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objectives

검색결과 942건 처리시간 0.029초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문제점 (An Analysis on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blems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 박지훈;남정희;권정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57-56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프로그램에 참가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교 과학교수학습센터에서 주관한 중등과학교사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한 24명의 교사 중 5번의 멘토링 과정을 모두 이행한 6쌍(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 및 멘티 저널, 일대일 멘토링 녹음본 및 전사본, 멘토링 중간과 사후에 실시한 인터뷰 녹화본과 전사본, 멘토링 초기와 후기에 실시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 얻은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는 수업을 준비할 때 수업목표를 명확하게 정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수업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적인 개념 이해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멘티교사는 한 차시에 너무 많은 내용을 수업하였으며 발문의 형태는 학생들의 사고를 이끌어내는 발산적 발문보다는 수렴적 발문이 대부분 이였다. 또한 학생들의 행동을 잘 통제하지 못하여 실험수업이나 탐구수업 수행 시 힘들어 하였으며 대부분의 수업에 학생의 참여가 없는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멘티교사들 중 일부는 자신의 교수실행에 대해 문제라고 인식한 부분에 대한 반성을 하였고 교수실행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같은 문제점을 가진 멘티교사라도 자신의 문제점에 대해 인식하고 반성을 한멘티교사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반성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멘토링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동일한 문제점을 나타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 대한 반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주도 인포그래픽 구성 활동의 효과 (Instructional Effect of Infographics Construction in Elementary Science)

  • 이희우;임희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25-635
    • /
    • 2019
  •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시각적 표상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글과 함께 시각적 표상이 제공되는 인포그래픽은 교사가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효율적이다. 또 학생들이 직접 정보를 생산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대부분 글로 기록하는 기존의 실험관찰책과 비교하여 학생들이 직접 인포그래픽을 구성하는 수업이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어떤 효과가 있을 것인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 학생 총 9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적용 단원은 2단원 '산과 염기'로 연구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와 과정을 중심으로 동일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집단은 탐구 결과와 과정을 인포그래픽으로 구성한 반면, 비교집단은 실험관찰책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중점적으로 설명하려는 내용에 따라 인포그래픽의 유형이 달라졌다. 학습 목표에 따라 학생이 중점을 두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스스로 가장 적합한 유형의 인포그래픽을 선택하였다. 둘째, 인포그래픽을 구성하는 수업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시각화 경향성과 수업 처치 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고, 인포그래픽 구성 수업은 학생들의 시각화 특성과 무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업 중 인포그래픽 학습지를 활용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각화 경향성과 수업 처치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인포그래픽을 구성하는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인포그래픽을 구성하는 과정에 어려움을 느낀 학생들의 응답으로부터 수업에서 인포그래픽이 점차적으로 어떻게 활용되어야 더 효과적일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주정의존 환자에서 7분선별검사를 이용한 인지장애의 평가 (Assessment of Cognitive Disorders in Alcoholics Using the 7 Minute Screening Battery)

  • 전진숙;윤한철;이광영;오병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8권2호
    • /
    • pp.258-265
    • /
    • 2001
  • Objectives : Chronic alcohol consumption has been known to result in various neurocognitive deficits. Many neuropsychological studies revealed that the major disturbances occurred in the executive function, learning and short-term memory, visuospatial performance function, perceptuo-motor skills, and abstrac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which cognitive areas might be mainly affected. Methods : The cognitive disturbance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and the 7 Minute Screen(7MS) in male in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N=3 : as well as in age and education level matched healthy male controls(N=30). Four individual tests of the 7MS were consisted of the Benton Temporal Orientation Test, the Enhanced Cued Recall, the Clock Drawing and the Category Fluency. Results : 1) The average scores of four individual test of the 7MS for the alcoholics were $2.77{\pm}4.38$ for the Benton Temporal Orientation Test, $13.90{\pm}2.02$ for the Memory Test(the Cued Recall $6.77{\pm}1.94$, the Uncued Recall $7.10{\pm}2.45$), $5.84{\pm}1.86$ for the Clock Drawing, and $12.58{\pm}3.29$ for the Category Fluency. Except the Benton Temporal Orientation T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st scores of alcoholics and those of controls(p<0.01). 2) The alcoholics who had MMSE-K score <24 were 9.68%. The average(${\pm}S.D.$) score of the MMSE-K for the patient group($27.23{\pm}2.62$) was significantly(p<0.001) lower than that of the healthy controls($29.20{\pm}1.24$).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our individual test scores of the 7MS of alcoholics with the MMSE-K score <24(N=3) and those of alcoholics with the MMSE-K score ${\geq}24$(N=28). 3) Four individual test scores of the 7MS seem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uch variables as MMSE-K, duration of alcohol drinking, blood magnesium concentration, liver function and thyroid function. Conclusion : Mild deficits of cognitive areas such as orientation, memory, visuospatial abilities and verbal fluency could be found in alcohol dependence.

