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curing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24초

The comparison of relative reliability on biaxial and three point flexure strength methods of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 Seo, Deog-Gyu;Rho, Byoung-Duck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575-575
    • /
    • 2003
  • The majority of studies compar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rittle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now include use of the Weibull Modulus (m). This modulus is determined from analysis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strength measurements, which can be determined using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biaxial flexure, 3pt bend and 4pt bend. In comparing materials it is usually implicitly assumed that the modulus (m) is independent of test method although it is recognised to be highly dependent on flaw distributions. However, in some cases flaw distributions can be modified by sample preparation and test method may modify stressing patter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tern of strength and m in two light setting materials.

  • PDF

Interfacial ultrastructure of the AQ Bond Plus

  • Haruyama, Chikahiro;Amgai, Tetsuya;Sugiyama, Toshiko;Muto, Yoshitake;Takase, Yasuaki;Hirai, Yoshito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601-601
    • /
    • 2003
  • AQ Bond Plus has the function of self-etching priming adhesive, which can be applied by single coating without second coating, being different from conventional AQ bonds. Moreover, because the absorption range of light became wider, the bond can comply with any visible light curing units. Thus, the bond can produce an unified form between the dentine layer with impregnated resin of good quality and the thin and hard film characteristical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junctional conditions of AQ Bond Plus,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omitted)

  • PDF

다파장 IR과 NIR 모듈의 평균 수명 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TTF of Multi Wave Lengths IR and NIR LEDs Module)

  • 김동표;김경섭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4권1호
    • /
    • pp.44-49
    • /
    • 2021
  • Recently, infrared (IR) and near-infrared (NIR) light-emitting diodes (LEDs) were widely used for home medical applications owing to its low output power and wide exposed area for curing. For deep penetration of the light under the skin, multiple LEDs with wavelengths of 700~10,000 nm were located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hen multiple wavelengths of LEDs were soldered on a circuit board, the lifetime of LED module highly depends on LEDs with a short lifetime. The mean time to failure (MTTF) was able to calculate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under high temperature and the Arrhenius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companies to approve the warranty of LED modules and its product.

고강도 할로겐광으로 중합한 복합레진 수복재의 경도 (HARDNESS OF COMPOSITE RESIN CURED BY HIGH INTENSITY HALOGEN LIGHT)

  • 박종석;이광희;김대업;김성형;안호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71-479
    • /
    • 2001
  • 복합레진의 광중합시간 단축과 관련하여 최근에 개발된 고강도 할로겐광 중합기를 기존의 중강도 할로겐광 중합기와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광중합용 복합레진을 두께가 2, 3, 4, 5mm인 스테인레스 스틸 몰드에 충전하고, 레진 상면을 중강도 할로겐광은 (1) $400mW/cm^2$으로 40초간 고강도 할로겐광은 (2) 10초동안 $100mW/cm^2$부터 $1000mW/cm^2$까지 출력량이 증가하면서 중합하고 다음 10초동안 $1000mW/cm^2$로 중합하는 ramp 모드로 20초간, (3) $1000mW/cm^2$의 boost 모드로 10초간, (4) $850mW/cm^2$의 표준 모드로 20초간 조사하고, 상면과 하면의 표면경도를 미세경도측정기로 측정한 후 실험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레진 상면의 경도는 중합광의 강도와 중합시간 및 레진 두께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유의수준 0.05, 이하 동일). 레진 하면의 경도는, 두께 2mm의 중강도군(1)을 제외하고, 상면의 경도보다 낮았다. 레진 하면의 경도는 두께 2mm에서 중강도군(1)이 ramp군(2) 및 boost군(3)보다 높았고 중강도군(1)과 표준군(4) 간 및 ramp군(2)과 boost 군(3)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두께 3mm에서 중강도군(1)이 가장 높았고 표준군(4)이 boost군(3)보다 높았다. 따라서, 복합레진의 중합 깊이 측면에서 볼 때, $1000mW/cm^2$의 고강도 할로겐광을 10초간 조사한 것은 $400mW/cm^2$의 중강도 할로겐 광을 40초간 조사한 것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레진 두께 2mm이내인 경우에는 $850mW/cm^2$의 고강도 할로겐광을 20초간 조사함으로써 $400mW/cm^2$의 중강도 할로겐광을 40초간 조사한 것과 대등한 중합을 일으킬 수 있었다.

