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difficulty

검색결과 850건 처리시간 0.029초

A study on real-time internet comment system through sentiment analysis and deep learning application

  • Hae-Jong Joo;Ho-Bin Song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3-14
    • /
    • 2023
  • This paper proposes a big data sentiment analysis method and deep learning implementation method to provide a webtoon comment analysis web page for convenient comment confirmation and feedback of webtoon write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rtoon industry in the video animation field.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y of automatic analysis due to the nature of Internet comments and provide various sentiment analysis information, LSTM(Long Short-Term Memory) algorithm, ranking algorithm, and word2vec algorithm are applied in parallel, and actual popular works are used to verify the validity. If the analysis method of this paper is used, it is easy to expand to other domestic and overseas platforms,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video animation content fields, not limited to the webtoon field

  • PDF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유발에 영향을 주는 평가 요소 (The Effect of Factors in Assessment on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High Achieving Students)

  • 박민정;김윤복;전동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23-630
    • /
    • 2007
  • 평가는 학습에 동기를 부여하기도 하므로, 평가의 어떤 요소들이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지 알면 평가를 통해 효과적으로 학습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서울 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물리 교육과 재학생 54명은 자신의 초중등학생 시절의 과학 학습과 관련된 회고록을 작성하였고, 같은 과 63명은 과학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의 요소를 묻는 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의 요소로 성취도, 문항의 난이도와 타당도, 과학 경연의 준비과정, 이 세 가지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과학 평가 문항의 난이도와 타당도가 학습 동기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과 과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에게 과학 경연 대회가 학교의 정기 시험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과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효과적으로 진작시키기 위해서는 선행학습이나 암기력이 필요 없으면서 과학적 사고력과 탐구력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 문제와, 교실 외 과학 활동이 활성화되어 학생들의 참여기회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Web 2.0 기반 e-러닝 콘텐츠 재구성 및 수준 진단 (Reconstruction of e-Learning Contents based on Web 2.0, and the Level Diagnosis)

  • 임양원;임한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429-437
    • /
    • 2010
  • 최근 웹의 기술과 기능이 사용자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되면서 e-러닝의 연구와 설계에서도 학습자 참여와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한 동적인 학습콘텐츠를 구성하려는 새로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러닝 2.0에 적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학습자 중심의 동적인 학습 콘텐츠 난이도 조절에 관한 연구를 기술했다. 본 논문은 학습자 중심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DLA(Dynamic Level Adjustment)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환경의 변화에 적응력이 강한 학습콘텐츠를 조절하고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되고,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목표를 두고 있다. 성능평가 결과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패턴을 인지할 수 있는 동적인 학습콘텐츠 모델을 만들 수 있었다.

SCORM 표준 확장을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e-Learning 시스템 연구 (Realtime Multimedia e-Learning system research by using expanded SCORM)

  • 김정현;황두홍;이주환;김원일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8권1호
    • /
    • pp.51-5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수동적인 이러닝 학습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웹 2.0에서 도래된 이러닝 2.0 학습환경을 위한 표준안을 제시한다. 이러닝 체제를 관리하는 기존의 LMS/LCMS는 동영상 학습 시 다양한 인터렉티브 요소 제공에 한계가 느껴지는 점이 있어 동영상에 있는 콘텐츠 운영시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사이에 실시간성 및 상호작용성이 부족하고, 교수-학습간에 학습자의 정확한 진도율 측정이 힘든 점 등이 있었다. 때문에 이러한 이러닝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자와 교수자간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양방향 학습요소)를 설계한다. 이를 위해 현재 LMS/LCMS 제작 시 사용되고 있는 SCORM 표준을 확장한 표준안을 설계하고,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러닝 멀티미디어 환경을 구현한다.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블록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 학습에 대한 학생 인식 분석 (Analysis of student perception of learning block-type educational programming tool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 이상현;안성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19-528
    • /
    • 2020
  • 코로나 19로 인하여 대부분 학교에서 온라인 학습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총 12차시의 블록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 수업을 온라인 학습 형태로 실시한 후 엔트리 학습에 대한 학생의 학습 경험에 대한 인식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습자는 엔트리 프로그램 사용과 학습 내용의 난이도에 대해 쉽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어려움을 겪을 경우 사이트 자체에서 제공하는 힌트 기능에서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엔트리를 학습할 때 선생님의 필요성에 대해 낮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분석 결과 학습자는 쉽고 간편한 조작을 통해 신기함과 재미를 크게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 내용과 힌트 등이 이해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으며, 힌트 내용이 부족하다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프로그램을 만들고 조작하면서 성취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학습의 의료분야 적용을 위한 자기지도 메타러닝 (Self-supervised Meta-learning for the Application of Federated Learning on the Medical Domain)

