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emitting

검색결과 3,083건 처리시간 0.033초

미디어파사드 시뮬레이션 표현방법 (Expression method of simulation which is execution of media facade)

  • 이창조;하동원;한태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91-101
    • /
    • 2009
  • 이 연구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한 미디어 파사드의 시공 전 상황을 미리 재현하고 의사결정의 중요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영상 제작 과정과 기술, 그리고 다양한 표현방법들의 장단점을 분석한 것이다. 슈퍼그래픽으로부터 출발된 건물 외관 치장은 야간활동이 많아진 요즘의 시대적 분위기를 타고 LED시공으로까지 이어졌다. 초기의 슈퍼그래픽은 단순히 캐드 도면을 보고 의사결정을 할 정도였지만 오늘날 미디어 파사드 시공은 그렇게 간단히 의사결정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엄청난 시공비도 한 몫 하지만 건물의 아이덴티티와 주변 상황과의 어울림을 함께 고민해야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연구 결과인 미디어 파사드 시공 시뮬레이션의 다양한 표현 방법과 과정 분석, 그리고 장단점 파악은 시공규모와 시뮬레이션 목적에 따라 선택을 달리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알루미늄 보레이트 나노휘스커를 이용한 향상된 절연성 및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복합체 제작 (Fabrication of Polymer Composite with Enhanced Insul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using Aluminum Borate Nanowhiskers)

  • 최준혁;이상인;송기호;김태경;안창의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6-362
    • /
    • 2023
  • Inorganic-organic composites find extensive applica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lectronic devices and light-emitting diodes. Notably, encapsulation technologies are employed to shield electronic devices (such as printed circuit boards and batteries) from stress and moisture exposure while maintaining electrical insulation. Polymer composites can be used as encapsulation materials because of their controllabl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polymer composite that provides good electrical insulation and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This is achieved by using aluminum borate nanowhiskers (ABOw), which are fabricated using a facile synthesis method. The ABOw fillers are created via a hydrothermal method using aluminum chloride and boric acid. We confirm that the synthesis occurs in various morphologies based on the molar ratio. Specifically, nanowhiskers are synthesized at a molar ratio of 1:3 and used as fillers in the composite. The fabricated ABOw/epoxy composites exhibit a 48.5% enhancement in mechanical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pure epoxy, while maintaining good electrical insulation.

In vitro investigation of the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D irradiation

  • Jungwon Lee;Hyun-Yong Song;Sun-Hee Ahn;Woosub Song;Yang-Jo Seol;Yong-Moo Lee;Ki-Tae K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3권2호
    • /
    • pp.110-11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per wavelengths for safe levels of light-emitting diode (LED) irradiation with bactericidal and photobiomodulation effects in vitro. Methods: Cell viability tests of fibroblasts and osteoblasts after LED irradiation at 470, 525, 590, 630, and 850 nm were performed using the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assay. The bactericidal effect of 470-nm LED irradiation was analyzed with Streptococcus gordonii,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Fusobacterium nucleatum,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annerella forsythia. Levels of nitric oxide, a proinflammatory mediator, were measured to identify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LED irradiation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inflamm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Results: LED irradiation at wavelengths of 470, 525, 590, 630, and 850 nm showed no cytotoxic effect on fibroblasts and osteoblasts. LED irradiation at 630 and 850 nm led to fibroblast proliferation compared to no LED irradiation. LED irradiation at 470 nm resulted in bactericidal effects on S. gordonii, A. actinomycetemcomitans, F. nucleatum, P. gingivalis, and T. forsythia.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inflammation was reduced by irradiation with 525-nm LED before LPS treatment and irradiation with 630-nm LED after LPS treatment; however, the effects were limited. Conclusions: LED irradiation at 470 nm showed bactericidal effects, while LED irradiation at 525 and 630 nm showed preventive and treatment effects on LPS-induced RAW 264.7 inflammation. The application of LED irradiation has potential as an adjuvant in periodontal therapy, although further investig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vivo.

