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perception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8초

대구 시민의 공공도서관 인식 조사연구 (A Survey of Citizens' Perceptions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윤희윤;오선경;이재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99-124
    • /
    • 2016
  • 어느 지역이든 공공도서관이 생활밀착형 지식정보서비스 기관, 문화향유 및 평생학습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려면 서비스 대상인구에 대한 인식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적용하여 공공도서관의 비중과 중요성, 이용실태와 비이용 이유, 독서프로그램 참여 및 비참여 이유, 도서관 확충(신설) 요망지역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관련 연구, 관계법령, 국민 독서실태조사, 전국문화기반 시설 총람, 대구시민 의식조사, 대구 도시브랜드 시민의식 조사, 광역시도 및 대구시 기초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현황 등과 비교하여 대구시 공공도서관의 인프라 충실화 및 이용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를 중심으로 - (Citizens' Perception, Demands and Expectations of their Public Library Services in Daejeon)

  • 정유경;박성희;권선영;김보일;구정화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39-258
    • /
    • 2021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시민들을 대상으로 대전 대표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급변하는 사회 및 기술 환경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및 대표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세우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대전지역의 특성을 조사하고, 대전 시민들을 대상으로 도서관 인식 및 요구사항을 조사·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의 권역별 인구비례 할당을 통한 오프라인 설문조사와 지역대표도서관의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1,383명의 응답을 수집하여 이를 통계 분석하였다.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현단계 서비스 및 시설에 대한 만족 및 불만족 사항을 조사하고 이용행태를 분석하였고, 대표도서관인 한밭도서관의 서비스와 시설에 대한 평가와 개선 및 요구사항 또한 분석하였다. 기존 도서관에 대한 불만사항 또는 비이용 요인과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향후 도서관의 발전 방향과 전략을 세우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개선 및 계획 방향을 제언하였다.

공공도서관 '등록'의 법적 성격 및 등록관청 인식에 관한 연구: [법률 제18547호, 2021. 12. 7. 전부개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gal Meaning of Public Library 'Registration' and the Perception of Registration Authorities: Focused on [Law No. 18547, Comprehensive Amendment, December 7, 2021])

  • 윤명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1-58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법(법률 제18547호)의 주요 특징인 공공도서관 등록제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도서관법에서 '등록'의 법적 성격을 살펴보고, 전국 34개 등록관청 회의에 참여하여 예상등록률과 등록제에 대한 현장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도서관법에서의 등록은 절차와 방법에서는 허가제의 성격을 지녔으나, 효력에서는 공증의 효력만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예산등록률은 26%로 나타났다. 등록관청의 인식 조사에서는 등록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비고'의 조항에 대한 문제, 업무 과중, 사서 확충의 어려움, 등록기준 및 등록대상의 불명확 등을 지적하였다. 이에 대해 도서관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도서관주간에 대한 도서관 직원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Survey of Library Staff on Library Week)

