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ek kimchi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초

The Inhibitory Effect of Leek (Buchu) Kimchi Extracts on MCA-induced Cytoxicity and Transformation in C3H-10T1/2 Cells

  • Jung, Keun-Ok;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4호
    • /
    • pp.255-259
    • /
    • 1999
  • The anticarcinogenic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leek (buchu in Korean) kimchi and Korean cabbage kimchi were evaluated using cytotoxicity and transformation tests in C3H/10T1/2 cells. Various fractions of the 6-day fermented leek kimchi at 15$^{\circ}C$, hexane, methanol solubl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aqueous fraction, were also studied in the same system.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leek kimchi(6-day fermented at 15$^{\circ}C$, pH 4.29) was higher than that of the Korean cabbage kimchi(4-day fermented at 15$^{\circ}C$, pH 4.21) on the cytotoxicity induced by 3-methylcholanthrane (MCA) in the C3H/10T1/2 cell system. While the MCA-treated culture(control) formed 21.0 foci of type II plus III in C3H/10T1/2 cells, 100$\mu\textrm{g}$/ml of the methanol extract of the leek kimchi and that of the 4-day fermented Korean cabbage kimchi treated cultures reduced the formation of type II plus III foci to 7.4 and 11.3, respectively. Among the fractions of the leek kimchi,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MCA-induced cytotoxicity in C3H/10T1/2 cells. Fifty $\mu\textrm{g}$/ml of dichloromethane fraction from the leek kimchi suppressed the MCA-induced cytotoxicity by 77%. On the transformation test using MCA,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considerably reduced the formation of type II plus III foci, especially thpe III foci. When 50$\mu\textrm{g}$/ml of dichloromethane fraction from the leek kimchi was treated, the numbers of type III foci mediated by MCA were decreased to 1.7 compared to 10 for th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ek kimchi has stronger anticarcinogenic effects than Korean cabbage kimchi and that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of the leek kimchi may contain the major compound(s) that suppress the carcinogenesis in the eukaryotic cells.

  • PDF

Anticancer Effects of Leek Kimchi on Human Cancer Cells

  • Jung, Keun-Ok;Park, Kun-Young;Lloyd B. Bullerm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50-254
    • /
    • 2002
  • The anticancer effects of leek (buchu in Korean) kimchi were evaluated in the human cancer cells: AGS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HT-29 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s and HL-60 leukemia cells. The leek kimchi (fermented for 6 days at 15$^{\circ}C$) was fractionated into 7 groups: methanol extract, hexane extract, methanol soluble extract MSE), dichloromethane (DCM) fraction (fr.), ethyl acetate fr., butanol fr. and aqueous fr. Most of the leek kimchi tractions inhibited the growth of AGS and HT-29 cancer cells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 particular, the DCM fr.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among the tractions. Treatment with the DCM fr. (0.1 mg/mL) reduced the survival rates of AGS and HT-29 cancer cells to 19% and 37% of the controls, respectively. Moreover the DCM fr. of the leek kimchi arrested G2/M phase in the cell cycle and induced apoptosis in HL-60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ek kimchi exerted an anticancer effect on those human cancer cells, and that the DCM fr. arrested G2/M phase in the cell cycle and induced apoptosis in the leukemia cells.

부추첨가 김치의 발효과정 중 chitinase 활성과 조직감 (Chitinase Activity and Textural Property of Leek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유경;이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2-107
    • /
    • 1999
  • 김치재료들의 chitinase 활성을 측정하고, 부추의 첨가량을 달리한 김치를 제조하여 15$^{\circ}C$에서 9일간의 숙성과정 중 김치의 chitinase 활성과 조직감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김치의 주요 재료들은 쪽파(특히 잎부분)>마늘>부추>대파(특히 잎부분) 순으로 chiti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김치숙성 중의 chitinase 활성은 김치액이 김치조직 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각 김치시료간의 효소활성 차이도 김치액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김치액에서의 chitinase 활성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한 반면, 김치조직에서의 chitinase 활성은 숙성 3일 또는 5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그러나 김치조직과 김치액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부추첨가구가 더 높은 chiti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부추첨가구에서는 부추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chitinase 활성을 보였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모든 시료구에서는 김치조직의 침투관통력은 감소하였으며 부추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으나 대조구가 숙성 전 기간동안 가장 낮은 침투관통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부추첨가는 김치 숙성 중 부추의 chitinase 활성에 의해 새우젓 등의 키틴질을 분해하여 chitosan을 형성하므로서 김치의 조직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부추첨가 김치의 발효특성 변화 (Changes i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Leek)

  • 이귀주;김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80-785
    • /
    • 1999
  • The effect of addition in different amounts of leek(4, 8, 12% respectively)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was investigate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pH, acidity and total reducing sugars as well as microbiolog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During fermentation, pH was more slowly lowered in kimchi added with leek than in control and titrable acidity of these 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Viable cells of total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in these kimchi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during fermentation. Content of total reducing sugar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ree kinds of reducing sugars such as fructose, glucose and galactose were detected and the dominant one appeared to be fructos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ddition of leek seems to retard fermentation of kimchi due to their anti microbial actvity.