Interferometric Monitoring of Gamma-ray Bright AGNs:Measuring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f 4C+29.45

  • Kang, Sincheol;Lee, Sang-Sung;Hodgson, Jeffrey;Algaba, Juan-Carlos;Lee, Jee Won;Kim, Jae-Young;Park, Jongho;Kino, Motoki;Kim, Daewon;Trippe, Sascha
    • 천문학회보
    • /
    • 제46권1호
    • /
    • pp.52.1-52.1
    • /
    • 2021
  • We present the results of multi-epoch, multi-frequency monitoring of a blazar 4C +29.45, which was regularly monitored as part of the Interferometric Monitoring of GAmma-ray Bright AGNs program - a key science program of the Korean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Network (KVN). Observation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t 22, 43, 86 and 129 GHz during the 4 years from December 2012 to December 2016. We also used additional data from the 15 GHz Owens Valley Radio Observatory (OVRO) monitoring program. From the 15 GHz light curve, we estimated the variability time scales of the source during several radio flux enhancements. We found that the source experiencesd 6 radio flux enhancements with variability time scales of 9-187 days during the observing period, yielding corresponding variability Doppler factors of 9-27. From the multi-frequency simultaneous KVN observations, we were able to obtain accurate radio spectra of the source and hence to more precisely measure the turnover frequencies 𝜈r of synchrotron self-absorbed (SSA) emission with a mean value of ${\bar{\nu}_r}=28.9GHz$. Using jet geometry assumptions, we estimated the size of the emitting region at the turnover frequency. Taking into account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he equipartition magnetic field strength is up to two orders of magnitudes higher than the SSA magnetic field strength (0.6-99 mG). This is consistent with the source being particle dominated.

  • PDF

Chlorin e6의 농도별 Photodynamic therapy을 통한 자궁경부암 세포의 사멸도 측정 (Photodynamic therapy with chlorin e6-induced cervical cancer cell death)

  • 이언진;최세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3-32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Chlorin e6 (Ce6)를 입힌 자궁경부암세포를 사멸시키기 위해 레이저 또는 LED를 인가한 PDT (photodynamic therapy)을 실시하고, Ce6 농도와 투여 시간별 사멸도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자궁경부암세포에 광자극을 인가한 후 영상의 처리 및 CCK-8을 이용한 정량적인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Ce6은 일정 농도가 높아질수록 많은 양의 세포가 사멸되었고, Ce6를 이용한 PDT 실험군에서 사멸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LED와 레이저를 비교하였을 때 레이저는 국소적 위치만 세포의 사멸이 가능하고 LED는 비교적 넓은 범위의 사멸에 효과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레이저와 같이 국소적 위치를 조사하는 경우 세포 생존도 측정 시 해당 위치의 이미지를 획득한 후 영상처리를 통한 정량분석을 시행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강자성-강유전성 복합체를 활용한 자기-기계-마찰전기 변환 발전소자 (Magneto-Mechano-Triboelectric Generator Enabled by Ferromagnetic-Ferroelectric Composite)

  • 임예슬;황건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7권1호
    • /
    • pp.112-117
    • /
    • 2024
  • The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is a key component for Industry 4.0, which is the network in homes, factories, buildings, and infrastructures to monitor and control the systems. To demonstrate the IoT network, batteries are widely utilized as power sources, and the batteries inevitably require repeated replacement due to their limited capacity. Magneto-mechano-electric (MME) generators are one of the candidate to develop self-powered IoT systems since MME generators can harvest electricity from stray alternating current (AC) magnetic fields arising from electric power cables. Herein, we report a magneto-mechano-triboelectric generator enabled by a ferromagnetic-ferroelectric composite. In the triboelectric nylon matrix, a ferromagnetic carbonyl iron powder (CIP) was introduced to induce magnetic force near the AC magnetic field for MME harvesting. Additionally, a ferroelectric ceramic powder was also added to the MME composite material to enhance the charge-trapping capability during triboelectric harvesting. The final ferromagnetic-ferroelectric composite-based MME triboelectric harvester can generate an open-circuit voltage and a short-circuit current of 110 V and 8 μA, respectively, which were enough to turn on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charge a capacitor. These results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MME triboelectric generator for not only harvesting electricity from an AC magnetic field but also for various self-powered IoT applications.

스마트 재배시스템을 활용한 백리향 생장 및 개화 분석 (Analysis of Growth and Flowering of Thymus quinquecostatus Using Smart Farming System)