  • 공희산;김광수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4호
    • /
    • pp.27-40
    • /
    • 2022
  • 최근 많은 발전을 이룬 의료 인공지능은 의사가 진단과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흉부 엑스레이 분야는 접근성 및 흉부질환 탐지에 유용함과 최근 COVID-19 상황이 도래함에 따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의 수가 많음에도 레이블이 있는 데이터의 수가 부족하므로 효과적인 인공지능 모델을 만드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는 방안으로 연합학습을 흉부 엑스레이 데이터에 적용한 연구가 등장했지만, 여전히 다음과 같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1) Non-IID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고려하지 않았다. 2) 연합학습 환경에서도 여전히 클라이언트의 레이블이 있는 데이터가 부족하다. 우리는 자기지도학습 모델을 연합학습의 Global 모델로 사용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흉부 엑스레이 데이터를 사용한 연합학습에 알맞은 자기지도학습 방법론을 실험적으로 탐색하며, 자기지도학습 모델을 연합학습에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검증한다.

중.고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관한 연구 I

  • 최영준;이원식;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
    • /
    • 1985
  • It is apparent to anyone who has taught science in secondary. schools that a substantial percentage of students find the subject difficult: What is the cause of difficulty? There is season to believe that part of this difficulty is associated with students' intellectual development as deserifed by Piaget. To investigate the difficulty students face with learning science in the light of Piagetian developmental theory, the stages of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 s were assessed in this study using the instrument called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 ing (GA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re than 60% of 7th and 8th grade students were Classified as concrete operational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only 20% of the students from 9th through 11th grade were formal operational stage, while about 40% of them were still at concrete operational stage.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 students by grade. However, it showed that at 0.5 level of significance there was no main effect by sex although mean scores of male on the assessment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 PDF

영어 시제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전략 (An effective strategy on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tense in the EFL education)

  • 강문구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3호
    • /
    • pp.133-156
    • /
    • 2007
  • Although the understanding of English tense system is a crucial factor for communicative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for EFL students, it has been neglected over the years. As with other areas of the grammar, difficulties may arise from the nature of the system itself or from differences between time, tense and aspect. Consequently, many learners face a considerable difficulty with the English tense system as they are more often unable to grasp the basic conceptual differences of present/present continuous, past/present perfect, will/be going to along with many others. More concerning fact is that lots of instructors or so-called native English teachers seem not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English tens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examine various theories and practical usages of tense in order to establish and/or present better methods for teaching tenses. This paper is focused on comparatively exact distinction of time, physical notion from tense, grammatical category as well as sequences of tenses in view of school grammar and communicative function. At the end or middle of each chapter,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or strategies on tenses are suggested to help instructors or learners who relentlessly face confusions in understanding tense and its usage for communicative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This study attempts to influence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and write tense in authentic contexts not to mention spoken English.

  • PDF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학업과정 지지 경험 (Learning Process Support Experience of Cerebral Palsy Children's mothers)

  • 백경선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7권1호
    • /
    • pp.48-60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nd analyze experience of learning process support toward mothers of children who suffer from Cerebral Palsy, to generalize and structurize the meaning of practical learning process support, and to use the study results as basic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support model. Study subjects were 12 mothers who have Cerebral Palsy children attending an ordinary school and a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0, 1999 to December 29, 2000 and from January 20 to March, 2001, for 2 months. Data were collected from un-structural and open question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proposed by van Kaam(1969). Study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port were as follows; As for original materials about learning process support experience of cerebral palsy children's mothers, 48 technical expressions were derived from 97 pieces of original materials, they were categorized into 10 common elements. Those common elements were , , , , , , , , , .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learning process support toward children suffering from Cerebral Palsy should be structureized, and proper models should be developed.

  • PDF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적용한 협동학습 전략에서 보상구조의 효과 (The Effects of Reward Structure in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 고한중;홍선희;강석진;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127-134
    • /
    • 2002
  • Although the reward based on group accomplishment in cooperative learning has a merit to emphasize interdependency, it may have some undesirable side effects such as free rider effect and sucker effect.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se side effect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adjustment of the reward structure affected the scholastic achievement, the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by adding individual reward to group reward. We selected 2 classes of six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and taught on oxygen and carbon dioxide for 13 class hours in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Group reward was applied to one class, and both group and individual rewards were applied to the other class. Analysis of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hievement scores of the students under the group and individual rewar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under the group reward. In addition, they had more difficulty in science class and felt less satisfied. The upper level students under the group and individual rewards were also found to exhibit more competi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