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e treatment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6초

논토양 벼 재배에서 제강슬래그의 토양개량제로서의 시용효과 (Residual Effects of Basic Oxygen Furnace Slag as Soil Conditioner in the Rice Paddy Field)

  • 임준택;김영신;박인진;이충일;현규환;권병선;김학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5-211
    • /
    • 2000
  • 제강슬래그 시용 1년 후 논토양의 토양화학성분 함량, 벼의 생육, 그리고 수량에 대한 제강슬래그의 잔류효과를 밝히려 1997년에 Lim등 (2000)이 설치한 포장 중유정리와 남평의 포장을 그대로 보존하였다가 1998년에 동일품종과 동일재배 방법을 이용하여 벼를 재배하였다. 이앙 후 2주 간격으로 4~6회에 걸쳐 초장과 주당분얼수를 조사하였으며 생육중기와 수확기에 토양 표본을 채취하여 토양의 주요 무기화학성분함량을 조사하였고 수확시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를 조사하였다. 유정리논이나 남평논 모두 비슷한 토양화학성분 함량에서의 변이를 보였다. 제강슬래그 처리구의 토양 pH와 Ca 함량은 7월까지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인 후 점차 감소하였으며 제강슬래그 시용 수준이 높을수록 그 지속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이어서 토양 Ca의 공급원이나 산성토양개량제로서 제강슬래그의 효과는 2년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강슬래그 $4Mg\;ha^{-1}$ 시용수준의 pH 상승효과는 석회 $2Mg\;ha^{-1}$ 처리보다 다소 높거나 비슷한 경향이었다. $SiO_2$ 함량은 슬래그 시용구에서 무처리구보다 유의하지는 않지만 높은 경향을 보였다. Fe나 Mg 함량은 제강슬래그 시용 1년차에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2년차에는 점차 무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안정되었다. 유정리논 벼의 정조수량은 슬래그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석회 $2Mg\;ha^{-1}$ 처리구의 정조수량은 제강슬래그 $4Mg\;ha^{-1}$ 시용수준과 비슷하였다. 최대치를 보인 제강슬래그 $12Mg\;ha^{-1}$ 처리구의 정조수량은 $5,400kg\;ha^{-1}$로 무처리구의 $4,720kg\;ha^{-1}$에 비하여 14%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제강슬래그 $12Mg\;ha^{-1}$ 처리구는 생육초기의 초장생장이 빠르고 생육중기 이후 적정수의 주당 분얼수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며 수화기의 주당수수는 적은 반면 천립중이 높은 경향이었다. 남평논 벼의 정조수량은 석회 $2Mg\;ha^{-1}$, 제강슬래그 12, 8, $4Mg\;ha^{-1}$, 무처리구의 순으로 많았다. 제강슬래그 처리중 정조수량이 가장 많은 제강슬래그 $12Mg\;ha^{-1}$ 처리의 정조수량은 $7,170kg\;ha^{-1}$로 무처리구의 $6,670kg\;ha^{-1}$에 비하여 8%의 유의적인 증수효과가 있었다. 제강슬래그 $12Mg\;ha^{-1}$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생육초기의 초장생장은 느린 반면 생육중기 이후의 초장생장이 양호한 생장특성을 보였고 수당립수와 천립중이 유의적으로 많았다.

  • PDF

소오다회 제조 공장의 폐슬러리를 이용한 미세 실리카 함유 폐수의 응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gulation of Wastewater Containing Fine Silica Particles with the Waste Slurry from Soda Ash Manufacturing Industries)

  • 전세진;임성삼
    • 공업화학
    • /
    • 제10권7호
    • /
    • pp.1073-1078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오다회 제조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슬러리를 미세 실리카가 함유된 공장 폐수의 응집제로 이용 가능한 지를 확인하고 이로부터 폐수 처리비용을 절감하고자 수행되었다. 실리카 함유 폐수를 처리하는 경우 단순히 응집 처리하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수중에 미립자로 존재하는 실리카를 먼저 겔화(gellation)시킨 후 응집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한 경우, 적은 양의 폐슬러리를 사용하여도 양호한 처리수질을 얻을 수 있어 소오다회 폐슬러리를 실리카 함유 폐수 처리를 위한 응집제로 재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폐수 중 실리카의 겔화를 위한 적정 pH는 5정도였으며 겔화에 의한 응집 처리시 약품 사용량의 감소와 응집 수 발생되는 슬러지 양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소오다회 폐슬러리로 응집시킨 플럭의 탈수성과 침강성 역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아르곤 이온에 의해 표면처리된 CNT 에미터의 전계방출 특성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treated CNT Emitter by Ar Ion Bombardment)

