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ther technology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초

청정 피혁 생산을 위한 저크롬 탄닝 공정 기술 보급에 관한 사례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Case of Clean Technology of Leather Manufacture through technical transfer of chrome reduced tanning process)

  • 김원주;김훈희;이상철;박광수;허종수
    • 청정기술
    • /
    • 제10권1호
    • /
    • pp.27-35
    • /
    • 2004
  • 현재 국내 피혁 업체에서는 대표적인 공해 산업으로 인식되어 있는 피혁 산업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피혁 선진국에서는 피혁 전문 연구소 및 약품회사, 피혁 업체가 공동으로 대응하여 기술 개발 및 진단, 친환경 약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청정 피혁 생산을 위한 저크롬 탄닝 공정 기술 보급 사업을 통하여 환경 문제의 해결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특히 폐수나 고형폐기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크롬의 처리에 환경적, 경제적 문제점으로 인해서 크롬을 적게 사용하는 저크롬 유제 공정과 크롬의 사용을 완전히 배제한 비크롬 유제 공정 기술을 대표적인 4개의 대상기업을 선정하여 기술 이전을 실시한 대표적인 친환경 제혁 기술을 소개 하고자 한다. 아울러 경량성 피혁 소재의 개발을 위해서 비금속을 이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PDF

피혁용 크롬 대체 친환경 유제 공정 처리제 제조 및 응용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 friendly Organic tanning agent for Replacement of Cr in Clean leather tanning process)

  • 박재형;백인규;윤종국;조도광;조남수
    • 청정기술
    • /
    • 제11권2호
    • /
    • pp.83-9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크롬 탄닝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유제 공정 처리제 (폴리머계, 폴리 페놀계, 폴리 레진계)를 개발하고, 이를 제혁 공정에 적용하여 혁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Cr, total nitrogen, COD, SS 등의 환경영향평가로 제혁 공정의 청정화를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피혁의 친환경 염색공정 기술 개발 (The development of dyeing process by ultrasonics wave for clean technology)

  • 김원주;김훈희;이상철;박관수
    • 청정기술
    • /
    • 제10권1호
    • /
    • pp.19-25
    • /
    • 2004
  • 피혁을 제조하는 제혁공정 중 피혁의 기본적인 색상을 부여하는 염색공정에서는 가죽과 미결합되어 폐수로 유출되는 염료의 양이 30~50% 정도 발생되며 이는 환경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어 적은양의 염료를 사용하여 염착성, 균염성, 침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천연피혁의 염색견뢰도는 2~3등급 정도로 다소 미흡한 실정으로서 염색견뢰도의 개선 문제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피혁의 염색공정에 초음파(Ultrasound)를 이용하여 염료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도 원활한 침투효과를 이룰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폐수로 유출되는 염료의 양을 감소시켜 오탁도가 심함 피혁폐수로 인한 환경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또한 염색견뢰도를 0.5등급 정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피혁 폐수의 오염 저감을 위한 피혁 준비 공정 기술 보급 (Hair saving liming agent 제조 기술 및 공정 적용 기술 보급) (The technical transfer on manufacture technique of environmental-friendly leather for improved effluent in beamhouse process)

  • 윤종국;조도광;박재형;백인규;김한도
    • 청정기술
    • /
    • 제10권2호
    • /
    • pp.111-120
    • /
    • 2004
  • 피혁 탈모 공정 폐수의 질소감소 및 황화물 감소, COD, BOD의 오염부하를 감소할수 있는 탈모공정 처리용 환경 친화적 피혁용 약품을 제조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Hair saving 공정처리제는 Urea, Mercaptan을 기본 물질로 하는 Liming agent와 Unhairing assist 제품을 제조하였다. Hair saving 공정에 처리한 결과 기존의 Hair burning 방법에 비해 회수된 모의 양이 약 2배 정도 증가하였다. 혁의 품질 및 생산성 평가의 지표인 수율을 좌우하는 Grain상태, 수축현상(Drawing)이 개선이 가능하였다. Wet Blue 및 완성원단에서의 인장, 인열 등의 물성과 Softness및 Touch 등의 가죽 본래의 천연감도 증대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탈모공정후 배출 배수에서의 COD, T-N 농도가 약 50% 이상 감소 가능한 것을 확인 가능하였다.

