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ly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32초

수확전(收穫前) Daminozide의 살포(撒布)와 수확후(收穫後) 절화보존제(切花保存劑)의 처리(處理)가 절화백합(切花百合)의 수명(壽命)과 Ethylene발생(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Daminozide Spray and Floral Preservatives on Longevity and Ethylene Production of Cut Lily (Lilium longiflorum Thunb.))

  • 김영래;이종석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484-493
    • /
    • 1982
  • 수확전(收穫前) daminozide의 살포(撒布)와 수확후(收穫後) 보존용액(保存溶液)의 처리(處理)가 절화백합(切花百合)의 수명(壽命)과 품질(品質) 및 ethylene 발생(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 아울러 ethylene과 절화백합(切花百合)의 노화(老化)와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하고자 품종(品種) Georgia를 공시(供試)하여 몇가지 보존용액(保存溶液) 처리(處理)와 damiozie 엽면살포(葉面撒布) 및 ethephon 처리(處理)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절화백합(切花百合)에 sucrose, $AgNO_3$, AS, BA 용액(溶液)을 단독(單獨) 또는 혼용처리(混用處理)하였던 바 단독처리(單獨處理)에서는 $AgNO_3$ 25~50 ppm구(區)가 흡수량(吸水量)이 많고 신선중(新鮮重)이 무거웠으며 수명(壽命)도 가장 길었다. 혼용처리(混用處理)에서는 sucrose 2.5%+$AgNO_3$ 50 ppm+AS 200ppm+BA 10 ppm 처리구(處理區)가 절화백합(切花百合)의 품질향상(品質向上)과 수명연장(壽命延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수확(收穫) 2일전(日前) 봉오리 상태(狀態)의 백합(百合)에 daminozide 500 ppm을 살포(撒布)한 후(後) 수확(收穫)하여 보존용액(保存溶液)(sucrose 5%+$AgNO_3$ 50 ppm+HQ 150 ppm)에 보존(保存)한 꽃은 화중증가(花重增加)가 컸고 수명(壽命)이 현저(顯著)히 길었다. 3. 절화백합(切花百合)의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은 ethephon 처리(處理)에 의해 현저(顯著)히 증가(增加)되었으나, 이렇게 다량(多暈)의 ethylene을 발생(發生)시킨 꽃도 즉시 노화(老化)되지 않고 서서히 노화(老化)되는 양상(樣相)을 보였다. 4. 절화백합(切花百合)에 대한 보존용액(保存溶液)의 ethylene 발생억제(發生抑制) 효과(效果)는 매우 컸으나 수명연장(壽命延長) 효과(效果)는 그만큼 크지 않았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ethylene은 절화백합(切花百合)의 노화(老化)를 촉진(促進)하는 중요(重要)한 요인(要因)이기는 하지만 ethylene생성(生成) 억제(抑制)만으로는 백합(百合)의 노화(老化)를 뚜렷이 억제(抑制)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 PDF

야생 참나리(Lilium lancifolium Thunb.)로부터 분리한 효모의 분자계통학적 분석 (Phylogeny of the Yeast Species Isolated from Wild Tiger Lily (Lilium lancifolium Thunb.))

  • 김종식;김대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9-154
    • /
    • 2015
  • 효모의 유용 기능을 탐색하기 위해서 참나리에 정착하는 효모 군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잎에서 총 82 균주, 줄기에서 총 94 균주, 꽃에서는 총 97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를 ITS 1과 4 primer를 사용하여 ITS 영역 염기서열의 계통분석을 실시한 결과, 참나리 잎에서는 Pseudozyma가 31 균주, Aureobasidium pullulans가 28 균주, Cryptococcus가 11 균주, 줄기에서는 A. pullulans가 40 균주, Cryptococcus가 23균주, Candida 11 균주, 꽃에서는 A. pullulans가 95 균주, Rhodotorula 1 균주, Metschnikowia 1 균주가 분포하였다. 특히, 참나리 잎과 줄기, 꽃 모든 시료에서 A. pullulans가 우점하였으며, 꽃에서는 97 균주 중에서 95 균주의 A. pullulans가 검출되어 한 종이 절대적으로 우점함을 알 수가 있었다. 참나리 잎에서는 82 균주 중에서 Pseudozyma가 31 균주로 가장 우점함을 보였으며, 참나리 줄기에서는 94 분리 균주 중에서 Cryptococcus가 23 균주로 두번째로 우점함을 보였다. 참나리의 부위별로 분포양상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들 효모 균주들의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에 응용을 기대해본다.