  • PDF

다양한 광원으로 중합한 치과용 접착제의 전단강도에 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FOR THE SHEAR BOND STRENGTH OF DENTAL ADHESIVES CURED WITH VARIOUS LIGHT SOURCES)

  • 최남기;조성훈;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3-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수종의 치과용 접착제를 세대별로 분류하여 서로 다른 광원에 노출 시켜 중합하고 접착면의 전단 강도 측정을 통해 결합강도를 비교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광원에 따른 접착제의 중합 양상을 알아보고 소아치과 영역에서 가장 권장할만한 치과용 접착제와 광원 종류의 조합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치과용접착제를 대상으로 다른 유형의 광원으로 중합하였을 때 영구치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 비교 평가하여 임상에서 상아질결합제와 광중합 시스템의 적절한 조합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으며, 실험재료로 Adper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Adhesive (SM; 3M ESPE, USA), Adper Single bond 2 (SB; 3M ESPE, USA), Clearfil SE Bond (SE; Kuraray Medical Inc., Japan), Adper Prompt L-Pop (PL; 3M ESPE, USA), GBond (GB; GC Cooperation Toyko, Japan)을 이용하여 Elipar Free light 2(LED; 3M ESPE, USA), OptiLux 501 (Halogen, Kerr, USA), Flipo (PAC, LOKKI, FRA) 세 가지의 광원으로 중합하고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한 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reelight 2로 중합하였을 때 전단결합강도는 SM이 가장 높았으며($28.22{\pm}5.56$), SB($21.68{\pm}7.44$), SE($20.13{\pm}9.88$), PL($14.18{\pm}5.88$), GB($14.30{\pm}6.81$) 순이었다. SM은 PL, GB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05), SB, SE, PL, GB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Optiux 501로 중합하였을 때 전단결합강도는 SM이 가장 높았으며 ($22.06{\pm}7.95$), PL($12.94{\pm}4.96$), SB($12.80{\pm}3.35$), SE($12.43{\pm}4.79$), GB($10.00{\pm}3.47$) 순이었고, SM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05), 다른 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Flipo로 중합하였을 때 전단결합강도는 SM이 가장 높았으며 ($26.82{\pm}11.16$), PL($15.42{\pm}9.35$), SB($10.96{\pm}3.74$), SE($9.39{\pm}3.74$), GB($7.85{\pm}2.22$) 순이었다. SM은 SB, SE, GB 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05), 다른 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광원에 따른 차이는 SB와 GB에서만 유의성이 있었고, 다른 결합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광원에 따른 유의성을 나타낸 결합제 중 SB는 Freelight 2가 다른 광원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OptiLux 501과 Flipo간의 차이가 없었던 반면, GB는 Freelight 2와 Flipo 간에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복합 레진의 간헐적 광중합 방법이 중합 수축 속도와 치아의 교두 변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MITTENT POLYMERIZATION ON THE RATE OF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CUSPAL DEFLECTION IN COMPOSITE RESIN)