  • 권상직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4권2호
    • /
    • pp.26-31
    • /
    • 2007
  • 카본나노튜브 전계 방출 어레이(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array, CNT FEA)를 유리기판 상에 형성시키기 위하여 CNT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 후 표면처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효과적인 표면처리 방법으로서 이온 빔을 조사(expose)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유리 기판상에 감광성 CNT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하고 UV 후면노광 및 현상공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CNT 페이스트를 남겼다. 다시 고온에서 소성후 CNT들은 바인더 성분들에 의해 문히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소성된 CNT 페이스트의 표면상에 Ar 이온빔을 가속시켜 페이스트의 바인더(binder)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전계방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표면처리를 위한 이온 빔 가속시 이온빔의 가속에너지에 따라 특성이 크게 변화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100 V의 낮은 가속 전압에서 가장 높은 전계방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가속 전압이 너무 높으면 바인더 성분 외에도 CNT 자체가 제거됨으로써 오히려 특정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Hybrid neutralization and membrane process for fluoride removal from an industrial effluent

  • Meftah, Nouha;Ezzeddine, Abdessalem;Bedoui, Ahmed;Hannachi, Ahmed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1권4호
    • /
    • pp.303-312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t a laboratory scale fluorides removal from an industrial wastewater having excessive F- concentration through a hybrid process combining neutralization and membrane separation. For the membrane separation operation, both Reverse Osmosis (RO) and Nanofiltration (NF) were investigated and confronted. The optimized neutralization step with hydrated lime allowed reaching fluoride removal rates of 99.1± 0.4 %. To simulate continuous process, consecutive batch treatments with full recirculation of membrane process brines were conducted. Despite the relatively high super saturations with respect to CaF2, no membrane cloaking was observed. The RO polishing treatment allowed decreasing the permeate fluoride concentration to 0.9± 0.3 mg/L with a fluoride rejection rate of 93± 2% at the optimal transmembrane pressure of around 100 psi. When NF membrane was used to treat neutralization filtrate, the permeate fluoride concentration dropped to 1.1± 0.4 mg/L with a fluoride rejection rate of 88± 5% at the optimal pressure of around 80 psi. Thus, with respect to RO, NF allowed roughly 20% decrease of the driving pressure at the expense of only 5% drop of rejection rate. Both NF and RO permeates at optimal operating transmembrane pressures respect environmental regulations for reject streams discharge into the environment.

석면 폐기물 처리 특허기술 분석 (The Patent Analysis of the Treatment Technology of Asbestos Wastes)

  • 김종헌;조진동;이상권;차성기
    • 자원환경지질
    • /
    • 제44권5호
    • /
    • pp.451-462
    • /
    • 2011
  • 석면은 내화성, 전기에 대한 절연성 및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여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우리의 생활 주변에서 흔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석면은 석면섬유형태에 따라 독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석면 폐기물의 처리 기술과 환경오염 문제해결을 위한 기술동향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KISTI에서 운영하는 특허 검색시스템을 사용하여 DWPI Database에서 석면 폐기물 처리기술을 검색 및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석면 폐기물 처리에 관련 특허 분석 대상은 267건 검색되었다. 이들 중 고형 폐기물 처리(B09B)분야에서 86건(32.5%), 분리(B01D)분야에서 44건(16.6%) 및 석회, 마그네시아, 슬래그, 시멘트 및 그 조성물(C04B)분야에서 27건(10.2%)을 보여 주었다.

인산시용 및 예취관리가 알팔파의 질소고정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osphate Fertilization and Cutting Management on Nitrogen Fixation and Feeding Value of Alfalfa ( Medicago sativa L. ))

  • 이효원;김창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1-37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 fertilization and cutting fkquency without N fertilizer on nutritive value and nitrogen fixation activity of alfalfa.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farm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at Yesan from 1994 to 1996.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split plot design with two P levels as main plot and two cutting frequencies as the sub-plot.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Ca and Na in the soil were slightly increased with P fertilizer and basal treatment of lime. Average DM yield was 1.5 ton and 1.4 ton in second and third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P level and cutting kquency. The first cut showed higest CP value as cutting times increased the value tend to be lowered. Crude protein content in 3 and 4 cutting regimes were from 16.3 to 16.6% 17.4 to 17.9% respectively, but no significant effect were found among the main and sub-plot. ADF and NDF in 1995 were ranged from 38.2 to 39.9, 45.1 to 58.1% respectively. ADF was 2% more higher in 1996 compared to previous year and NDF was slightly higher in 1996.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ADF between main plot in 1995. .P, Ca, K and Mg of 200kg P level with 3 times cutting treatment in 1995 and 1996 were 0.32 and 0.23, 0.95 and 0.84, 3.24 and 2.87, and 0.36 and 0.26. Significant difference of K and Mg between cutting frequency was observed in 1995. Nitrogen fixing activity of 400kg P fertilizer plots were higher than 200kg P level and 3 times cutting plot also showed higher acetylene reduction activity than that of 4 cutting per year. Phosphate level and cutting frequency treatment of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nitrogen fixation activity.

