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ngth of feeding

검색결과 554건 처리시간 0.027초

순천 상내리 갯골에 출현하는 민물두줄망둑(Tridentiger bifascia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ridentiger bifasciatus in the Tidal Creek at Sangnae-ri, Suncheon, Korea)

  • 예상진;정재묵;김현지;박주면;허성회;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0-167
    • /
    • 2014
  • The feeding habits of Tridentiger bifasciatus were studied using 733 individuals collected in the tidal creek at Sangnae-ri, Suncheon, Korea, using a push net, monthly, from April 2011 to March 2012. The standard length (SL)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1.5 to 8.2 cm. The stomach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T. bifasciatus consumed mainly amphipods, such as Corophium sp., while copepods, polychaetes, and shrimps were other important prey species. In addition T. bifasciatus ate small quantities of crab larvae, fish, gastropod larvae, and insects. T. bifasciatus is a generalist that feeds on various zoobenthos, including fish. T. bifasciatus underwent an ontogenetic dietary shift. Smaller individuals (1-2 cm SL) fed mainly on amphipods. The proportion of amphipods decreased as body size increased, whereas the consumption of polychaetes increased gradually.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 composition of T. bifasciatus was significant. Insects were common prey during summer, while the amounts of other prey, including polychaetes, were similar during spring, autumn, and winter.

Livestock Production under Coconut Plantations in Sri Lanka: Cattle and Buffalo Production Systems

  • Ibrahim, M.N.M.;Jayatileka, T.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60-67
    • /
    • 2000
  • A survey involving 71 cattle and buffalo farming households under coconut plantations was carried out in three districts (Pannala, Bingiriya and Kuliyapitiya) with the aim of assessing the status of livestock farming. Also, 24 households (eight from each district) were visited monthly for period of one year to collect information on feeding practices. Apart from milk, animals were reared for selling, draught, bio-gas and for manure. Due to difference in system of management of cattle and buffaloes, manure from buffaloes (46%) was more frequently used for coconuts than that from cattle (10%). Majority of cattle were improved breeds (temperate origin) or their crosses, as compared to buffaloes (mainly indigenous). The most predominant management system was tethered grazing during the day, and stall feeding during the night. Coconut land (own or others) and paddy fields were the major grazing areas for the animals. The grass from coconut land was lower in crude protein (8.2%) and digestibility (48%) compared to those from paddy fields (12.1 and 57%, respectively). Of the 288 rations analysed, grass was included in 280 of the daily rations for cattle as compared to 251 for buffaloes. Straw was more commonly included in mixed rations for buffaloes (137 out of 288) than for cattle (53 out of 288). The frequency of use of straw for buffaloes was high in Pannala (75 out of 137 cases). There was wide variation among the improved breeds of cattle and buffaloes in milk production (2 to 9 litres/day), lactation length (6 to 10 months) and calving interval (13-21 months).

통영 연안에 출현하는 쏨뱅이 (Sebastiscus marmora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corpion Fish, Sebastiscus marmoratus, in the Coastal Waters of Tongyeong, Korea)

  • 백근욱;여영미;정재묵;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8-134
    • /
    • 2011
  • 경남 통영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쏨뱅이(Sebastiscus marmoratus) 324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쏨뱅이의 표준체장(SL)은 9.8~30.1 cm 범위였다. 쏨뱅이의 위 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쏨뱅이는 멸치(Engraulis japonicus), 청어(Clupea pallasii), 망둑어류(Gobiidae)와 같은 어류(Pisces)를 주로 섭식하는 어식성어류였으며, 어류 중에서 멸치를 가장 선호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새우류(Macrura)와 게류(Brachyura)를 섭식하였으며, 그 외에 집게류(Anomura), 갯지렁이류(Polychaete), 이매패류(Bivalvia),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를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체장이 16 cm 이하의 개체는 새우류와 게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새우류와 게류의 비율은 체장 증가에 따라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점점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19 cm 이상의 개체에서는 위 내용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쏨뱅이의 위 내용물을 계절에 따라 유의하게 변하였다. 어류는 여름, 가을, 겨울에 중요한 먹이생물인 반면 게류와 새우류는 봄에 주로 섭식되었다.

Determination of mixed or gender-separated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s when compared with white semi-broilers and commercial broilers at 35 days after hatching

  • Myunghwan, Yu;Jun Seon, Hong;Yu Bin, Kim;Shan Randima, Nawarathne;Oketch Elijah, Ogola;Jung Min, Heo;Young-Joo, Yi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719-727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xed and separate gender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of Korean native chickens (KNC) compared to white semi-broilers (WSB) and a commercial broiler (CB) from hatching to 35 days. Here, 240 chicks were used with eight birds per cage in a randomized design with six replicates per breed. For the KNC lines, three groups of males (KNC-M), mixed-gender birds (KNC-FM) and females (KNC-F) were used. The two-phase feeding program used here consisted of a starter phase (days 1 - 21: crude protein [CP] 20% and metabolizable energy [ME], 3,050 kcal·kg-1) and a grower phase (days 22 - 35: CP 18%, 3,100 kcal·kg-1) for a commercial broiler. The WSB and CB were fed the only starter commercial diet. Fresh water and feed were provided ad-libitu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KNC group had a lower (p < 0.05) body weight (BW) from day 7 and day 35 compared to that of the CB. Furthermore, the KNC group showed a lower (p > 0.05) average daily gain (ADG) relative to that of the CB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No difference (p > 0.05) was observed in the shank length among the treatment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wth performance or carcass traits between the KNC-M and WSB groups or in the genders of the KNC group.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달고기($Zeus$ $faber$)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ohn dory, $Zeus$ $faber$ in the Coastal Waters of Geomun-do, Korea)

