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검색결과 6,764건 처리시간 0.043초

학교도서관의 정보시스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도 조사 연구 (A Review Study on Recognition of Teachers for Information System of School Library)

  • 유양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4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확산이 학교도서관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보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인식도 정도를 분석하였다. 인식도 정도 분석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으며, 학교도서관의 정보시스템 구축의 근본적인 대안을 찾는데 있다. 분석된 자료는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교육프로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학교도서관의 본질적 기능을 회복하는데 기인 할 수 있다.

  • PD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Knowledge Management in University Library: A Case Study of Dhaka University Library in Bangladesh

  • Mostofa, Sk. Mamun;Mezbah-ul-Islam, Muhammad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3권4호
    • /
    • pp.49-61
    • /
    • 2015
  • Knowledge Management (KM) has become a fundamental process for all types of institutions in society. Academic libraries are also an integral part of the knowledge system, these institutions being one of the forms that contribute to knowledge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KM practices in Dhaka University Library (DUL).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to ascertain the understanding of KM concepts among library professionals of DUL, to explore an overview of KM and its role, and to identify the rationale behind not practicing KM properly at DUL. Appropriate methods were employ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limited expertise and lack of clear guidelines are the major challenges for the implementation of KM in DUL.

도서관사회학 연구시론 - 문헌정보학의 학문성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을 위하여 - (A Proposal for the Formulation of Sociology of Library - Toward an Epistemological Turnover on the Science of Library and Information-)

  • 김정근;이수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29-149
    • /
    • 1996
  • 학문으로서의 문헌정보학은 1930년대부터 사회과학(또는 응용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실무와 기술을 강조하는 기능 주의적 입장으로 인해 문헌정보학의 사회과학성은 점차 상실되었고, 대신 과학기술적인 입장이 강조되었다. 결국 문헌정보학은 주된 연구대상인 도서관과 그 관련기관을 사회적 지식체계로 파악하지 못하였으며, 사회과학적 이론과 철학을 도입하는 데도 소홀할 수밖에 업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현 단계 문헌정보학의 학문성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을 위하여 도서관사회학이라는 연구영역을 시론 적으로 제시하려고 하였다. 이것은 문헌정보학의 본질을 사회과학에서 파악한 것으로서 그것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대표적인 인식론으로서 사회인식론과 지식사회학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도서관사회학이라는 새로운 연구영역을 시론 적으로 모색하게 되었다.

  • PDF

문헌정보학 연구방향에 관한 연구 - 국내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 (A Critical Review on Research Trends Litera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란주;변자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1-156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및 연구방법론에 관련된 국내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서 앞으로의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분석 자료로 90년대 이후 문헌정보학의 연구동향 및 연구방법론에 관련된 10편의 국내 연구들을 선정하여 세 그룹으로 나눈 후 조사.분석한다. 분석결과 정보학 분야에 연구의 관심이 집중되고 문헌연구와 조사연구 등이 많이 사용된다. 주 연구자는 교수 그룹이며 학제간의 연구 및 여러 계층의 공동연구가 부족하다. 연구결과 기존의 연구방법뿐만 아니라 새로운 연구방법에 관한 논의와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논의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문헌정보학 전문가를 위한 연구기반 지식의 개발과 문헌정보학의 연구기준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 PDF

북미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 사례 분석 I - 교과 영역별 개설현황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in North America: Focusing on Subject Modules)

  • 최상기;안인자;노영희;김주섭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5-167
    • /
    • 2011
  • 본 연구는 선진국 대학에서 교육하고 있는 교과목 운영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북미 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목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북미 대학 홈페이지의 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은 전통적인 문헌정보학대학과 정보학대학의 교과목비교, 북미 대학에서 개설되고 있는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및 교과목 운영 현황, 영역별 개설 교과목의 종류와 수, 주요교과목들의 분석이다.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Fieldwork Course in LIS in South Korea

  • Cha, Sung-Jong;Bae, Kyung-Jae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2호
    • /
    • pp.32-44
    • /
    • 2020
  • This study attempts to draw the implications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fieldwork course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program in South Korea by determin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experienced by students with practicums at a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agency. LIS students with fieldwork experience were surveyed to assess their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atisfaction. Results from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rom among factors of practicum settings, major-related attributes, and general attributes of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practicums. Examining the six components of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revealed that "practicum program" and "practicum setting"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verall satisfaction. A sel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needs to be developed based on factors influencing overall satisfaction, focusing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with majors.