  • 김민경;박성호;서덕규;송윤정;이윤;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4호
    • /
    • pp.341-351
    • /
    • 2008
  • 지금까지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광중합형 복합 레진을 중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조사 강도, 시간을 조절하여 중합수축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간헐적 중합법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저자는 광중합 복합 레진을 간헐적으로 광중합시켜 기존의 연속 중합법과 비교하여 중합 수축의 속도를 측정하고 교두 변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복 재료는 2종의 광중합형 복합 레진으로 Heliomolar와 Pyramid이며, 중합 수축량을 측정하기 위해 자체 제작한 Linometer (R&B Inc., Daejon, Korea)을 사용하였고 광중합시 광조사 차단장치를 시편과 Linometer 사이에 위치시켜 각각의 서로 다른 중합 주기: (1) 연속 광중합 (60초간 계속 광조사); (2) 2초 광조사, 1초 광차단 (90초 시행), (3) 1초 광조사, 1초 광차단 (120초 시행), (4) 1초 광조사, 2초 광차단 (180초 시행)로 중합시켰다. 군 별로 조사된 총에너지량이 동일하도록 중합 시간을 조절하였고, 최종 중합 수축량을 측정하였으며 중합 수축의 최고속도 ($R_{max}$)와 최고속도를 나타낸 peak time (PT)을 계산하였다. 교두 변위의 측정을 위해서는 각 군별로 10개의 건전한 상악 소구치에 변형시킨 제2급 와동을 형성한 다음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고 일정량의 복합 레진을 충전한 후 치아를 자체 제작된 치아 변위 측정기 (R&B Inc., Daejon, Korea)에 위치시켜 교두 변위양을 알아보았다. 통계분석은 ANOVA test를 이용하여 군 간의 비교를 하였고, 재료간의 비교를 위해서는 t-test를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1) 선수축량은 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p > 0.05), Pyramid가 Heliomolar보다 중합 수축량이 컸다 (p < 0.05). Peak time은 Heliomolar와 Pyramid 레진 모두에서 간헐적 광중합시 더 늦게 나타났다. $R_{max}$는 Heliomolar는 4군 < 3군, 2군 < 1군 순이었고, Pyramid는 3군 < 4군 < 2군, 1군 순으로 측정되었다. 2) Heliomolar는 4군 < 3군 < 2, 1군 그리고 Pyramid는 4, 3군 < 2, 1군 순으로 교두 변위가 컸으며 (p < 0.05), Pyramid가 Heliomolar보다 교두 변위가 크게 나타났다 (p < 0.05). 이번 실험을 통해 복합 레진을 광조사 차단장치를 이용하여 간헐적 광중합시켜 중합수축 속도를 늦춤으로써 교두 변위 양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녹화중 귀리 유식물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효과 (The Effect of Light on the Formation of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in Oat Seedlings during Greening)

  • 이동희;문연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643-656
    • /
    • 1996
  • 백색광 및 여러 파장의 광선 (적색, 청색, 그리고 녹색광)이 녹화중인 귀리 유식물의 엽록소 함량 변화 및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높은 광도의 백색광은 낮은 광도의 백색광에 비하여 귀리 유식물의 전체 엽록소 함량 및 엽록소 a/b 비율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형성에 있어서 높은 광도의 백색광은 낮은 광도의 백색광에 비하여 PSI, CCI, 및 CCII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촉진하였다. 한편, 여러 파장의 광선하에서 생장한 귀리 유식물은 유사한 광도를 가진 백색 광하에서 생장한 유식물에 비하여 엽록소의 축적 및 엽록소 a/b 비율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적색광은 귀리 유식물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형성에 있어서 백색광에 비하여 LHCII trimer형성에 효과적이지 못하였으나, 청색광은 백색광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청색광과 적색광을 비교하였을 때, 청색광은 적색광보다 LHCII monomer의 형성에 효과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엽록체의 발달과정동안 광도의 효과가 광질의 효과보다 엽록소 축적 및 엽록소 a/b비율의 증가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며, 여러 파장의 광선은 엽록체-단백질 복합체의 조성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세라믹 브라켓과 교정용 접착제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SHEAR BOND STRENGTH OF DIFERENT CERAMIC BRACKETS AND ADHESIVES)

  • 이주원;유동환;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15-326
    • /
    • 1997
  • 여러 세라믹 브라켓과 접착제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영구 소구치 48개를 대상으로 베이스의 유지 형태가 다른 3종의 세라믹 브라켓을 광중합과 화학 중합을 포함한 3종의 교정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고 전단 결합 강도와 파절 양상을 관찰한 결과, 화학 중합형 레진으로 접착한 경우 광중합형으로 접착한 경우보다 결합강도가 높았으며, 화학적 결합을 하는 Starfire 브라켓이, 기계적 결합을 하는 Transcend나, 복합형 결합인 Fascination 보다 전단 결합 강도가 낮았다. Trascend는 주로 법랑질과 레진(E/R)에서, Fascination은 법랑질, 레진, 브라켓 베이스에 혼합(COMB)되어 파절되며, Starfire는 레진과 브라켓 베이스(R/B)에서 파절이 나타났다.