유전자총 실험조건 최적화를 통한 형질전환 백합 식물체 생산 (Optimization of a protocol for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lily plants via particle bombardment)

  • 김종보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82-88
    • /
    • 2017
  • 유전자총을 이용한 형질전환 체계와 PPT (D-L-phosphinothricin) 선발을 통하여 나리 인편조직으로부터 형질전환 식물체가 획득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리 '레드플레임' 품종의 인편조직에 선발유전자로 제초제저항성 유전자인 bar 유전자 그리고 내염성과 내건성의 복합환경저항성을 나타내는 AtSIZ 유전자를 목적유전자로 가지고 있는 플라스미드를 금입자에 코팅해서 유전자총을 이용해서 형질전환 하였다. 이러한 형질전환 체계 확립을 위해 헬륨가스 압력은 1,100 psi, 금 입자크기는 $1.0{\mu}m$ 그리고 목적 절편체까지의 거리는 6 cm 그리고 유전자총 처리 24시간 전과 후에 0.2 M sorbitol과 0.2 M mannitol을 혼합해서 MS배지에 첨가한 프로토콜로부터 우수한 형질전환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전자총 발사 처리 후, 1주간 선발제로 사용되는 PPT가 없는 MS 배지로 이식하여 배양 후, PPT 10 mg/l이 첨가된 선발배지에서 4주 간격의 계대배양을 통해 8-12주간 선발과정을 거친다. PPT 선발 배지에서 생존한 신초가 형성된 형질전환 나리 인편 조직들을 호르몬이 없는 MS 배지로 다시 옮겨주면 발근 및 추가 생육이 이루어진다. 생존한 형질전환 나리 기내 소식물체들로부터 PCR 검정을 통해 선발유전자인 bar 유전자 그리고 목적유전자인 AtSIZ 유전자의 도입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100여개의 나리 인편조직을 본 연구에서 확립된 유전자총 실험프로토콜을 이용하면 대략적으로 형질전환 나리 17-18 개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 기술된 유전자 총 매개 형질전환 체계는 추가적인 보완이 이루어지면, 향후 나리 육종 프로그램에 기여할 것이다.

절화 백합 잎마름병 방제 및 품질 보존을 위한 감마선 150 Gy와 Sodium Dichloroisocyanurate 병용처리 (Combined Treatment with Gamma Irradiation and Sodium Dichloroisocyanurate to Control Leaf Blight and to Preserve Cut Lilies)

  • 구태훈;홍성준;윤성철
    • 식물병연구
    • /
    • 제22권2호
    • /
    • pp.94-99
    • /
    • 2016
  • 절화 백합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수준의 감마선을 이용한 검역 현장적용을 위해 수출용 오리엔탈 계통 백합 품종 중 흰색인 시베리아와 분홍색인 소르본느 절화 백합에 150 Gy 감마선 조사(irradiation)를 실시하였다. 감마선 150 Gy와 다양한 수준(0, 40, 100, $200{\mu}g/l$)의 NaDCC를 병용처리하여 두 품종의 절화 백합의 잎마름병 방제를 평가한 결과, 꽃잎의 발병률(incidence)은 대조구 93%-95%에 비해 150 Gy 감마선과 $100{\mu}g/l$ 이상 농도의 NaDCC 병용처리한 발병률은 76%-8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꽃잎의 발병도(severity)에서는 감마선 병용처리에 따른 발병 억제 효과는 없었다. 150 Gy 감마선 처리는 만개기간을 연장시키는 저장성 개선의 효과를 얻지는 못했지만, 엽록소를 파괴하거나 생중량을 감소시키는 절화 백합의 품질저하도 없었다. 또한 분홍색의 소르본느 꽃잎의 탈색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수출용 절화 백합의 잎마름병 방제를 위해 150 Gy의 감마선과 NaDCC $100{\mu}g/l$의 병용처리 방안을 수출검역 SOP에 제안한다.

