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ar system

검색결과 9,871건 처리시간 0.044초

효소반응법을 이용한 우황 및 우황함유 액상 제제 중 총담즙산의 정량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otal Bile Acids from Bezoar and Bezoar-containing Liquid Preparation by Enzymatic Technique)

  • 하인식;김승환;차봉진;권종원;양중익;민신홍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1권2호
    • /
    • pp.67-71
    • /
    • 1991
  • A simple and sensitive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quantification of free and conjugated bile acids in bezoar without prior hydrolysis. $3{\alpha}-Hydroxy$ bile acids are first oxidized to 3-keto bile acids in the reaction catalyzed by $3{\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3{\alpha}-HSD)$. During this oxidative reaction, an equimolar quantity of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NAD) is reduced to NADH and subsequently oxidized to NAD with concomitant reduction of nitrotetrazolium blue(NTB) to diformazan by the catalytic action of diaphorase. The diformazan has an absorbance maximum at 540 nm. The intensity of the color produced is directly proportional to bile acids concentration in the bezoar extracts.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enzymatic reaction such as effects of reaction time, reaction temperature and pH, and stability were investigated. Calibration plots for the sodium chelate observed to be linear and intra-, inter-assay analytical recovery of bile acids averaged $97.65{\pm}3.4%(S.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quality control of total bile acids from bezoar or bezoar-containing liquid preparation using this simple and sensitive assay system will be acceptable. Also current bezoars and bezoar-containing liauid preparations were examined their total bile acids from this method.

  • PDF

경제성장과 탄소배출량의 탈동조화 현상 분석: 63개국 동태패널분석(1980~2014년) (Analysis of Decoupling Phenomenon Between Economic Growth and GHG Emissions: Dynamic Panel Analysis of 63 Countries (1980~2014))

  • 임형우;조하현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8권4호
    • /
    • pp.497-526
    • /
    • 2019
  • 2015년 파리협정 이후 전세계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여받음에 따라 경제성장을 유지하며,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탈동조화(decoupling)'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 세계 63개 국가를 대상으로 1980년부터 2014년까지의 각 국가별 경제성장과 탄소배출량 사이의 탈동조화 현상의 주요 특징 및 이를 야기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매 5년마다의 탈동조화 정도를 국가별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OECD국가 및 소득이 많은 국가들의 탈동조화지수가 높았으며, 200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탈동조화 현상이 가속화되었음을 확인했다. 다만, 국가 특성에 따라 탈동조화 정도가 상이했다. 동태패널모형을 통해 탈동조화의 원인을 살펴본 결과, 제조업 성장률 및 수출비중은 탈동조화를 저해한 반면, 인적자본 및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탈동조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은 탈동조화에 역U자형태의 영향을 미쳤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형 자당 센서의 제작 (The Construction of the SPR (Surface Plasmon Resonance) Sucrose Sensor)

  • 엄년식;이수미;함성호;고광락;이승하;강신원
    • 센서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79-284
    • /
    • 1998
  • 수용액에서 자당의 농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금박막을 센서칩으로 사용한 SPR(surface plasmon resonance) 센서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센서칩 제작시 금박막의 특성조건은 SPR 현상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므로, 센서 제작의 최적화를 위해 특성을 분석하여 두께 약 $545\;{\AA}$, 표면 평균 거칠기 약 $3\;{\AA}$이 되도록 균일하게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금박막 센서칩의 공명각은 $43.75^{\circ}$ 이었으며, $0{\sim}40\;wt%$ 농도의 자당 수용액을 측정한 결과 기존의 알려진 자당 센서에 비해 빠른 응답특성과 선형적인 공명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광섬유 소산파를 이용한 면역 센서 제조 및 그 특성 (Fabrication of fiber-optic evanescent wave immunosensor and its measuring characteristics)

  • 최기봉;윤희주;차승희;최정도
    • 센서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356-361
    • /
    • 1997
  • 광섬유 소산파 센서(fiber-optic evanescent wave sensor)를 제작하였다. 클래드층을 제거한 광섬유 코아 표면에 anti-mouse immunoglobulin G(IgG)를 결합시키고, 형광이 표지된 mouse IgG와의 반응을 직접적인 방법과 경쟁적인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직접적인 방법과 경쟁적인 방법 모두 $1{\mu}g/m{\ell}$이하의 mouse IgG를 측정할 수 있는 감도를 얻을 수 있었다. Anti-mouse IgG는 단순 흡착 방법에 의하여 광섬유 코아 표면의 93.9%에 고정되었고 비특이적 결합반응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한 소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 BSA)을 이용한 표면 코팅 효과는 없었다. Mouse IgG에 결합된 fluorescein의 비율이 높을수록 형광 발생량이 많았으나 관계는 직선적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광섬유 소산파 센서는 $1{\mu}g/m{\ell}$ 이하의 항원 항체 반응을 소산파 여기에 의한 형광량으로 측정할 수 있어 면역센서로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교반막대추출법(SBSE)과 GC/MS를 이용한 수중의 Geosmin과 2-MIB의 분석 (Analysis of Geosmin and 2-MIB in Water by Stir Bar Sorptive Extraction (SBSE) and GC/MS)