  • 안영수;박주면;예상진;정재묵;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0-26
    • /
    • 2012
  • 거문도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달고기($Zeus$ $faber$) 462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달고기의 표준체장(SL)은 7.8~40.2 cm 범위였다. 달고기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달고기는 갈치 ($Trichiurus$ $lepturus$),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노랑벤자리($Callanthias$ $japonicu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와 같은 어류(Pisces)를 주로 섭식하는 어식성어류였으며, 어류 중에서 갈치를 가장 선호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두족류 (Cephalopoda), 새우류 (Macrura), 난바다곤쟁이류 (Euphausiacea)를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체장 15 cm 이하의 개체에서는 어류와 두족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두족류의 비율은 체장 증가에 따라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15 cm 이상의 개체에서는 위내용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in the Coastal Waters of Geomun-do, Korea)

  • 백근욱;박주면;정재묵;예상진;안영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2-277
    • /
    • 2012
  • 거문도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172개체의 식성을 분석하였다. 말쥐치의 표준체장 (SL)은 16~39 cm 범위였다. 말쥐치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곤봉바다맨드라미류 (Neptheidae), 해조류 (Algae), 만각류 (Thoracica), 복족류 (Gastropoda)와 같은 저서생물 (benthos)을 주로 섭식하는 잡식성(Omnivore)어류였으며, 그 외에 해면류 (Desm ospongia), 단각류 (Amphipoda) 등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말쥐치는 섭식형태와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먹이생물을 섭식하는 섭식일반종 (generalist)이었다. 체장 33 cm 이상의 체장군을 제외한 전 체장군에서는 곤봉바다맨드라미류와 해조류의 섭식율이 높았다. 체장 33 cm 이상의 체장군에서는 만각류의 섭식율은 증가 하였으나, 곤봉바다맨드라미류의 섭식율은 감소하였다. 체장 33 cm 이상의 개체군에서는 0.34의 값을 보여 낮은 중복도를 나타냈으며, 그 외의 체장군에서는 0.6 이상의 값을 보여, 비교적 높은 중복도를 보였다.

부산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황돔(Dentex tumifron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Yellowback Seabream, Dentex tumifrons, in the Coastal Waters of Busan, Korea)

  • 김하원;박주면;백근욱;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0
    • /
    • 2012
  • 부산 연안해역에서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채집된 황돔($Dentex$ $tumifrons$) 317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황돔의 표준체장(SL)은 10.2~27.8 cm 범위였다. 황돔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새우류(Macrura)를 주로 섭식하는 육식성어종(carnivore)이었다. 새우류 다음으로 어류(Pisce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 다음으로 집게류(Anomura), 단각류(Amphipoda), 게류(Brachyura), 극피동물(Echinodermata), 두족류(Cephalopoda) 순으로 섭식하였다. 그 외, 갯지렁이류(Polychaeta), 갯가재류(Stomatopoda), 이매패류(Bivalivia), 패충류 (Ostracoda), 곤쟁이류 (Mysidacea) 등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매우 적었다. 가장 작은 크기군인 10~13 cm의 크기군에서는 새우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13~16 cm 크기군에서는 새우류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집게류, 극피동물, 게류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새우류, 집게류, 극피동물, 게류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계속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25 cm 이상의 크기군에서는 위내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의 저항성 검정법에 관한 연구 (2) (Feasibility on Differentiation of Resistance of Rice Varieties to Whitebacked Planthopper (Sogatella furcifera) using Radioisotope)

  • 정규회;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4
    • /
    • 1983
  • 본 실험은 내충성품종을 선별하는 데 방사성동위원소인 P-32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흰등멸구에 대해 기왕에 저항성 및 감수성으로 판정되어 있는 10개 품종을 선별하여 섭식량과 식이선호성간의 관계를 조사중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약충의 식이선호도와 P-32 섭식량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수칭유묘를 표식할 때는 근부와 엽의 길이 및 수를 일정하게 한 후 침적시키는 것이 P-32의 균일성을 인정할 수 있었다. 3. 내충성 검정시 공시충은 성충을 이용하는 것이 약충을 이용하는 것 보다 품종간에 상대적인 비교가 용이하였다.

  • PDF

부산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살치(Scorpaena neglect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corpaena neglecta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 허성회;박주면;남기문;박세창;박찬일;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7-122
    • /
    • 2008
  • 2006년 1월에서 12월까지 부산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살치 478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살살치의 표준체장은 9.0~23.5 cm의 범위를 보였다. 살살치의 주요 먹이생물은 반딧불게르치, 줄비늘치, 도화망둑 등과 같은 어류였으며, 그 다음으로 새우류, 게류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외 두족류, 갯가재류 등도 위내용물에서 발견되었으나 그양은 많지 않았다. 표준체장 16 cm 이하의 살살치는 게류와 새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16 cm 이상에서는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살살치의 먹이생물크기를 살살치의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여수 돌산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농어(Lateolabrax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teolabrax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f Dolsan-do, Yeosu)

  • 허성회;박주면;박세창;정달상;박찬일;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27
    • /
    • 2009
  • 여수 돌산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농어의 주먹이생물과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 변화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2005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낚시, 자망, 정치망 등에 의해 어획된 시료를 여수어시장에서 구입하였다. 총 344개체의 농어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들의 체장은 표준체장 8.7~52.8 cm의 범위를 보였다. 농어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농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로 나타났다. 어류 중에서는 멸치, 전갱이, 문절망둑 등을 많이 섭식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로 나타났으며, 그 외 단각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곤쟁이류, 게류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농어는 체장 25 cm 이하의 비교적 작은 체장에서는 단각류와 새우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그러나 성장함에 따라 이들 먹이생물의 비율은 줄어들어 체장 25 cm 이상에서는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