신나팔나리(Lilium x fomolongi) 바이러스 감염이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irus infection in quality of production of Lilium x fomolongi as cut-flowers)

  • 정봉남;정재아;이은정;김정수;정명일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237-241
    • /
    • 2003
  • 신나팔나리(Lilium x fomolongi) 뇌산 품종 실생묘에 Cucumber mosaic virus(CMV), Lily mottle virus(LMoV) 및 Lily symptomless virus(LSV)를 인공적으로 접종하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재배포장에서 자연감염된 바이러스 병징과 감염율을 조사하였다. 재배포장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병징은 LMoV 감염에 의한 잎 모틀 증상이었다. 바이러스 감염율은 6년 이상 재 사용된 구근으로 재배하는 포장의 경우 CMV, LSV, LMoV 바이러스 가운데 두 종류 이상의 바이러스에 의한 복합 감염율은 80% 가량이었다. 신나팔나리 (Lilium x fomolongi) 품종 뇌산에 CMV-Li1과 LMoV-Li 복합감염시 건전주에 비해 초장 14%, 생체중 38%, 꽃 길이가 15% 감소하였다. CMV-Li1과 LMoV-Li 단독감염시에도 생체중은 건전주에 비해 각각 21.8%, 28.4%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요인에 의한 백합 (Lilium longiflorum cv. Georgia) 화분의 생장 및 Agro-Infiltration을 이용한 GUS 발현 (Impact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Factors on Lily (Lilium longiflorum cv. Georgia) Pollen Growth and GUS Expression Via Agro-infiltration)

  • 박희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279-283
    • /
    • 2004
  • 백합 (Lilium longiflorum cv. Georgia) 화분의 생장과 agro-infiltration에 의한 일시발현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요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화분을 배지에 섞기 위한 물리적 과정이나 agro-infiltration을 위한 진공작업과정은 정상적 화분생장을 위하여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의 온도 (19 to 27$^{\circ}C$)나 pH(5.0 to 8.0)에서 화분의 생장이 유사하게 진행되었으며 화학적 요인으로서의 cefotaxime (300mg/L), acetosyringone (800 $\mu$M), syringealdehyde (800 $\mu$M) 등의 처리는 화분의 생장에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kanamycin의 경우 매우 심한 생장저해현상을 보였는데 25mg/L의 농도에서도 저해현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GUS유전자의 화분발현시 acetosyringone(200-400$\mu$M)의 처리에 의하여 그 효율이 약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yringealdehyde의 경우에는 효과가 없었다. 짧은 시간 내의 agro-infiltration과정과 이어서 18 hr의 화분 및 박테리아의 동시배양으로서도 acetosyringone의 첨가에 상관없이 화분에서의 GUS 일시 발현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기능성 포장재가 백합과 장미의 선도유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unctional Packing Materials on the Maintenance of Freshness of Cut Lily and Cut Rose)

  • 서정근;김지희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57-61
    • /
    • 2010
  • 칼슘 및 왁스 코팅 포장재 처리가 절화백합과 장미의 절화수명 및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공시재료는 Lilium Oriental hybrid 'Le Reve'와 Rosa hybrida 'Fire King'를 사용하였으며, 25% 칼슘 및 36% 왁스 코팅 포장재 처리구에 포장 후 $5^{\circ}C$$20^{\circ}C$ 저장고에 48시간동안 저장하였다. 절화 백합의 'Le Reve' 경우 36% 왁스 코팅 포장재 처리구에 포장 후 $5^{\circ}C$ 저장시 상품의 수명은 대조구에 비해 2일정도 증가되었다. 그러나 절화 장미 'Fire King'의 경우는 절화의 선도유지나 수명에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절화 백합의 경우에는 상품의 수확 후 기능성 포장재가 저장성 및 선도유지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Genetic diversity assessment of lily genotypes native to Korea based on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 Kumari, Shipra;Kim, Young-Sun;Kanth, Bashistha Kumar;Jang, Ji-Young;Lee, Geung-Jo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158-164
    • /
    • 2019
  •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different genotypes reveals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genetic diversity that helps to develop a proper breeding program. In this study, a total of 30 EST-based simple sequence repeat (EST-SSR) markers derived from trumpet lily (Lilium longiflorum) were used across 11 native lily species for their genetic relationship. Among these 30 markers, 24 SSR markers that showed polymorphism were used for evaluation of diversity spectrum. The allelic number at per locus ranged from 1 at SSR2 locus to 34 alleles at SSR15 locus, with an average of 11.25 alleles across 24 loci observed. The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s ranged from 0.0523 for SSR9 to 0.9919 for SSR2 in all 24 loci with an average of 0.3827. The allelic frequency at every locus ranged from 0.81% at SSR2 locus to 99.6% at SSR14 locus. The pairwise genetic dissimilarity coefficient revealed the highest genetic distance with a value of 81.7% was in between L. dauricum and L. amabile. A relatively closer genetic distance was found between L. lancifolium and L. dauricum, L. maximowiczii and L. concolor, L. maximowiczii and L. distichum (Jeju), L. tsingtauense and L. callosum, L. cernuum and L. distichum (Jeju ecotype), of which dissimilarity coefficient was 50.0%. The molecular fingerprinting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 could serve boldly to recognize genetically distant accessions and to sort morphologically close as well as duplicate accessions.

