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orientation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생들의 팀 학습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의 관계: 팀 성찰, 팀 효능감, 그리고 긍정적 집단 정서 분위기의 역할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heir Team Creativity: The Roles of Team Reflexivity, Team Efficacy, and Positive Group Affective Tone)

  • 김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59-168
    • /
    • 2019
  • 급격한 환경변화에 속에서 창의성이 조직 생존을 위한 경쟁우위 요인으로 강조된 이 후, 많은 학자들은 어떻게 하면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 수많은 조직들이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해 팀 제를 도입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팀 창의성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팀 창의성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팀 학습목표 지향성을 선행요인으로 고려한다. 특히, 팀 학습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서로 다른 팀 프로세스(예, 팀 성찰, 팀 효능감, 긍정적 집단 정서 분위기(PGAT: Positive Group Affective Tone, 이하 PGAT))를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서울소재의 한 경영대학에서 개설하는 세 개의 경영학 전공 강좌의 수강생 187명(57개 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팀 학습목표 지향성은 팀 창의성과 정(+)적으로 관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성찰과 팀 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팀 성찰과 팀 효능감은 팀 창의적 성과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동시에 팀 학습목표 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 사이를 매개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예측과 달리 PGAT는 팀 학습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과는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동료 간 지식공유에 관한 연구: 동료관계의 질과 목표성향의 상호작용효과 (Knowledge Sharing in Co-worker Relationships: Interaction Effect of Quality of Co-worker Exchange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 김보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17권4호
    • /
    • pp.147-162
    • /
    • 2016
  • Knowledge sharing has many benefits; however, employees are generally reluctant to share their knowledge with co-workers. This reluctance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s that sharing knowledge involves the threat of losing personal competitiveness and the codification of knowledge for sharing requires additional effort. This study explains why employees engage in knowledge sharing despite the threat and cost of sharing knowledge.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co-worker exchange (CWX) on knowledge shar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WX and knowledge sharing. Data from 186 individuals indicate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WX and knowledge sharing,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strengthened when learning goal orientation is low rather than when it is hig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also discussed.

학습지향성이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효과 및 재직기간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Incremental Inno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nure)

  • 안관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9-255
    • /
    • 2010
  •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incremental innovation(process innovation, operational innovation, and service inno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nure in tele-communication service sector. Based on the responses from 241 employe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learning orientation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rocess innovation, operational innovation, and service innovation. The results of moderating analysis showed that longer tenure employees have mor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ll incremental innovation factors(process innovation, operational innovation, and service innovation) than short tenure employees.

소재부품 중소기업 수출성과의 선행요인 경로 및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분석 (An Analysis on Antecedents Path of Export Performance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Materials and Components SMEs)

  • 원동환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35-144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antecedents factors path of export performance in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In case of materials and components SMEs, they are always trying to achieve business performance including export sales and market share, bu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increase performance due to the limitation of inner & tangible resources. Therefore intangible asset such as technology capability and its antecedents factors which are technology innov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are getting more important to SMEs. In addition, it is supposed that social capital such as local network including distribution channel in overseas market plays an essential role to enhance export performance. Accordingly,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 performance and antecedents factors and the validity of social capital as a moderating valuabl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echnology innov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technology capability have been used as antecedents factors for export performance and social capital such as network diversity and intensity has been used for moderating effects analysis. In order to select these valuables mentioned above,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ing researches on a basis of Resources Based View,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and Social Capital theory.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7 hypotheses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s have been proposed with 6 potential variables measured by 24 question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December 2014 to March 2015 and 137 samples out of total 175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PLS(Partial Least Squares) has been used for the methodology of empirical analysis for both antecedents factors path and moderating effects. Results -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innov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echnology capability and technology capability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xport performance. Therefore 3 valuables are proved as antecedents factors of export performance. Second, the social capital(both network diversity and intensity) plays a moderating role with learning orientation to technology capability. However,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s between both of social capital and technology capability regarding export performance. Conclusions - According to path analysis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SMEs should raise technology innov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in order to improve technology capability and export performance. Meantime,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shows that SMEs should consider local network diversity and intensity along with learning orientation to add up technology capability. But local network diversity and intensity does not work systematically with technology capability for export performance and it means that SMEs should find the appropriate local partner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concrete distribution channels based on marketing perspective, not for improving technology capability.

