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theory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8초

학교도서관의 교수 - 학습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e of Learning and Teaching Theories for School Libraries)

  • 함명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7-219
    • /
    • 2002
  • 교육은 인간 행동의 계획적인 변화이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의 학습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그 심리적 기제를 설명하는 법칙이나 이론적 체계는 학습이론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학교교육을 지원하는 기본 시설로서의 학교도서관은 교수-학습이론과 어떤 관련이 있고,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은 어떻게 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객관적 통찰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탐구와 학문적 탐구를 위한 기반이 된다. 본고에서는 학습이론의 큰 흐름인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한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론 등을 중심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수-학습 이론적 기반을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초를 도서관기반교육접근법 (LBEA)으로 정립하고 있다.

  • PDF

정보봉사의 속성과 철학적 기반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Information Services and its Attributes)

  • 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1-80
    • /
    • 2010
  • 이 논문은 정보봉사의 개념과 속성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정보봉사의 철학적 기반을 세우는데 목적을 두었다. 정보봉사의 개념과 속성은 용어의 어원과 정의 및 내용, 역사적, 사회적 관점에서 그 근거를 밝혔다. 이를 통해 정보봉사라는 용어가 정보봉사의 본질과 속성 그리고 활동내용에 가장 적합한 명칭임을 논리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정보봉사의 이론을 체계화하였다. 정보봉사의 철학은 용어의 어원, 정의, 기능, 그리고 역사적, 사회적 관점 등에서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정신인 교육, 정보, 상담 지도라는 세 요소와 봉사라는 인본주의적 요소를 중심으로 그 기초를 세우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 PDF

The Features of Restricted Access to Information at European and East Asian Libraries

  • Makhotina, Natalya;Pshenichnaya, Evgeniy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3호
    • /
    • pp.31-41
    • /
    • 2021
  • The growing number of threats to society through the uncontrolle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is forcing library communities in many countries to reconsider their views on free access to collections. Based on the content of numerous document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it can be concluded that in any democratic country access to inform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human rights, along with the right to life, liberty, and security of person. However, the state has the right to restrict citizens' access to inform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existing legislation. Constantly, restrictions on access to information are established in order to protect the ethical foundations of the constitutional order, morality, health, rights, and legitimate interests of others, to ensure the country's defense and state securit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ach country has the right to independently decide where the boundaries lie between permitted and prohibited information, including printed information, contained in library collections. This article describes three levels of access restriction: foreign, state, and regional. The authors have analyzed the legal and regulatory documents that govern libraries, as well as the reasons and methods of limita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triction of access to information in the countries of Europe and Asia is presented.

레코드 컨티뉴엄의 기록 평가 논리 분석 - 라이프사이클과의 비교를 통한 핵심 요소 도출 - (A Study of Appraisal in Record Continuum Theory: Derivation of Key Element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Appraisal in Life Cycle Model)

  • 김명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46
    • /
    • 2022
  • 본고에서는 레코드 컨티뉴엄에서의 평가 논리를 분석하였다.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평가가 지닌 보다 근원적인 함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레코드 컨티뉴엄에 내재되어 있는 평가 논리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레코드 컨티뉴엄은 기존의 라이프사이클을 기반으로 한 평가 논리 및 여기서 연유한 양분화된 기록관리체제에 대한 반론에서 출발한 이론체계라는 점에서,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평가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특히 평가는 기록이 지닌 의미를 모색하는 합목적적 행위임을 감안할 때, 레코드 컨티뉴엄에서 의도한 기록의 개념 및 의미에 대한 재해석은 이전과는 다른 평가상의 논리들을 도출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본고에서는 라이프사이클 평가 논리와의 비교 및 레코드 컨티뉴엄에서 제시한 새로운 기록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레코드 컨티뉴엄 평가 논리상의 핵심 요소를 세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문헌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비판적 패러다임의 모색 (Seeking a Critical Paradig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 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45-264
    • /
    • 2002
  • 문헌정보학은 지식의 생산, 관리, 운용에 관한 탐구를 내용으로 하고 있으나, 이 분야의 연구들이 주로 지식과 정보의 관리에 있어서의 효율성의 문제에 집중하는 기능주의적 지향성을 유지해 왔다는 비판도 적지 알다. 즉, 문헌정보학이 지식과 정보의 기술적, 조작적 측면을 중시하고 광범한 컨텍스트로서의 사회과학적 접근은 결여한 결과 지식과 관련되는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이슈를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헌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이러한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지향성의 부족이라는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이 글은 지식의 생산, 유통의 체계에 개입하는 권력의 문제를 중심으로 문헌정보학의 문제들 가운데 비판적 인식이 필요한 영역들을 일별해 봄으로써 문헌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비판적 패러다임의 지향과 적용 가능성을 가늠한다.