  • PDF

하수슬러지 처리기술 동향 및 최적화 처리방안 (Treatment, Disposal and Beneficial Use Option for Sewage Sludge)

  • 최용수
    • 수도
    • /
    • 제24권5호통권86호
    • /
    • pp.29-44
    • /
    • 1997
  • Sewage sludge produced in Korea was 1,275,800 tons (dewatered sludge cake) per year in 1996, which is 3,495 tons per day, 0.303% of 11,526,100 tons per day of sewage treated in 79 sewage treatment plants. Sludge production has been and will be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construction of new facilities for sewage treatment. Most of the sludge is currently disposed by landfill and ocean dumping, but it is becoming difficult to find suitable sites for landfill, particularly in big cities such as Seoul. In addition, rapid increase of landfill cost is anticipated in a near future. Current trend for sludge disposal in advanced countries is land application. Over the past 10 to 20 years in the United States, sludge management practices have changed significantly, moving from disposal to beneficial use. They use biosolid for utilization instead of sludge for disposal. Under the Clean Water Act of 1972, amended in 1987 by Congress, the U.S. EPA was required to develop regulations for the use and disposal of sewage sludge. The EPA assessed the potential for pollutants in sewage sludge to affect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 through a number of different routes of exposure. The Agency also assessed the potential risk to human health through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sources or surface water when sludge is disposed on land. The Final Rules were signed by the EPA Administrator and were published (Federal Register, 1993). These rules state that sewage sludge shall not be applied to land if the concentration of any pollutant in the sludge exceeds the ceiling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cumulative loading rate for each pollutant shall not exceed the cumulative pollutant loading rate nor should the concentration of each pollutant in the sludge exceed the monthly average concentration for the pollutant. The annual pollutant loading rate generally applies to applications of sewage sludge on agricultural lands. The most popular beneficial use of sewage sludge is land application. The sludge has to be stabilized for appling to land. One of the stabilization process for sewage sludge is lime stabilization process. The stabilization process is consisted of the stabilizing process and the drying process. Stabilization reactor can be a drum type reactor in which a crossed mixer is equipped. The additive agents are a very reactive mixture of calcium oxide and others. The stabilized sludge is dried in sun drier or rotary kiln.

  • PDF

KF 후열처리 공정시 CIGS 박막의 Na 원소 존재가 태양전지 셀성능에 미치는 영향 (KF Post Deposition Treatment Process of Cu(In,Ga)Se2 Thin Film Effect of the Na Element Present in the Solar Cell Performance)

  • 손유승;김원목;박종극;정증현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3권4호
    • /
    • pp.130-134
    • /
    • 2015
  • The high efficiency cell research processes through the KF post deposition treatment (PDT) of the $Cu(In,Ga)Se_2(CIGS)$ thin film has been very actively progress. In this study, it CIGS thin film deposition process when KF PDT 300 to the processing temperature, 350, $400^{\circ}C$ changed to soda-lime glass (SLG) efficiency of the CIGS thin film characteristics, and solar cell according to Na presence of diffusion from the substrate the effec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lower the temperature of KF PDT and serves to interrupt the flow of current K-CIGS layer is not removed from the reaction surface, FF and photocurrent is decreased significantly. Blocking of the Na diffusion from the glass substrate is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the optical voltage, photocurrent and FF is a low temperature (300, $350^{\circ}C$) in the greatly reduced, and in $400^{\circ}C$ tend to reduce fine. It is the presence of Na in CIGS thin film by electron-induced degradation of the microstructure of CIGS thin film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creasing the hole recombination rate a reaction layer is formed of the K elements in the CIGS thin film surface.