RT-PCR법을 이용한 백합 바이러스 LSV, LMoV, CMV의 검출 (Detection of Lily symptomless virus, Lily mottle virus, and Cucumber mosaic virus from Lilium Grown in Korea by RT-PCR)

  • 임지현;배은혜;이용진;박성한;이규준;김새로미;정용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51-256
    • /
    • 2009
  • 2008~2009년에 강원, 충남, 제주 지역의 백합 재배 농가에서 바이러스 감염 증상을 보이는 백합의 잎과 구근을 채취하였으며 RT-PCR 방법으로 Lily mottle virus (LMoV), Lily symptomless virus (LSV), Cucumber mosaic virus (CMV) 등 3 종류의 바이러스를 검출 하였다. LSV 12주, LMoV 20주, CMV 1주가 검출 되었으며 LSV에 감염된 12개의 식물체 중 7개에서는 LMoV도 검출되어 복합 감염된 것을 확인하였다. LMoV와 LSV에 의한 복합 감염은 엽맥투명화, 잎말림, 반점, 모자이크, 황화 줄무늬 등 단독 감염보다 심각한 병징을 나타내었으며 좋지 않은 환경에서 저장된 구근에서도 복합 감염이 관찰되었다. 채집된 식물체는 LMoV 감염이 가장 많았으며 Lily virus X(LVX)에 의한 감염은 검출되지 않았다. 7개 분리주의(LMoV 4주, LSV 2주, CMV 1주) 외피 단백질 유전자를 증폭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백합 바이러스 염기서열(LSV:AJ516059, CMV: AJ296154)과 비교 하였으며 LMoV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기존에 보고된 염기서열(AJ564636)과 비교하였다. 분리주는 기존에 보고된 바이러스와 95~99%의 뉴클레오티드 염기서열 유사성을 보였으며, 이들 분리주의 분자 생물학적 특성을 밝히고 신속하고 정확한 바이러스 진단을 위해서는 전체 염기 서열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Cloning of the 5'-end and Amplification of Full-Length cDNA of Genomic RNA of Lily symptomless virus

  • Park, Seon-Ah;Ryu, Ki-H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187-191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the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5'-terminal region and full-length cDNA production of genomic RNA of Lily symptomless virus (LSV), a Species Of the genus Carlavirus. A sing1e DNA band about 600 bp harboring the 5'-end of genomic RNA of the virus was successfully amplifi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and was cloned for nucleotide sequence determination. Sequence analysis of selected RACE cDNA clones revealed that the LSV 5'non-translated region consists of 67 nucleotides long of AT rich stretch followed GC rich from the 5'-end. To produce full-length cDNA products for the viral genomic RNA, a set of LSV-specific primers c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obtained sequence in this study and the known sequences of 3'-terminal region for the virus. Full-length cDNA copies of LSV, an 8.4 kb long, were directly amplified by the long-template RT-PCR technique from the purified viral genomic RNA samples. This full-length cDNA copies were analyzed by restriction mapping. The molecules produc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in vitro infectious cDNA clone, as well as, for the completion of genomic RNA sequence and genome structure for the vi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