany) as a root canal cement. Ten unobturated teeth served as positive and negative controls. After immersion in 2% methylene blue solution for 1 month, the teeth were washed during 24h. The teeth were demineralized in 10% nitric acid and dehydrated by immersion in 80, 90 and 100% ethyl alcohol. The teeth were finally cleared and stored in 100% methylsalicylate, and apical dye penetration was evaluated under stereomicroscope(Leica M420, LC, U.S.A)at $\times$8.75 magnification. Liner measurement of dye penetration was assessed with the use of digitalized image analysing system (analySIS, GmbH, Germany) The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using independent T-test and Two-way ANOVA and Tukey test.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In canal prepared with GT$^{TM}$ rotary file, shaphing time taked more than the group of using Gates Glidden drill to coronal preparation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2. The group of single cone obturation using canal preparation of GT$^{TM}$ rotary files showed significantly more apical leakage than those of lateral condensation and continuous wave technique regardless of shaping method (p<0.05). 3 The group of single cone obturation using canal preparation of GT$^{TM}$ rotary files and Gates Glidden drill showed significantly more apical leakage than those of continuous wave technique regardless of shaping method (p<0.05). 4. Regardless of shaping method, The group of continuous wave obturation showed less apical leakage than those of lateral condensation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5. The group of single cone obturation using canal preparation of GT$^{TM}$ rotary files and Gates Glidden drill showed more apical leakage than the group of lateral condensation using same shaping method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산업부산물(제강 Sludge, 제강 Slag)을 이용한 시안 흡착 제거 (Removal of Aqueous Cyanide through the Utilization of Industrial By-products)

  • 이정원;현재혁;조재범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99
    • /
    • 1998
  • 수질 오염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시안은 독성을 띠는 특정 수질 유해 화합물이다. 이를 함유한 산업폐수가 지표수 및 지하수에 유입되면 동식물 및 수생태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강 공정에서 다량 배출되는 산업 부산물인 제강슬러지와 제강슬래그를 이용하여 수중의 시안에 대한 흡착 제거 실험을 행하였으며 농도, pH, 온도 등의 영향 변수에 대하여 처리 효율과의 상관관계 및 흡착 평형, 가수분해식 등을 통하여 활성화 에너지( Ea )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살펴 보면, 초기 농도가 1 mg/$\ell$에서 5 mg/$\ell$, 10 mg/$\ell$, 20 mg/$\ell$로 증가함에 따라, 흡착제거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고, 또한 pH가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제거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농도 변화시 흡착제거율 순서는 20 mg/$\ell$> 10 mg/$\ell$> 5 mg/$\ell$> 1 mg/$\ell$이고, pH 변화시 흡착제거율 순서는 pH 11 > pH 7 > pH 3, 온도 변화시 흡착 제거는 흡열반응을 나타내므로 흡착제거율 순서는 $50^{\circ}C$ > $37^{\circ}C$> $25^{\circ}C$로 나타났다. 활성화 에너지( Ea )는 1 mg/$\ell$와 20 mg/$\ell$에서 각각 127.93 J/mol, 59.44 J/mol로 나타나 저농도에서 온도의 변화가 흡착에 매우 민감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위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 부산물을 이용한 오염물 제거 관점에서 제강슬래그와 제강슬러지는 차수 및 복토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 PDF

Pentanal과 hexanal 측정에 의한 대두유의 산패도 측정 (Evaluation of soybean oil rancidity by pentanal and hexanal determination)

  • 전호남;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49-153
    • /
    • 1991
  •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휘발성 산화생성물 분석으로 대두유의 산화진행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휘발성 성분의 분리방법으로 GC 주입부에 들어가는 splitless mode liner insert에 Tenax GC를 충전하여 휘발성 산화생성물을 포집 및 용출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polyethylene 용기에 포장된 대두유를 $60^{\circ}C$에서 400 lux의 형광등을 12시간 주기로 점멸시켜 100일간 저장하고 휘발성 산화생성물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와 관능검사 결과와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여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pentanal과 hexanal을 분석하면 대두유의 산화 진행도를 회귀식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이 저장 은도를 달리한 대두유에도 적용이 가능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 온도를 $20^{\circ}C,\;40^{\circ}C$$60^{\circ}C$로 한 대두유의 pentanal과 hexanal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한 결과와 관능검사에 의한 산패취 측정결과와의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pentanal(PE), hexanal(HE) 및 $log(PE){\cdot}log(HE){\cdot}log(PE){\times}log(HE)$의 세 가지를 면수로 한 회구식들의 상관 계수 값이 각각 0.941, 0.953 및 0.947로 다같이 높은 값을 보여 저장 은도가 다론 대두유의 경우에는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리피로 분석한 pentanal과 hexanal이 대두유의 품질 지표 성분으로 이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널리 쓰이고 있는 산가, 과산화물가와 관능검사에 의한 산패 취 측정 결과와의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상관 계수의 값이 산가는 0.756, 과산화물가는 0.503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 PDF

난지도 매립지 주변 지하수환경의 오염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the Nanji Uncontrolled Landfill and its Surrounding Hydrogeologic Environment)

  • 이철효;한정상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36
    • /
    • 1996
  • 난지도 매립지는 바닥차수재나 침출수 차집시설과 같은 오염방지시설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표적인 불량 매립지로써 투수성 충적층상에 조성되어 현재 그 인근 지하수와 지표수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침출수에 의해 오염된 주변 지하수환경의 오염운(구간) 탐지시 사용할 수 있는 오염지시인자를 결정하고 난지도 매립지를 중심으로 거리별로 설치된 10개의 관측정과 1개의 BTMW*정을 이용하여 물시료를 채취 분석하거나 Electric data logger를 이용하여 그 오염물질의 수직 및 수평적인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온도와 전기전도도는 매립지에서 가까운 지점일수록 높았으며 침출수는 지표하 85 m 지점까지 거동하였다. 오염성분중 전기전도도와 온도는 매립지 인근지에서 오염지시인자임이 판명되었다. 완전스크린설치정(Fully screened well)에서 측정한 오염물질의 심도별 농도는 공내 전구간을 통해 일정하거나 하부구간이 약간 높은데 반해 BTMW에서 측정한 오염물질의 농도는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점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상하구간이 완전히 관통된 완전스크린설치정에서는 오염물질의 온도나 밀도차이 혹은 침출수의 수직흐름 때문에 농도가 공내에서 평준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립지 인근지역에서 침출수의 수직 및 수평분포상태나 그 거동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BTMW나 다점시료 채취정(multi level sampling well)을 이용하여 물시료를 채취 분석한 값을 이용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