  • PDF

A COMPARATIVE STUDY BETWEEN DEGREE OF CONVERSION AND FLEXURAL STRENGTH OF COMPOSITE RESINS

  • Lee Seong-Hee;Pae Ahran;Kim Sung-Hun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3-342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onversion and the flexural strength of composite resins, there is minimal information in the literature attempting to compare degree of conversion, flexural strength and their correlation between restorative composite resins and flowable composite resins.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degree of conversion and flexural strength of composite resins with different rheological behavior and to correlate the two properties. Materials and methods. Four restorative (Vit-1-escence, Z-250, Tetric ceram, Esthet-X) and four flowable (Aeliteflo, Admiraflow, Permaflo, Revolution) light-curing composite resins were investigated. The degree of conversion(DC) was analyzed with Fourier transfer infra-red spectroscopy(FTIR) spectrum by a potassium bromide(KBr) pellet transmission method. The spectrum of the unpolymerized specimen had been measured before the specimen was irradiated for 60s with a visible light curing unit. The Poiymerized specimen was scanned for its in spectrum. The flexural strength(FS) was measured with 3-point bending test according to ISO 4049 after storage in water at $37^{\circ}C$ for 24 hour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The dependence of flexural strength on the degree of conversion was also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ean DC and FS values ranged from 43% to 61% and from 84.7MPa to 156.7MPa respectively. DC values of the flowable composite resi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restorative composite resins (P < 0.05). The FS values of restorative composite resins were greater than those of flowable composite resin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DC and the FS tested in any of the composites. The dependence of FS on DC in restorative or flowable composite resins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radical polymerization of the organic matrix is not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flexural strength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composite resins.

2급와동 광중합 복합레진의 충전방법에 따른 변연누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MARGINAL LEAKAGE OF CLASS II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RESTORATION ACCORDING TO FILLING METHODS)

  • 김경현;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8권1호
    • /
    • pp.55-72
    • /
    • 199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arginal leakage of class II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restoration according to filling methods. With using acid etching technique and dentin bonding agent, various methods were suggested to eliminate or reduce the marginal leakage. In this study, class II cavities were prepared in 100 extracted human premolars with cementum margin(1mm below the CEJ) and the teeth were randomly assigned to 5 groups of 20 teeth each. The teeth in group 1, 2, 3 and 4 were restored by direct filling methods using P-50 and Clearfil Photoposterior of 10 teeth each, but the method of insertion of the restorative materials varied with each group. And the teeth in group 5 were restored by inlay method using Kulzer Inlay and CR Inlay. Filling methods are as follows : Group 1 : The composite resin was inserted in one layer in the proximal box and one layer in the occlusal portion. Group 2 : Insertion was in two equally thick horizontal layers in the proximal box. Group 3 : Insertion was in two diagonally placed layers in the proximal box. Group 4 : The composite resin was inserted in the same way as in group 3 except that a glass ionomer liner was first placed on the axial wall and gingival floor. Group 5 : The teeth were restored by Inlay technique using dure cure resin cement. All the teeth were thermocycled, stained with 1 % methylene blue solution, sectioned mesiodistally, and scored for marginal leakage. To compare the marginal leakage, ANOVA and T-test were used i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direct filling metho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ginal leakage at both occlusal and cervical margins. 2. In all groups, occlusal margin showed significantly less leakage than cervical margin. 3. In group using glass ionomer lin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duction of marginal leakage at the cervical margin. 4. The group restored by inlay method showed significantly less marginal leakage than groups restored by direct filling methods at both occlusal and gingival margins.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group according to filling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