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management

검색결과 2,770건 처리시간 0.029초

공공도서관 브랜드 강화를 위한 영어장서 독서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Developing English Reading Program Model for Strengthening Public Library Brand)

  • 오경묵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21-242
    • /
    • 2011
  • 본 연구를 위하여 공공도서관의 경영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입시제도의 변화와 국내 사교육시장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서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다양한 경쟁적 요소가 도서관서비스 시장에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들은 도서관 입장에서 보면, 소속된 지역과 업무현장에서 자연스럽게 경쟁관계가 성립되어 상호 조직의 발전이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결국 도서관 마케팅 측면에서 새로운 관계 정립이 필요하다. 도서관의 '영어도서관프로그램'을 새로운 서비스 확장 사업으로써, 마케팅레버리지(marketing leverage)로 활용하여 도서관이 공공기관으로서 의 단단한 입지와 도서관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도록 도서관 2곳을 선택하여 장서개발과 프로그램 운영 경험을 통해 모형을 고안, 제시하였다.

국제과학비즈니스도서관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the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Library)

  • 박현희;이성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35-254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에 건립예정인 도서관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도서관 중에서 과학비즈니스서비스라는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건립될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사례분석과 설문을 바탕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도서관의 효과적 운영방안으로 정보자원 및 특별 프로그램 인적지원 공간제공 국내 협력지원 국제 네트워크 형성의 다섯 가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도서관의 운영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조사 및 분석 (A Survey and Analysis of Current Collection Management State in School Libraries)

  • 김성준;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1-42
    • /
    • 2017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154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설문지는 학교도서관의 장서현황, 이용현황, 장서관리 체제의 3개 영역에 걸친 총 12개의 조사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도출된 주요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현황에서 2015년 기준 학생 1명당 단행본 수는 전문단체인 한국도서관협회기준과 비교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기준을 초과하였으나, 고등학교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입수자료의 주제별 비율은 문학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 주제로 사회과학과 역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용현황에서 학교급별 대출현황은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 초등학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한 번도 대출된 적이 없는 자료는 전체 장서의 64.6%로 나타났다. 셋째, 장서관리 체제에서 전체 154개교 중 114개교(74%)가 자체의 장서관리 정책서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모든 학교는 연간 1회 이상의 장서점검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교는 자체의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연 중 2~3회의 회의를 개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는 학교도서관 현안문제에 대한 대화와 소통의 장으로, 그리고 장서개발, 운영지원, 홍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디지털 도서관 상호운영성 기술요소에 기반한 기술 참조 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Technology Reference Model Based on Technologies of Interoperability in Digital Libraries)

  • 김성희;이정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39-25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도서관의 상호운영성 및 통합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운영성을 위한 핵심 기술 및 디지털 도서관의 기능, 서비스를 분석하여 정보기술아키텍처의 기술참조모델을 설계하였다. 제시된 디지털 도서관의 정보기술아키텍처의 영역은 1)Metadata Management, 2)Library Services, 3)Service Integration 4)Service Management, 5)Open Interface, 6)Network, 7)Architecture 등총 7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20개의세부 기술 영역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보시스템간의 상호운영성및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식별함으로서 디지털 도서관의 체계적인 구축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사립대학교 도서관경영과 도서관장의 경영관 조사 분석 (Investigation of Private University Library Directors' Managerial Roles and Their Views on University Library Management)

  • 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5-25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 사립대학교 도서관장의 경영관을 조사해 보고, 도서관장의 전문성과 도서관경영에 관계가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한국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의 103개 회원관의 현직 도서관장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도서관장의 직무수행에 관한 사항 및 직무수행 전반에 대한 견해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도서관장의 전문성과 도서관경영방식 및 견해와의 관계에 대한 가설검증을 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대학도서관장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대학도서관에의 전문직 도서관장의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정보기술이 대학도서관의 경영관리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Academic Library Management)