  • PDF

Antimutagenic and Anticance Effects of Buchu Kimchi

  • Jung, Keun-Ok;Lee, Kyeoung-Im;Suh, Myoung-Ja;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1호
    • /
    • pp.33-37
    • /
    • 1999
  •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buchu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and theri cytotoxic effects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 were investigated in the Salmonella typhimurium system and MTT assay, respectively. Leek and Chinese cabbage were aslo evaluated in the same system. Buchu kimchi was fermented at 15 $^{\circ}C$ for 4 days . Buchu kimchi samples showed somewhat higher antimutagenic effects against aflatoxin B1(AFB1) than CHinese cabbage kimchi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strain. There was no difference onthe antimutagenic activity according to the length of fermentation . Leek exerted stronger antimutagenicity against AFB1 than Chinese cabbage in the Ames assay. In MTT assay, 6-day fermented buchu kimchin revealed the highest cytotoxicity against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in which 62% and 82% of the inhibition were observed wiht the addition of 100ug, 400ug/well, respectively. Buchu kimchi samples caused 60~70% inhibition on the proliferation of HT-29 at 400ug/well. Leek exhibited higher antiproliferative effect against both AGS cells and HT-29 cells than Chinese cabbage in MTT assay. From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buchu kimchi has stronger antimutagenic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than Chinese cabbage kimchi and the high inhibition rate of buchu kimchi probably results from leek, the major ingredient of buchu kimchi .

  • PDF

파, 부추 및 고들빼기김치 숙성 중의 Chlorophyll 및 그 유도체의 함량변화 (Changes of Chlorophylls and their Derivatives Contents during Storage of Green Onion, Leek and Godulbaegi Kimchi)

  • 이종호;김경업;김성희;정효숙;유영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71-1076
    • /
    • 1998
  • Threetypes of Korean traditional kimchi were prepared using green onion, leek or godulbaegi as raw materials and stored at 5oC and 20oC for 13 days. Changes in salt and ascorbic acid contents, pH and total acidit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the decomposition of chlorophylls and the production of their derivatives were investigated. For the all kimchi samples tested, salt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storage at both temperatures, whereas pH and total acidity were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Especially their remarkable changes were shown at the third day of storage. Ascorbic acid content was remained at high level in the leek kimchi for the experimental period at both storage temperatures, meanwhile godulbaegi kimchi retained the least amount of ascorbic acid. Chlorophylls were decomposed to pheophytin and pheophorbide during storage at both storage temperatures, and this phenomenon was apparent at the third day of storage. Reduction of chlorophylls and increasements of its decomposed products such as pheophytin and pheophorbide were the least in leek kimchi and the greatest in godulbaegi kimchi during storage at both temperatur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omposition of chlorophylls in kimchi and increasements of pheophytin and pheophorbid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ascorbic acid content in kimchi.

  • PDF

부추김치와 배추김치 발효양상 (Fermentation Patterns of Leek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 안순철;김태강;이헌주;오윤정;이정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4-238
    • /
    • 2001
  • 배추김치와 부추김치의 발효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20^{\circ}C$$10^{\circ}C$로 나누어 발효과정 중의 총 균수, 젖산균 수, pH 및 총 당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20^{\circ}C$에서 발효한 배추김치의 경우 총 균수와 Leuconastoc속과 Lactobacillus속 젖산균 모두 발효 초기인 2일째에 최대에 도달하다가 그 이후에는 점점 감소하였다. 그러나 $2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Leucanostoc속은 발효 3일째에 최대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하였지만 Lactobacillus속은 발효 15일 이후까지 그 균수가 유지되었다. $10^{\circ}C$에서 발효한 경우에는 배추김치, 부추김치 모두 $20^{\circ}C$에서 발효한 경우보다 Leuconostoc속과 Lactobacillus 속의 균수가 서서히 중가하다가 감소하였다. pH 변화는 배추김치 경우에는 3일 후에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부근에 도달한 후 발효 5일째에 3.5 까지 낮아져 그 후에도 계속 유지되었으나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발효 10일째까지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10^{\circ}C$의 경우 배추김치는 6일 후 pH 4.2 정도였으나 부추김치는 24일 후에도 pH 4.2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발효 기간에 따른 총 환원당의 함량은 배추김치와 부추김치 모두에서 발효초기부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1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감소정도가 매우 완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부추김치가 배추김치보다 젖산균의 종식이 더디어 배추김치에 비해 발효가 서서히 진행됨을 알았다.