  • 이화자;강임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4-69
    • /
    • 2009
  • 수돗물에서 geosmin과 2-MIB에 의한 곰팡이와 흙냄새는 소비자들에 대한 수돗물불신의 주된 요인이다. 따라서 geosmin과 2-MIB의 조기 검출 및 분석방법은 이취미 문제를 예방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반막대 추출법 (SBSE)과 GC/MS를 이용하여 geosmin과 2-MIB의 분석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시료를 추출하는 SBSE 방법을 최적화하여 수중의 geosmin과 2-MIB를 분석하는데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SBSE 방법은 간단하고 신속한 분석이 가능하여 소량(10~20 mL)의 시료를 사용하여 한 번에 많은 시료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었다. 그리고 SBSE 방법은 높은 회수율과 재현성을 보였다. 검출한계는 1~2 ng/L 이었으며 정량한계는 3~6 ng/L 이었다. 무엇보다도 SBSE는 수중의 geosmin과 2-MIB를 분석하는 데에 매우 신뢰성이 있고 실용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GIS를 이용한 2차원 홍수범람정보의 3차원 가시화 (Information of Flood Estimation using GIS for Three Dimensional Visualization)

  • 이진우;김형준;조용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59-1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양산시를 통과하여 흐르는 양산천 유역에서의 홍수범람을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Saint-Venant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으며, 지배방정식의 선형항은 풍상차분기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고 비선형항을 해석하기 위해서 Leap-frog 기법을 사용하였다. 홍수빈도에 따른 수치모의 결과는 3차원으로 가시화 되어 웹(web)상에서 제공되며 결과를 3차원적으로 가시화를 시킴으로서 2차원 도면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수치모의결과보다 대상 행정기관의 업무능률 향상과 대민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수치모의 결과는 GIS를 이용한 3차원 홍수지도 작성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에 제공하므로서 홍수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는데 효율적일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부조화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와 조직적 지지의 조절효과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ists)

  • 김초롱;최준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9-499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270 dental hygienists working full-time at dental care facilities. The data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were collected. The individual (self-efficacy and ego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and wage satisfaction) factors were considered as the moderating variable. For statistical analyse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used. Results: Burnou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p<0.001). The variables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were identified a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and wage satisfaction (p<0.05), while the variables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were wage satisfaction and ego resilience (p<0.05). Conclusions: To prevent the decrease in job satisfaction due to emotional dissonance, the management of dental care facilities shou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burnout in dental hygienists, which requir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orts to be moderated. In addition, as organizational support has been identified as the factor mitigating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it is highly necessary to adopt the preceptor system, improve communication systems and expand welfare policies of organizations.

Prediction of Cobb-angle for Monitoring System in Adolescent Girls with Idiopathic Scoliosi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Seo, Eun Ji;Choi, Ahnryul;Oh, Seung Eel;Park, Hyun Joon;Lee, Dong Jun;Mun, Joung H.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8권1호
    • /
    • pp.64-7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standing posture parameters tha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pinal deformity, and to develop a novel Cobb angle prediction model for adolescent girls with idiopathic scoliosis. Methods: Five normal adolescents girls with no histor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13 mild scoliosis patients (Cobb angle: $10^{\circ}-25^{\circ}$), and 14 severe scoliosis patients (Cobb angle: $25^{\circ}-50^{\circ}$) participated in this study. Six infrared cameras (VICON) were used to acquire data and 35 standing parameters of scoliosis patients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Using the ANOVA and post-hoc test, parameters tha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xtracted. In addition, these standing posture parameters were utilized to develop a Cobb-angle prediction model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wenty two of the parameters showed differences between at least two of the three groups and these parameters were used to develop the multi-linear regression model. This model showed a good agreement ($R^2$ = 0.92) between the predicted and the measured Cobb angle. Also, a blind study was performed using 5 random datasets that had not been used in the model and the errors were approximately $3.2{\pm}1.8$.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clinically predicting the Cobb angle using a non-invasive technique. Also, monitoring changes in patients with a progressive disease, such as scoliosis, will make possible to have determine the appropriat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strategies without the need for radiation exposure.

근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한 비침투적 혈당 분석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Fundamental Investigation of Non-invasive Determination of Glucose by Near Infrared Spectrophotometry)

  • 김효진;우영아;장수현;조창희
    • 분석과학
    • /
    • 제11권1호
    • /
    • pp.47-53
    • /
    • 1998
  • 본 연구는 당뇨병 진단방법의 개선을 위하여 채혈을 직접적으로 하지 않고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근적외선 분광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근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1 mg/dL에서 200 mg/dL 사이의 표준 시료 80개 글루코오스 흡수 스팩트럼을 측정하고 이를 정량하여 표준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을 때 1.8 mg/dL 오차범위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그리고 실제 혈액중에 존재할 수 있는 전해질 및 피부에 의한 산란의 영향을 연구하였을 때 모두 2.8 mg/dL 및 3.8 mg/dL의 표준오차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 위하여 검량곡선에 비직선성을 유발하는 빛의 산란 현상에 관한 모델링을 통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통계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후집속 방법을 이용한 에어로졸 TOF 질량분석기의 질량분해능 향상 연구 (Study on increasing the mass resolution in aerosol TOF mass spectrometer by using post focusing method)

  • 김덕현;양기호;차형기;김도훈;이상천
    • 분석과학
    • /
    • 제18권6호
    • /
    • pp.483-490
    • /
    • 2005
  • TOF 비행시간을 이용한 에어로졸 질량분석기에서 질량분석기의 분해능은 발생하는 이온의 초기에너지와 이온이 움직이는 진행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고출력 펄스형 레이저에 의하여 에어로졸로부터 용발되어 이온화된 원소들은 다른 속도로 사방으로 퍼져 나가게 되어 분해능 저하를 초래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1차 가속된 이온들을 서로 다른 에너지로 후집속하여 같은 시간에 이온센서에 도달하도록 하는 장치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후집속 전위를 $90^{\circ}$ 방향으로 진행하는 이온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걸어 줌으로써 TOF 영역을 지나 센서로 도입되는 이온의 도착 시간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실증하기 위하여 레이저 유도 이온을 만들고 후집속 장치를 구성하여 최적의 시간지연시간 및 전압 조건을 도출하여 그 성능을 증가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