대학도서관에서의 CRM을 이용한 MyLibrary서비스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yLibrary Service in Academic Libraries Using the CRM)

  • 조인숙;하누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3-79
    • /
    • 2011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시스템의 MyLibrary 기능을 CRM개념을 적용하여 이용자들에게 맞춤서비스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홈페이지조사를 통하여 1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대학도서관시스템 중 3개의 시스템을 선정하고 해당 대학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의 각 기능을 담당하는 사서들이 MyLibrary 기능에서 생성되는 이용자들의 정보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가 많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MyLibrary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이용자들에게 맞춤정보서비스 제공과 질적으로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CRM에 대한 인식제고와 feedback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정보행위 분석을 통한 정보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rvices Based upon the Analysis of Information Behaviors)

  • 박현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103
    • /
    • 2010
  • 정보접근, 획득, 이용자와 정보시스템과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내용 중심으로 연구된 이용자 연구는 변화된 정보환경에서 정보획득과 공유행위를 포함한 정보행위 관점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Wilson의 정보행위 개념을 적용하여 도서관과 인터넷 환경에서 이용자 정보획득과 공유행위의 요구 및 동기, 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통합적 분석을 토대로 정보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정보행태 불확신성에 관한 연구 - 경영학분야 박사과정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 (Uncertainty Study: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Doctoral Students in Business Management)

  • 김양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5-89
    • /
    • 2012
  • 본 연구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방식을 이용하여 학술연구를 목적으로 한 이용자들의 불확신성과 관련된 정보추구행태를 조사하였다. 이론적 표집에 의하여 17명의 경영학 박사과정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질문지, 심층적 인터뷰, 정보탐색과정상의 생각을 말하기 방식(Think-aloud descriptions)을 통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의 지속적인 비교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정보요구의 식별, 정보시스템의 선정, 탐색어의 선택, 정보시스템의 이용 및 탐색결과의 평가 등 5단계에 걸친 이용자 불확신성을 식별하였다. 각 불확신성과 관련, 불확신성의 긍정적인 측면이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의 주요 시사점은 정보시스템 및 서비스의 개선과 관련된다.

사서(司書)의 직무태도(職務態度)에 대한 분석적(分析的) 연구(硏究) (A Analytic Study of the Librarians' Job Attitude)

  • 전재봉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38
    • /
    • 1978
  • When the Professional Librarians can be satisfied with the needs in perfoming their jobs, they feel the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job desire consists of the directly related factors such as fitness, dexterity and the value of the work and those opinions regarding the environments, pays, problems of the promotion, promise of the job.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se factors that affect the Professional Librarans' job desire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ived degree of Professional Librarians' job desire. To meet this purpose, this study is based upon A.H. Maslow's motivation theory "Hierarchy of Needs" and analyzed by the method of "Cafeteria Question" the answers gathered from 226 Professional Librarians who are work ing in University Libraries. The analyzed results show that generally the job desires of Professional Librarians in university libraries are low and stands in a situation that doesn't meet even the low dimensional needs of Maslow's theory. So the top library managers should establish the long-term plan to promote the job desire and the factors which cause the frustration of the Professional Librarians should be removed as soon as possible.

  • PDF

이용자 관점의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요소와 속성 및 상대적 중요도 분석 (Analyzing User's Perceptions on Quality Elements and Attributes of University Library Services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 김미령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67-292
    • /
    • 2016
  • 본 연구는 이용자의 관점에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을 이해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용자가 대학도서관에서 '무엇'을 이용했는지가 아닌 대학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그 '과정'에 주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구술면담자료를 근거이론 방법으로 서비스 품질요소를 도출하여 LibQual+ 구성차원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1) 이용자의 정서적 부분과 관련된 품질요소, 이용자 맞춤서비스와 관련한 '서비스 고객화'가 도출되었고, (2) 실질적인 이용자 요구가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품질요소에 대한 속성과 중요도는 KANO와 AHP를 적용하여 분석하고 서비스 품질요소를 차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