  • 윤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9-114
    • /
    • 2002
  • 대학도서관은 어느 관종보다 정보기술의 도입에 적극적이다. 그러나 국내 대학도서관의 경우, 특히 무비판적 수용에 따른 규모의 비경제성과 비효율적 관리에 따른 활용성의 저하가 경영관리의 최대 난제로 부상하고 있다. 대학도서관이 정보기술을 경영관리의 핵심요소로 상정하여 그 영향과 파장에서 배태되는 무수한 담론의 곡절과 고저를 평 면화하고 맹목적 수용의 예각을 둔화시키며 체계적 관리방안을 모색하지 않을 경우. 정체성의 심각한 훼손과 위상의 격하가 초래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기술이 대학도서관의 경영관리(조직구조, 인력과 직무, 예산배정과 지출, 공간구조와 기능성, 장서패러다임, 이용자봉사)와 학술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서하고 바람직한 수용자세와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CRM 기법을 이용한 대학도서관 경영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Improvement of an Academic Library Usin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박일종;유경종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5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P대학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와 요구사항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CRM기법을 적용하여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P대학 구성원을 대상으로 응답자 기본정보, 소장자료, 자료이용, 홈페이지, 이용자서비스, 시설/환경의 6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만족도조사에서 자료이용 부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설환경 부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료이용에서는 희망도서 신청 자료를 신속히 구입 및 정리하여 제공하고, 예약도서에 대한 캠퍼스 간 대출이 필요하다. 둘째, 홈페이지에서는 OPAC의 검색시스템과 예약시스템 기능 개선이 필요하고, 자주 이용하는 기능에 대한 메뉴 재배치도 필요하다. 셋째, 이용자서비스에서는 도서관 행사를 더욱 확대하고,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행사 안내와 홍보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SMS, Push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시설환경에서는 개인 및 그룹 학습공간의 부족, 사물함 부족, 환기 및 냉난방 관리 문제, 화장실 시설관리 불만 (휴지 부족 등) 도서관의 지리적 접근성 부족, 외부이용자 관리 등에 대한 불만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병영도서관의 평가결과 분석을 통한 운영 진단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Diagnosis of Military Libraries in Korea by Analyzing Management Evaluation)

  • 차성종;한종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9-7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160개 병영도서관의 2011년 한 해 동안의 운영실적을 평가한 결과를 분석하여 병영도서관 운영을 진단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평가 결과 전체 영역의 평균 도달률은 59.4%로 나타났다. 시설 영역(79.2%)과 교류협력 영역(71.0%)이 높은 도달률을 보인 반면, 계획 영역(28.3%)과 지원 영역(33.0%)은 상대적으로 낮은 도달률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획 영역에서의 낮은 도달률은 향후 병영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는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전략적인 계획 수립 및 집행에 대한 정책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병영도서관 평가의 결과 분석 작업이 병영도서관 운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제시하는 것으로 이어져 향후 병영도서관 활성화 정책으로 연결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문헌정보학과의 기록관리 교과목과 문헌정보학 교수의 기록관리학 논문 출판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cords Management Courses offered at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Publication Trend of Records Management Articles b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

  • 한미경;노영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25-149
    • /
    • 2015
  • 본 연구는 기록관리 전문가를 교육 및 양성하는 주요 학문영역의 하나로서 문헌정보학의 교육과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35개 4년제 대학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과 기록관리학 분야 교과목의 변화를 검토하고 국내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의 7개 학술지에 실린 문헌정보학 교수의 기록관리학 학술논문들을 대상으로 출판 동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문헌정보학의 한 영역으로서 기록관리학의 연구동향은 새로운 학문분야, 교과목 개설의 증가, 학회의 창설과 학회지의 창간, 관련 법률의 제정과 개정, 학문의 학제적 성격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록관리학 교과목의 개설과 융합적 연구, 그리고 타 학문 영역의 기록관리학 교육과 연구에 대한 조사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장서관리에 있어서 '선택'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in Collection Management)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26
    • /
    • 1999
  • This study purposes to identify how the 'selection' of library materials shold be changed in the electronic environment to improve library services fundamentally. The study scrutinized the essence of sele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nd collection management, and the results of various studies to define the selection. The study implies: 1) the selection must be changed to the function providing users with assessment information of library materials, which helps the users access to entire scholarly information. 2) the assessment information could be input from different libraries and used by all users connected to the library netwo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