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estone area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5초

점말동굴 지역의 지형과 지질 (A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Study on Jeomal Cave)

  • 김주환
    • 동굴
    • /
    • 제67호
    • /
    • pp.21-34
    • /
    • 2005
  • 점말동굴은 대부분이 퇴적기원인 석회 암 동굴이다. 토양은 산악지 역, 구릉지, 산록지 등에 다양한 종류의 토양이 분포한다. 동굴의 기본 골격은 주변을 통과하는 단층곡의 일부에 형성되었다. 동굴내의 소규모 수로는 절리의 방향이나 규모에 의해 유도된다. 동굴의 형태와 미지형은 그 지역의 지질구조 및 지하수의 유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동굴내의 점토는 지표로부터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동굴의 성인은 구조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병산 일대의 호석회 및 혐석회식물의 분류 (Classification of Calcicoles and Calcifuges in Mt. Jabyeong)

  • 김병우;오영주
    • 동굴
    • /
    • 제61호
    • /
    • pp.17-46
    • /
    • 2000
  • Mt. Jabyeong(872.5m), limestone region in the Taebaek mountains, located in 37° 32'N, 129° 25'E and in Sangye-ri, Okgye-myeon, Gangreung-si and Samok-ri, Imgye-myeon, Jeongseon-gun, Gangwon-d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floristic composition from 1997 to 1998 in Mt. Jabyeong and report the distribution of Korean endemic plants, rare and vulnerable plants, calcicoles and calci fuges, The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were composed of 93 families, 313 genera, 3 subspecies, 57 varieties, 13 forms, 495 species, totaling 568 taxa. Among the vascular plants, 21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and 7 taxa were rare and vulnerable plants. Calcicole and calcifuge plants in this study area were composed of 21 families, 30 genera, 36 species and 14 families, 15 genera, 17 species. The soil pH values of study site in Mt. chabyoung were ranging 7.4∼8, which showed that this site was a mostly limestone area with alkaline soil. And soil depth was formed to a relative thin layer, mostly 2~4cm thickness. This site showed high content of moisture and organic matter which were ranging 40-45% and 15-25%, respectively.

  • PDF

석회석 광산지역 지반침하 분석을 위한 물리탐사 기술 적용 연구 (A Geophysical Survey of Subsidence area around Limestone Mine Sites)

  • 홍진표;지윤수;오석훈;최성웅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8권4호
    • /
    • pp.207-215
    • /
    • 2015
  • 지반침하가 발생한 두 곳의 석회석 광산 지역에서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여 침하 원인과 향후 위험지역을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해석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암반공학적 해석을 수행하여 광산 개발과의 연계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점토와 모래질 토층의 석회석 광산 인근 지대(연구지역 1)와 석회석 광산과의 연관성이 예측되는 채굴적 상부 지대(연구지역 2)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지역 1, 2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침하 발생 위치 하부에서 각각 70 ~ 120 ohm-m, 20 ~ 50 ohm-m의 상대적으로 저비저항 이상대가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1은 2차원 전기비저항 단면을 파악하여 3차원 역산 해석을 통해 지반침하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지역 2는 침하가 발생하고 이상대가 관찰된 측선 7번에 대하여 암반공학적 안정성 해석을 실시하고, 침하의 원인과 향후 침하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Effects and control of blast vibrations in the vicinity of the limestone quarry

  • Kumar L. Ajay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sion technology
    • /
    • pp.83-87
    • /
    • 2003
  • Experimental blast studies were carried out in a limestone quarry to study the effects of blasting on structure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ossible relation between parameters like vibrations, frequency and scale distance and ten trial blast were conducted. 29 monitoring stations were located in such a pattern to give a true representation of blast induced vibrations for the entire mining in this area. The vibrations were monitored in the vicinity of structures surrounding the quarry in the direction towards the village, road, railway line, office building, etc. Scale distances were determined to identify the maximum charge permissible to cause damage to structures.