  • PDF

치위생(학)과 학생의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인식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s)

  • 양승경;권순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69-177
    • /
    • 2012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 요소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2009년 4월부터 6월까지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93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목표, 교육내용 선정, 평가에 있어 중부권이 가장 높게 수도권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전문학사 학위과정이 학사학위 과정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내용 조직은 중부권이 가장 높게 호남권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학사학위 과정이 전문학사 학위과정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요소별로 살펴보면, 교육목표 요소는 직업교육, 도덕적 윤리적 요소에서 높게, 창의적 측면에서 낮게 나타났다. 교육내용선정 요소는 학습가능성에서 높게 내용의 타당성과 관련성에서 낮게 나타났다. 교육내용조직 요소는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평가 요소는 학교평가 준거에서 높게, 국가시험 방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의 적응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to stressors and stress adapta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 임미희;구인영;최혜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811-822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self-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to their stressors and ways of stress-adaptation pattern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ental hygiene juniors in four selected colleg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Results : 1. They got a mean of 3.22 in self-efficacy. They gave the highest mark(3.50) to an item 'I can attain it if I set a primary goal.' 2. They got a mean of 3.18 in stressors. Among the stressors, task assignments(3.74) were identified as the greatest stressor, followed by the curriculum(3.25), learning environments(3.16), prospects of employment (3.07) and test anxiety(2.95). 3. They got a mean of 2.02 in stress-adaptation method. They got 2.31 and 1.72 in long-term and short-term adaptation respectively, which showed that long-term stress adaptation method were more prevailing than short-term ones. 4.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ould be any gaps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that regard according to experience of preparing for college admission after leaving high school, academic standing,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prospects of employment(p<.05). 5. As a result of checking the relationship of their self-efficacy to their stressors and ways of stress adaptation metho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at aspect according to examinations and prospect of employment(p<0.05). As for ways of stress adaptation metho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ng-term adaptation method (p<0.05). Conclusions : As it's found that the level of the self-efficacy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was linked to the efficiency of their ways of stress adaptation metho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geared toward boosting the self-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are required to teach them to successfully cope with various kinds of stress that they are likely to face after getting a job.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의 방향: Drake 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The Applicability of the Drake Model)

  • 이경진;노일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217-24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학문중심 통합교육과정 관점으로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문중심 통합교육과정 관점의 대표적인 모형인 Drake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통합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온타리오 주의 사례는 학교 교육과정 내에 '큰 아이디어(Big Idea)'를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선택된 전공과정의 심화뿐만 아니라 타 학문과의 통합시도, 미래 문제의 해결을 위한 통합 적용 등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교과과정 내에서 또는 개인별 심화연구까지 통합을 통한 연구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Drake 모형에 기반한 온타리오 주의 통합교육과정을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온타리오 주의 '정보학 개론' 과목을 국내 과학영재학교의 유사과목인 '정보과학' 과목에 적용해 본 결과, Drake 모형의 탐색 망, KDB 우산, 최종 과제 만들기 단계를 차별화하면 과학영재학교에서 현재 운영 중인 과목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영재들이 학습해야 할 학습 목표, 이해를 보여줄 평가계획, 타학문 또는 실세계 문제와의 통합 경험제공 등을 고려해야 하고 이를 위해 통합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사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Do Korean Medical Schools Provide Adequate End-of-Life Care Education? A Nationwide Survey of the Republic of Korea's End-of-Life Care Curricula

  • Kim, Kyong-Jee;Kim, Do Yeun;Shin, Sung Joon;Heo, Dae Seog;Nam, Eun Mi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4호
    • /
    • pp.207-218
    • /
    • 2019
  • 목적: 임상 의사가 생의 말기 '임종 돌봄(end of life care)'에 대한 진료 역량을 갖추는 것은 점차 중요해 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의과대학에서 임종 돌봄에 대한 교과과정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각 의과대학에서 임종 돌봄 교과과정에 책임을 지고 있는 교수들에게 교과과정에 대한 내용, 강의 시간, 강의 방법과 교과과정에 대한 태도를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41개 의과대학 중 27개 의과대학(66%)에서 설문에 응하였다. 모든 의과대학에서 임종 돌봄 교과과정을 단독교과목이나 다른 교과과정 중 포함시켜 교육하고 있었다. 임종 돌봄을 가르치는 시간의 중앙값은 10시간(2~32 시간 범위)였다. 가장 많이 강의 되고 있는 주제는 나쁜 소식 전하기(100%)와 증상 조절(74%)이였다. 완화의료교육과정 평가 도구(palliative care education assessment tool; PEAT)를 적용하였을 때 11개(범위: 2~26; 최대: 83)의 PEAT 목적이 만족되었다. 교육과정에 대부분 2가지 이상의 교육방법이 사용되었으나 3개 의과대학에서는 오직 강의만을 교육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교과과정 책임 교수의 78%가 교과과정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18%만이 임종 돌봄 강의 시간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였다. 단지 7%의 교수만 학생들이 임종 돌봄 관련 실제 진료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고 답했다. 결론: 의과대학 교육과정 내에 임종 돌봄 관련 학습성과가 도출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운영되어 졸업 후 학생들이 실제 진료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확장적 과학 탐구 과제의 특징이 중학생의 탐구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the Extended Science Investigations Tasks on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Investigation)