The Roles of Market-Based Learning and Customer Orientation in Shaping Effective Selling Behavior and Efforts

  • Park, Jeong Eun;Kim, Seongjin;Lee, Sungho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7-51
    • /
    • 2009
  •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adaptive selling behavior (ASB), few studies have considered salesperson's customer orientation (CO) and learning behavior as determinants of effective sales management (ASB and relationship-making efforts), despite the discussion of important roles of these constructs. The authors test not only the relationships of salesperson's CO and market-based learning behavior to ASB and relationship-making efforts, but also the effects of ASB on relationship-making efforts and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is done with samples of salespeople from Korean companies, indicate that salesperson's CO and market-based learning behavior are identified as significant determinants of ASB. Moreover, both salesperson's ASB and relationship-making effort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les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as per salesperson's relationship-making efforts, salesperson's CO has a positive effect, but salesperson's market-based learning behavior and ASB do not influence his or her relationship-making efforts, which suggest a provocative possibility of conceptualiz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SB and relationship management efforts.

  • PDF

원격 PBL 수업에서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동기, 몰입의 관계 탐색 : 흥미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Flow in Distant PBL Class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vel of Interest)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95-405
    • /
    • 2021
  • 본 연구는 원격 PBL 수업에서 몰입수준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동기의 관계에서 흥미 수준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몰입과 관련된 학습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론적으로 구조모형을 구성하였다. 이론적으로 구성된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사범학부 5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원격으로 PBL 수업을 수행한 이후 몰입,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동기, 흥미수준을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몰입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동기, 흥미수준의 영향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적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동기의 영향을 흥미수준이 매개하여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성취목표지향성의 영향을 흥미수준이 매개하는 경로가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원격 PBL수업을 운영할 때, 학습자들의 성취목표 지향성을 고려하여 흥미수준을 조절한다면 몰입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동기 유형에 따라 교수메시지에 대한 반응행동 탐색 (Exploring of Reaction Behavior to Instructor Messages according to Learning Motivation Types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14-524
    • /
    • 2018
  •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 활동 촉진을 위해 교수메시지를 학습자에게 전달하였을 때, 학습동기(성취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 행동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A대학과 B대학의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협력학습을 수행하였고, 교수자는 총 6회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이후 학습자들의 반응 시간과 상호작용의 빈도와 수준을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수메시지를 전달하기 전보다 이후가 상호작용의 빈도와 수준이 모두 높아졌다. 교수메시지에 대한 반응 시간은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을 가진 학생들이 가장 빨랐으며, 스캐폴딩 형태의 메시지에는 숙달목표지향성의 학생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독촉의 메시지에는 수행회피목표지향성 학생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마지막으로 숙달목표지향성 학생들은 새로운 주제에 대한 행동이 많았고, 수행접근목표지향성 학생들은 정확성과 관련성에 대한 행동이 많았다.

사이버대학에서 지각된 수단성, 숙달접근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Instrumentality, Mastery Goal 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 주영주;이소영;홍유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45-660
    • /
    • 2011
  • 본 연구는 평생교육을 위해 사이버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수단성, 숙달접근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W사이버대학의 2010년 2학기 재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그 결과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재적 수단성이 숙달접근목표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유일하게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외재적 수단성은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내재적 수단성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 했지만 간접효과를 보였으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도 간을 매개하고 있음이 추가적으로 검증되었다.

  • PDF

무형식 학습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 김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95-202
    • /
    • 2017
  • 영업사원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성과 등을 통한 영업사원의 만족이나 커뮤니케이션 증대 등을 통한 영업 방식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IT 영업사원의 무형식 학습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 간에 대하여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개 회사를 선정하여 159명의 IT 영업사원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모형 (SE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IT 영업사원의 무형식 학습은 긍정심리자본과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도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으로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무형식 학습과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긍정심리학으로 기반으로 한 무형식 학습을 개발하고, 이를 반영하여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을 강화할 수 있는 필요가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융합기업의 기업가정신이 학습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ntrepreneurship of Convergence Companies Affect Learning Orientation)

  • 최승일;김동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243-250
    • /
    • 2017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은 생존하기 위한 필수전략으로 창업 및 기업가 정신의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선진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우선 미국, 유럽연합, 중국 등이 창업 및 기업가정신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큰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의 성장이 정체되고 그 해결책으로 기업내 또는 기업간 융합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힘쓰면서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기업가정신과 학습지향성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한 융합기업의 성장을 위한 경영전략의 기초가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서는 융합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조사를 통하여 통계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혁신성은 학습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취성은 학습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험감수성은 학습지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