  • PDF

The Effect of Fumed Silica Loading on the Thermal Stability of Fluorosilicone Composites

  • Muhammet Iz;Jinhyok Lee;Myungchan Choi;Yumi Yun;Hyunmin Kang;Jungwan Kim;Jongwoo Bae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7권4호
    • /
    • pp.165-174
    • /
    • 2022
  • The effect of fumed silica loading on the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luorosilicone (FVMQ) rubber was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fumed silica inside FVMQ was characteriz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he thermal stability of composites was evaluated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by the changes in mechanical performance during thermo-oxidative aging. The function mechanism of fumed silica was studi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 results show that with increasing silica content, the crosslink density of composites, the modulus at 100%, and tensile strength also increased, whereas the elongation at break decreased. Furthermore, increasing the silica content of composites increased the initial decomposition temperature (Td) and residual weight of the composite after exposure to nitrogen. In addition, the thermal oxidative aging experiment demonstrated improved aging resistance of the FVMQ composites, including lower change in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t break, and modulus at 100%.

감온 Microcapsule염료를 이용한 Laminated Split Leather Film 공정 연구 (A Study of laminated split leather Process using Thermally Sensitive Color-change(Microcapsule))

  • 이상헌;이상철;신은철;김원주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100-100
    • /
    • 2012
  • 상품성이 떨어지는 B, C급의 Split leather에 감온 기능성 Film을 부착하고, Film 부착 공정에서 유성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한 친환경적인 고급 Laminated split leather를 제조 하였다.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감온 Microcapsule 염료를 이용한 Film의 색도, Touch감과 신장 등의 최적조건을 찾는 실험으로서 수성 PU 접착제, Wetting&levelling agent, 증점제, 감온 microcapsule 염료를 상온에서 혼합하여 Film을 제조한 다음 수성 PU 접착제와 Urethane용 경화제를 혼합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가죽에 부착시켰다. 감온 microcapsule자체의 색도가 떨어지므로 두 번 코팅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점을 보완 하였으며, 감온 microcapsule 염료의 함량에 따른 물성 평가를 하였고, 감온 microcapsule 염료를 이용한 Film 공정을 확립 하였다.

  • PDF

피혁 폐기물을 재활용한 재생가죽의 내노화특성 연구 (A Study on Anti-Aging Properties of Recycled Leather Using Shaving Scrap by Applying Antioxidant)

  • 서은호;임성욱;이윤섭;김원주;박은영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51-158
    • /
    • 202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urability properties of the recycled leather using shaving scrap with antioxidant. Recycled leather sheets were manufactured by mixing shaving scrap and NB latex as a binder.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and UVA(UV absorbers) were used as antioxida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tensile strength, elongation, tear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were measured. Light aging resistance was evaluated using UV lamp and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recycled leather sheets using a gray scale. In addition, to evaluate heat aging and UV aging,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recycled leather sheets over time was measured using colorimeter. Washing fastness was evaluated on the degree of dyeing of recycled leather sheets for six type of multi-fiber woven fabrics (Acetate, Cotton, Nylon-66, Polyester, Acryl, Wool). To determine whether hazardous substances were detected in recycled leather sheets, the contents of arylamine and Cr 6+ were evaluated. As a result,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ntioxidant, the heat aging and light aging of recycled leather were improved and hazardous substance were not detected.

Starch를 원료로 알데하이드 탄닝제의 제조 공정 연구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dehyde Tanning Agent from Starch)

  • 박재형;백인규;윤종국;조도광;정운길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51-5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피혁 제조 공정별 발생 폐수중 탄닝 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크롬을 대체하기 위해서 전분 가수분해물인 starch을 원료로 알데하이드 함량이 다른 여러 가지 dexrin dialdehyde (DAS)를 제조하였다. 수용액상에서 산화제를 변량 하면서 (glucose에 대한 산화제의 첨가율은 1:0.3에서 1:1), 반응 조건을 달리하여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DAS 자체의 물성을 파악하고 가죽과의 반응 특성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DAS는 가죽의 아미노기와 결합하여 일반적인 알데하이드 탄닝제 (포름알데하이드, 그루타알데하이드)와 유사한 탄닝 특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