  • 김미희;최의림;김현빈;김광상;김민숙;김민지;정승일;이건웅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4-84
    • /
    • 2022
  •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은 꿀풀과의 낙엽반관목으로 국내에서 자생하는 허브 식물 중 하나이다. 백리향은 특유의 좋은 향기 및 항산화, 항염증, 항균, 미백 등의 효능을 가지는 각종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의약품이나 기능성 식품, 화장품의 천연 소재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백리향은 재배 환경에 맞추어 주로 고산지대의 노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노지 재배는 지역, 시기, 기후 등의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아서 백리향의 유효성분, 품질 및 생산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 시스템을 활용하여 백리향의 유효 성분 등을 안정적으로 얻기 위한 생장조건을 탐색하기 위해 4종의 Light Emitting Diode(LED) 광원과 4종의 토양 조성에 따라서 백리향의 생육조건을 수행하였다. LED는 white, purple, RGB1, RGB2를 사용하였으며, 토양은 상토:펄라이트 비율(상토, 5:1, 3:1, 1:1)로 조성하여 백리향 묘목을 이식한 뒤 생장과 개화시기를 분석하였다. 재배환경은 백리향 재배지의 기상 데이터를 참고하여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총 8주 동안 생육상태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백리향 재배 4주차에 일부 개체에서 봉오리가 올라오며 개화를 시작하였으며, 8주차에는 대부분의 조건에서 개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백리향의 지상부 면적을 비교한 결과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이는 조건은 토양은 3(상토):1(펄라이트) 비율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백리향 재배에 스마트팜 농업 기술을 활용한다면 기존 노지 재배 한계를 보완하여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백리향을 생산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제조 현장 여과 설비사용 위험성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isks of Using Filtration Facilities 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and Its Preventive Measures)

  • 곽종구;강찬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1
    • /
    • 2023
  • OLED 소재 시장의 규모는 2019년 11억 달러에서 2023년 23억 달러로 연평균 19% 이상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OLED 소재 제조사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설비 중 여과 설비는 사용 시 화재, 폭발, 누출 등의 사고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여과 설비사용 시의 위험성 개선이 요구된다. 해당 연구에서는 여과 설비사용에 따른 위험성을 도출하기 위해 주요공정 즉 조립 및 분해공정, 여과공정, wet cake 회수공정, 세척공정의 4가지로 나누어 사고사례조사, 사전인터뷰,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여 유해 위험 요인을 도출하였다. 설문 결과의 분석은 SPS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 카이제곱 검정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된 결과를 활용하여 위험성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OLED 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및 위험 요인들을 다루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Process window of simultaneous transfer and bonding materials using laser-assisted bonding for mini- and micro-LED display panel packaging

  • Yong-Sung Eom;Gwang-Mun Choi;Ki-Seok Jang;Jiho Joo;Chan-mi Lee;Jin-Hyuk Oh;Seok-Hwan Moon;Kwang-Seong Choi
    • ETRI Journal
    • /
    • 제46권2호
    • /
    • pp.347-359
    • /
    • 2024
  • A simultaneous transfer and bonding (SITRAB) process using areal laser irradiation is introduced for high-yield and cost-effective production of mini- or micro-light-emitting diode (LED) display panels. SITRAB materials are special epoxy-based solvent-free pastes. Three types of pot life are studied to obtain a convenient SITRAB process: Room temperature pot life (RPL), stage pot life (SPL), and laser pot life (LPL). In this study, the RPL was found to be 1.2 times the starting viscosity at 25℃, and the SPL was defined as the time the solder can be wetted by the SITRAB paste at given stage temperatures of 80℃, 90℃, and 100℃. The LPL, on the other hand, was referred to as the number of areal laser irradiations for the tiling process for red, green, and blue LEDs at the given stage temperatures. The process windows of SPL and LPL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critical time and conversion requirements for good solder wetting. The measured RPL and SPL at the stage temperature of 80℃ were 6 days and 8 h, respectively, and the LPL was more than six at these stage temperatures.

금속 이온이 다중기포 Sonoluminescence 스펙트럼에 미치는 영향 연구 (Color Changes of Multi-Bubble Sonoluminescence Due to Metallic Ions in Water)

  • 한문수;이제욱;백승찬;백정환;김영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1-11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액체 내에서 초음파에 의해 빛이 발생하는 현상인 Sono-Luminescence (이하 SL)에 대해 연구하였다.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을 녹인 용액에서의 SL을 관찰 하였으며, 금속 이온 농도, 금속이온의 종류를 바꾸어 가며 SL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때 각각의 SL에서 나오는 빛을 사진으로 찍어 RGB 성분 분석을 통해 금속 이온을 녹인 용액의 SL이 증류수에서 SL과 금속 불꽃 반응 색 또는 선스펙트럼에서 강한 세기로 방출되는 색의 합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알칼리 금속의 경우 두 색의 합성으로 잘 표현되었으나 알칼리 토금속의 경우는 그렇지 않았다. 그 이유로 SL 방출시 온도가 그리 높지 않아서 알칼리 토금속의 선스펙트럼에서 에너지가 큰 단파장의 빛이 SL에서 잘 방출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