  • PDF

대규모 사면의 붕괴사례 (Case Study on Large Cutting Slope Failure)

  • 박영목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43
    • /
    • 2002
  • This paper described two case studies on large scale failure of cutting slope. The kind of rock in both sites predominated limestone and shale respectively. These cutting slopes located in northern area of Gyongbug Province are composed of very complicated and various rock mass. Geological characteristics, causes of failure, proceeding of security diagnose, maintenance method etc. of two sites were carried out to check the cutting slope stability and to provide reasonable maintenance method. This paper may provide the useful data for engineers related with design and construction of large cutting slope.

  • PDF

항공레이저측량 데이터를 이용한 노천광산 생태복원 모니터링 (Ecological Restoration Monitoring of Open-Pit Mines using Airborne Laser Scanning)

  • 이현직;양승룡;이규만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01-107
    • /
    • 2008
  • 자연적 경관이 빼어난 지역에 위치한 석회석 노천광산의 경우 친환경생태학적 개발 및 복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각종 환경 및 경관 관련 민원이 지속적으로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두대간에 위치한 석회석 노천광산을 대상으로 항공레이저측량과 지상레이저측량을 융합하여 대상지역의 지능형국토정보 구축을 수행함으로써 대상지역의 석회석 채광으로 인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방안을 정립하고, 고품질 지형정보를 통한 각종 환경 관련 문제 및 복원계획의 합리적인 추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Surveys of Vegetation in the Peninsular Geography of Youngweol

  • Yun, Sei-Young;Shin, Young-Seob;Yun, Min-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40-543
    • /
    • 2007
  • We hav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in the peninsula located in Ongjeong-Li Seomyeon in Youngweol-gun. Since this is a limestone area, boxtrees, Abelia mosanensis T. H. Chung ex Nakai, and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were abundant, as these are type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 of limestone areas. Pinus densiflora S. et Z. was the most dominant woody plant, but vegetational changes, such as the dominance of Quercus variabilis Blume, Quercus dentata Thunb, and Quercus mongolica Fischer, were observed in spots. In particular, the growth of nursery plants of pinus densiflora S. et Z. was not observed, and young trees like Quercus mongolica Fischer grow as low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Thus, the ecological succession of Quercus mongolica Fischer is predicted. Outside the investigation area, as herbaceous plants, various vegetations were observed, including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Thalictrum coreanum H. Lev., Mukdenia rossii(Oliv.) Koidz., Platanthera freynii Kraenzl.,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ume, Potentilla dickinsii Franch., Patrinia rupestris(Pall.) Juss., Swertia pseudochinensis H. Hara, Vicia venosa(Willd.) Maxim.,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Disporum smilacinum A. Gray, Artemisia stolonifera(Maxim.) Kom. for. Stolonifera, Smilax nipponica Miq.,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Regel) H. Hara, Isodon inflexus(Thunb.) Kudo, Gentiana scabra Bunge for. Scabr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Miq.) Ohwi, Dioscorea quinqueloba Thunb., Syneilesis palmata(Thunb.) Maxim.,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Galium kinuta Nakai & Hara,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Lilium amabile Palib., Siberian iris, Dictamnus dasycarpus Turcz., Atractylodes ovata(Thunb.) DC., and Lysimachia clethroides Duby.

쇄석 골재용 석회암의 암석학적 및 역학적 특성 (Litholoh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Crushed Limestone Aggregates)

  • 진호일;민경원;백환조;연규석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9-126
    • /
    • 1997
  • 최근 건설용 골재의 소비량이 증가하여 쇄석골재의 수요량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 광산 현장에 적치 되어 있는 폐석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삼화 지역에 분포하는 쇄석 골재용 석회암을 대상으로 암석 기재학적 화학적, 역학적 특성을 구명하여 건설용 골재로서의 적합성을 알아보고, 또한 부가가치가 높은 건설자재와 첨단산업소재 제품 개발의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삼화지역에 분포하는 쇄석골재용 석회암은 크게 담회색의 세립질 석회암과 담갈색의 조립질 석회암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중 양적으로 우세한 세립질 석회암은 돌로마이트가 함유되어 있어 MgO와 $SiO_2$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물성 및 역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보통암에 해당된다. 따라서 연구 지역의 쇄석골재용 석회암은 구성광물과 입자들의 크기 및 화학성분 등을 고려할 때, 대체로 시멘트 콘크리트용보다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용이나 도로 포장용 또는 철도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