친환경 육묘시 세 가지 박과채소의 흰가루병에 대한 친환경 제제의 방제효과 (Evaluation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Agents for the Management of Powdery Mildew Infection during Seedling Stage of Three Cucurbitaceae Vegetables)

  • 여경환;장윤아;김수;엄영철;이상규;이한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3-420
    • /
    • 2013
  • 본 실험은 박과류(오이, 참외, 멜론)를 공시작물로 하여 친환경 육묘시 친환경 제제와 시용조건에 따른 흰가루병의 방제효과를 구명하고 기존 등록된 농약과 대조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친환경제제는 유효미생물로서 Ampelomyces quisqualis 94013(AQ94013)과 Bacillus subtilis Y1336(BS Y1336), 식물추출물로서 님오일(Neem oil)과 대황(Rheum undulatum)추출물, 미네랄 제제는 황수화제와 석회보르도액(Lime Bordeaux mixture)을 단용 또는 혼용처리하여 병 발생시기(발생전, 초기, 중기)에 따라 처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시설내 일 평균온도 $30^{\circ}C$ 이상, 하루 중 최고기온이 $40^{\circ}C$ 이상의 조건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기간 동안 유묘의 흰가루병의 발병도는 감소하였고, 대조구인 무처리구에서의 발병도도 크게 감소되어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발생 전처리시 방제효과는 모든 작물에서 황수화제가 가장 높았고, BS Y1336는 방제가가 20~40%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오이의 경우 발생전 처리시 님오일과 황수화제 처리는 살균제보다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멜론에서는 농약과 비슷한 방제가를 보였다. 대황추출물은 전 생육기간 동안 미생물제제보다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고, 오이와 멜론작물에서 발생초기 처리시 효과가 우수하였다. 물살포구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발병도를 보여 방제효과가 없었고, 참외와 멜론에서 물살포 처리는 무처리보다 더 높은 발병도를 보였다. 병발생후 친환경제제 처리시 방제효과는 처리하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친환경제제의 혼용처리에 의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을 때, 대황추출물(1주차) + 황수화제(2주차) + 님오일(3주차)의 조합으로 한 가지의 친환경제제를 주당 1회씩 총 3주 동안 혼용처리 했을 때, 전 육묘기간 동안 오이에서는 90% 이상, 모든 작물에서 평균 8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어 다른 조합의 처리에 비해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를 통해 박과채소의 친환경 육묘시 흰가루병에 대한 친환경제제의 방제효과는 단용처리 했을 때, 병발생 전후 처리에 상관없이 모든 작물에서 황수화제 처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혼용처리시에는 대황추출물(1주차) + 황수화제(2주차) + 님오일(3주차)의 조합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식전 pH 변화를 수반한 토양 용탈이 딸기의 생육, 무기염 흡수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plant pH Change and Leaching on Crop Growth, Nutrient Uptake and Yield of Strawberry(Fragaria ${\times}$ ananassa Duchesne) 'Nyoho')

  • 최종명;정석기;이영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3-239
    • /
    • 2004
  • 본 연구는 딸기 시설재배에서 토양 pH 변화를 수반한 제염방법이 딸기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토양 pH는 제염전 6.0으로 측정되었으나 제염 후 $5.8\~6.2$로 측정되어 처리간 차이가 크지 않았고, 유의차도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EC는 제염 전 토양이 $1.82dS{\cdot}m^{-1}$이었으나 지하수로 용탈한 처리(A)에서 $1.65dS{\cdot}m^{-1}$, 생석회를 $500g{\cdot}200L^{-1}$로 용해시킨 후 그 상등액을 관주하여 pH를 상승시키고 3주간을 기다렸다가 용탈한 처리에서 (B)에서 1.72, 황산알루미늄을 $0.75g{\cdot}L^{-1}$로 용해시킨 용액을 관주하여 pH를 저하시킨 후 3주간을 기다렸다가 용탈한 처리(C)에서 1.71, 그리고 pH 상승(B 방법) 후 저하시킨(C 방법) 처리(D)에서 $1.83dS{\cdot}m^{-1}$로 측정되었다. (D) 처리에서 토양 암모늄 농도가 높았고, (A) 처리의 토양 인산농도가 낮았다. 정식 80일 후의 생육에서 초장은 (C) 처리에서 20.4cm로 가장 컸으나 기타 생육지표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80일 후의 식물체내 무기원소 함량에서 다량원소는 처리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미량요소인 철, 망간, 아연, 구리 및 붕소는 (C) 처리에서 식물체내 함량이 높았다. 딸기의 수량 및 품질은 (C) 처리에서 50식물체 당 약 137개의 특대과를 생산하였고 과중도 3,784g으로 조사되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B) 처리의 경우에도 특대과의 비율에서 비교적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C) 처리에서 103당 3,123kg의 수확량 및 2,489 kg의 상품과를 생산하여 가장 우수하였으며, (B) 처리에서도 2,820kg/10a으로 비교적 수량이 많아 pH 변화 후 관수하여 용탈시킬 경우 효과적인 제염방법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