  • 윤혜경;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2
    • /
    • 2001
  • 확장적 과학 탐구는 실제의 과학 활동에 보다 가까운 포괄적인 과학 탐구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교 과학교육에서 추구되어야 하며 이러한 탐구 활동을 통한 교육적 성취 중 중요한 하나가 탐구 동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적 과학 탐구 과제의 특징인 실제성, 개방성, 연속성이 중학생의 탐구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탐구 동기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 결과와 학생들의 과학 학습 성취 수준을 고려하여 면담 대상 학생 10명을 추출하였으며 개별 면담 결과를 기록하여 탐구 동기의 변화 사례 및 원인을 분석하였다. 확장적 탐구에 대해 정적 탐구 동기를 나타낸 학생들은 교과서 탐구가 이론의 확인에 그친다는 점에서 비판적이었으며 확장적 탐구 과제의 실제성과 개방성을 정적 탐구 동기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하였다. 또 확장적 탐구에 대해 부적 탐구 동기를 보인 학생들은 교과서 중심의 학습을 강하게 선호하였으며 확장적 탐구 과제의 개방성을 부적 탐구 동기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하였다. 연속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보다는 부정적인 반응이 다소 많았으나 탐구 동기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지는 않았다.

  • PDF

인지 및 정서행동 영역에서의 음악치료 사정을 위한 리듬 프로토콜(MACED-Rhythm) 개발 예비 연구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Protocol for Music Therapy Assessment for Cognitive and Emotional-Behavioral Domain using Rhythm (MACED-Rhythm))

  • ;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1호
    • /
    • pp.67-83
    • /
    • 2013
  • 음악치료에서 사정평가는 내담자의 현재 기능과 필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과정이다. 음악치료사는 사정평가의 내용을 바탕으로 치료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적 접근과 치료전략을 수립한다. 하지만 기존의 음악치료 사정도구는 해당 영역의 행동을 열거하고 이를 관찰하여 수치화함으로써 기능을 평가하였기 때문에, 실제 인간의 음악행동을 통한 기능의 사정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음악행동을 바탕으로 하는 소수의 음악치료 사정도구에서도 음악행동을 구성하는 세부기능영역, 발달단계에 따른 근거에 따른 난이도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술 사정을 위한 리듬요소군을 중심으로 한 음악 프로토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발달학적 근거와 인지기술 수준에 따른 난이도 요소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지발달에 따른 소리정보의 그룹핑, 구조형식의 수준, 전체-부분 관계의 명료성, 반복-변동성 수준을 고려한 리듬 연주 항목과 연주행동에 내포된 정서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리듬 사정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검증과정으로는 먼저 15개의 예비 리듬문항을 난이도, 복합성, 패턴 유형을 고려하여 선정한 후 이를 일반인 61명을 대상으로 난이도 검증을 실시하여 문항별 수준과 난이도 계수를 도출하였다. 둘째, 7인의 전문가 평가팀의 검증을 통해 1차 개발된 문항들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20개의 리듬프로토콜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후 개발될 음악치료사정평가도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노인요당 양성자의 질병관리에 대한 교육 및 추후 관리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and Self-Care Status on the Aged Diabetics)

  • 이선자;권연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9-116
    • /
    • 198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on the aged. One of the Study objectives was to improve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of the aged who have responded positive in the urine sugar test. The other study objective was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variables. The subjects, consisting of 45 positive responders in the urine sugar test, were selected from the elderly who attend elderly citizen center in southern part of Seoul The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 study design was set to compare the pre and post test data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with the measures of results from Health Education services including nursing care intervention programs on the aged diabetics. The first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August. 1986 through questionaires and urine sugar testing. The second data collection was done in September, 1987 through the same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has 9 females and 14 males and the control group has 12 females and 10 males. As for the educational level,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in both group had completed at least 6 years of educ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rine sugar levels between the two groups. 2.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on the extent of change in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 first hypothesis that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in the aged will be unchanged by Health Education. was rejected by increased the three variables and decreased urine suger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econd hypothesis that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wouldn't be concerned with each other, was rejected. That is. the three variables and urine sugar level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but diabetic knowledge to urine sugar level had an in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amount of learning Health Education will have no relationships with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was rejected. That is, the more number of times an elderly person participated in Health Education. they increased their diabetic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nd decreased their urine sugar level. 3. Except for Health Education, an other factor influencing diabetic knowledge was educational level. And an other factor influencing the diabetic attitude was experience of the diagnosis of diabetes. 4. Except for Health Education. the other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practice were experience of the diagnasis of diabetes, sex and experience of the hospitalization for diabetes. But factors influencing urine sugar level weren't found. Although the results seem to be plausible, this study is not without its problems. In paticular, the sample used is limited in its scope and size. So, more empirical work needs to be done for other diseases as well as diabetes before any general conclusions are to be ma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