  • PDF

부추첨가 김치의 발효과정 중 펙틴질과 무기질 함량 및 조직감 (Contents of Pectic Substance and Minerals and Textural Properties of Leek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유경;이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8-263
    • /
    • 1999
  • 부추를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15$^{\circ}C$에서 9일간 숙성과정 중 조직감과 이와 관련된 펙틴질과 무기질의 함량을 측정하고 김치의 조직감과 이들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숙성 3일째와 9일째의 김치를 시료로 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모든 시료구에서 김치조직의 절단변형력은 증가하였다. 부추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으나 대조구가 숙성기간동안 대체적으로 높은 절단변형력을 보였다. AIS 내의 펙틴질 함량비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는 HWSP와 HXSP가 증가하였고 HCISP는 거의 비슷한 함량을 유지한 반면, 부추첨가구들은 대체로 HXSP와 HCISP은 증가하였고 HWSP를 감소하여 대조구와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김치 숙성 중의 무기질 함량은 부추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Ca 농도가 높았으며, Na과 K 농도는 낮았다. 김치의 적숙기인 3일째와 숙성말기인 9일째의 김치를 시료로 하여 종합적인 맛(외관. 향미, 신 맛), 조직감(단단한 정도, 아삭아삭한 정도, 씹히는 정도) 그리고 전체적인 선호도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9일째 시료들이 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p<.05) 이는 종합적인 맛보다 조직감에서 더 뚜렷하였다. 부추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좋은 외관과 약한 신맛 그리고 단단한 정도가 높았으며 전체적인 선호도는 12% 부추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부추첨가는 김치 숙성 중 김치의 조직감을 향상시키며, 특히 부추는 김치에 향긋한 풍미와 신선감을 증가시켜 관능적으로도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는 효과적인 김치 부재료로 생각되어진다.

  • PDF

부추추출물의 김치발효 지연 및 관련 미생물 증식억제 (Retardation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Extracts of Allium tuberosum and Growth Inhibition of Related Microorganisms)

  • 김선재;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13-818
    • /
    • 1995
  • 부추추출물의 김치산패 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부추 MeOH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powder형태로 첨가시기를 달리하여 김치에 첨가하고 pH 및 산도의 변화, 총균수, Lactobacillus속, Leuconostoc속, Pediococcus속 및 Streptococcus속 그리고 효모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pH의 변화는 김치 담금초기에 부추추출물을 첨가한 김치가 pH 감소가 작았고 그 다음으로 숙성 1일째 첨가한 김치에서 차이가 보였지만 숙성 2일${\sim}$4일째 첨가한 김치는 pH 변화가 대조구 김치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산도의 변화는 김치 담금 초기에 첨가한 김치에 비해 산도 증가 속도가 낮았으며 그 다음으로 숙성 1일째 첨가한 김치는 산도증가가 낮았으나 숙성 2일${\sim}$4일째 첨가한 김치의 산도의 변화는 대조구 김치의 산도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김치발효 관련 미생물의 변화는 김치 담금초기에 부추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에서 생육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특히 Pediococcus속에 대해서는 뚜렷하였으며 Lactobacillus속 및 Leuconostoc속에 대해서도 차이를 보였다. 그 다음으로 숙성 1일째에 첨가한 김치에서 생육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H, 산도 변화에서 김치 담금초기에 부추추출물을 첨가한 김치 및 숙성 1일째 첨가한 김치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부추추출물의 첨가시기는 김치담금초기가 가장 효과적이며 그 다음으로 숙성 1일째가 효과적이며 부추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의 산패 지연효과는 1.5일로 나타났다.

  • PDF

식물성 김치재료추출물의 항미생물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Vegetable Kimchi Stuff)

  • 김선재;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6-220
    • /
    • 1995
  • 김치의 천연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5종의 식물성 김치재료를 MeOH로 추출,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산성구, 중성구 그리고 수용액구에 대해 김치 주발효미생물인 Leuconostoc mesenteroides, Pediococcus cerevisiae, Lactobacillus plantarum과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대상으로 항미생물활성을 검색한 결과, 마늘과 부추추출물의 중성구에서 뚜렷한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부추추출물은 김치의 숙성 및 산패원인균으로 알려진 Ped. cerevisiae와 L. plantarum에 대해서 현저한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내, 김치의 천연보존제 및 산패억제제로서 부추추출물의 이용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