  • 심효정;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3-54
    • /
    • 2022
  • 본 연구는 도서관주간에 대한 관종별 도서관 직원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향후 법정 도서관의 날 및 도서관주간 활성화를 위해 도서관계가 검토해야 할 내용을 모색했다. 분석결과, 도서관 직원의 도서관주간 참여경험과 주최기관의 행사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3년부터 시행될 법정 도서관의 날 및 도서관주간에 대한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도서관의 날 및 도서관주간 추진 시 중점사항으로는 도서관에 대한 국가적 홍보와 행사를 위한 충분한 예산지원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도서관 직원의 인식조사를 통해 향후 법정 도서관주간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도서관계 인식 개선을 위한 다각적 노력, 다양한 관종 참여 유도를 위한 타 관종과의 연계 협력 및 관종별 협의회 내 추진위원회 구성, 각종 매체를 활용한 적극적 언론 홍보, 예산확보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udy on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 Noh, Young-Hee;Ahn, In-Ja;Park, M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29-4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library promotional marketing for the disabled by identifying requirements of public library disability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of library programs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prepare a systematic plan for promoting such library services. Research methods used are a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First, the ratio of respondents with experience promoting activit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was less than 50%. Second, regarding methods for promoting library disability services, the respondents used library homepages, press releases, library user guides, library newsletters, and library pamphlets in that order. Third, when asked what kind of PR media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 providers had experience with and how often they use it, library boards and banners were the most common response. Fourth, suggested improvements to the current design and content of PR materials included: clearer word choice (or greater understandability), more detailed descriptions, simpler layouts, and more interesting or eye-catching content in that order. Fifth,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s which are in the most need of public relations were guide information for library disability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DOI services and search services), using alternative materials and the library collection, and aiding the information search. Overall, when evaluating the promotion of disability services in Korea, the library's public relations for disabled services needs to improve because currently neither librarians nor the disabled community they are targeting has frequent or quality experience with it. Thus, the policy department for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s must develop a variety of promotional strategies adjusted for each type of the disability and distribute PR materials to service providers individually, making sure to utilize effective PR methods.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이주민과 다문화전문가 및 사서들의 인식과 요구조사 (Immigrants', Multicultural Experts' and Librarians'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n Current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 구정화;우윤희;신난희;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13-243
    • /
    • 2020
  • 본 연구는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이주민, 다문화전문가, 사서의 인식과 요구조사를 통해 다문화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 방향과 방법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그룹 인터뷰 기법을 사용하여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조사결과, 이주민들과 사서들의 현재 도서관 다문화 서비스에 대한 주요 요구들과 인식에 있어 의미있는 특징과 차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의 개선을 위해 다문화사회와 이주민에 대한 사서의 이해 증진, 수요자 중심적인 도서관 다문화서비스로의 전환, 다문화 유관기관과의 협력 강화, 도서관 협력에 기초한 다문화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교육과정의 체계화 등이 요구되었다.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 효과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me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 백지원;표순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15-139
    • /
    • 2020
  • 본 연구는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효과를 이용자 관점에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 요소들을 서비스 이용, 사서, 도서관 차원에서 도출하였고, 테마 컬렉션 서비스를 주요한 도서관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는 A공공도서관 이용자 294명을 대상으로 효과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테마 컬렉션을 알고 있는 이용자들의 장서 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이용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생각지 못한 새로운 도서의 이용에 대한 만족에 높은 효과 인식을 보였다. 또한, 테마 컬렉션 효과 인식도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인식은 오래전부터 도서관을 이용해왔던 이용자, 자주 이용하는 핵심 이용자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브라우징을 많이 하는 이용자들일수록 사서의 역량에 대한 효과 인식도가 높았다. 이러한 테마 컬렉션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평가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와 의의를 반영하여 장서개발, 장서의 활용 및 정보서비스 제공, 이용자 중심의 분류, 도서관 및 사서에 대한 인식 개선의 관점에서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전자책에 대한 도서관의 학부모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ents' Perception about E-books in Libraries)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9-127
    • /
    • 2011
  • 본 연구는 도서관 이용자인 학부모들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만족도를 살펴보고, 향후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개 도서관의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 컴퓨터 이용, 전자책 이용 행태,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이용 행태, 어린이 전자책 선정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123명으로부터 설문 응답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안을 보다 적극적인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홍보와 이용 교육, 이용하기 편리한 전자책 이용 과정, 도서관의 인적 물적 지원을 통한 전자책 서비스의 인지, 전자책 전담 사서와 전문 교육과정의 준비,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자체 평가를 통한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으로 제시하였다.

대구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주민인식 연구 (Citizens' Perception on Establishing a New Public Library in Jung-gu, Daegu)

  • 조용완;구정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15-143
    • /
    • 2021
  • 본 연구는 대구 중구에 새로운 구립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는 것에 관해 지역주민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 중구 관내에서 중구 주민 174명과 향후 중구립 공공도서관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타 구군 주민 126명 등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민들은 공공도서관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가치를 높이 인식하였고, 공공도서관이 없을 경우,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며 자신과 가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주민들은 중구의 공공도서관 수는 부족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구립 공공도서관의 건립이 필요하며, 건립시 이용 의향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이외에도 이번 조사에는 중구립 공공도서관의 입지와 건축 방향과 장서, 서비스, 이용자에 관한 주민들의 인식도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구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한 인식적 타당성은 상당히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이 결과를 반영하여 보다 구체적인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계획과 운영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가상현실(VR) 기술의 도서관서비스 적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요구 조사 (College Students' Needs and Perception Assessment to Apply Virtual Reality(VR) Techniques to Library Services)

  • 권선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41-148
    • /
    • 2019
  • 본 연구는 가상현실(VR)과 관련된 기술 및 콘텐츠를 도서관서비스에 접목하여 활용하는 것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정도와 요구사항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상현실 기술과 콘텐츠를 활용한 도서관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전단계 연구과정으로, 이 연구는 차세대 지능정보기술에 대한 기본 개념과 종류들을 정리하여 이해하고 현재 국내외 도서관에서의 적용 사례들을 조사한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 선행연구 분석내용들을 바탕으로 현 대학생 56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 및 콘텐츠를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과 이를 도서관 현장에서 준비하고 고려해야 할 내용과 전략들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