문헌정보학분야에서 메타분석 연구에 관한 고찰 (A Review of the Meta-Analysi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노정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5-61
    • /
    • 2008
  • 메타분석(Meta-Analysis)이란 분석에 대한 분석(analysis of analysis)이란 의미로, 특정 연구문제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들의 일치하지 않은 결과들을 통합하여 결론을 내리기 위해 개개 연구의 분석결과들을 수학적으로 합성하여 통계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의 특성과 기본원리, 분석 절차, 대표적인 분석모델을 소개하고, 문헌정보학분야에서의 메타분석연구를 고찰하였다. 다른 학문에 비해 문헌정보학에서 메타분석연구는 매우 소량 수행되었고 국내 문헌정보학분야에서는 전무한 상태이다. 문헌정보학에서 메타분석을 수행하는데 문제점과 메타분석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연구자가 보고서 작성시 유의해야 할 내용을 논의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및 학령인구 급감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문헌정보학과의 정체성과 발전 방향 모색 (A Study on Ident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Cop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ecline in School Age Population)

  • 장로사;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7-154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사회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및 대학 입학자원의 급감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 국내 문헌정보학과의 현황을 진단하였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향후 문헌정보학과의 정체성 및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2020년 2월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 문헌정보학과가 설치된 대학은 총36개교(2년제 4곳, 4년제 32곳)이며, 학부과정이 폐과된 대학은 총8개교(2년제 5곳, 4년제 3곳)이고, (교육)대학원이 폐과된 곳은 총10개교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2013년과 대비하여 2019년에 입학 정원수는 38.5%가 감소하였으며, 전임교원수도 13.4%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의 문헌정보학과의 정체성 및 미래 발전 방향을 크게 5가지로 구분하여 첫째, 학문 정체성 차원에서 융합교육 필요, 둘째, 법·국가차원에서 문헌정보학과 진흥 및 사서 취업 안정성 보장, 셋째, 협회차원에서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제고, 넷째, 대학차원에서 문헌정보학과 지원 및 홍보 확대, 다섯째, 학과차원에서 학생중심 교육강화 및 취업률 향상을 도모할 것을 제안하였다.

전자도서관의 발달과 전망 (A study on the electronic library)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351-371
    • /
    • 1995
  • This paper intends to describe the concept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electronic library, to examine som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CD-ROM, electronic books, multimedia and networks, and to analyze cases of electronic library. Electronic library is able to offer many services in digital form, ranging from bibliographic databases on CD-ROM running on standalone computers, to fully networked abstracts and texts, available inside and outside the library. For users, the electronic library is a means of improving the speed of access to library materials, of providing a simple means of the selecting materials amid the glut of information available, and of eliminating the need to visit a library for many information inquires. In summary, electronic library has the potential to give scholars better service than conventional libraries, at a lower cost. However, remember that, today, almost all these benefits are still potential.

  • PDF

국가도서관장의 전문성 확보방안 연구 (A Study on Ensur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National Library Director)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87-106
    • /
    • 2011
  • 국가도서관은 자국에서 출판되거나 생산된 모든 중요한 출판물과 디지털 정보를 수집 보존할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장은 도서관 및 정보시스템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직무를 수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역대 국립중앙도서관장은 도서관 및 정보시스템 분야의 전문지식과 관리경력이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개방형 직위제, 책임행정기관화, 정무직화, 특수법인화의 측면에서 국립중앙도서관장의 전문성 강화 내지 확보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