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Curve Effect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7초

반도체에 적합한 복합 학습곡선 모형 (Compound Learning Curve Model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하정훈
    • 산업공학
    • /
    • 제23권3호
    • /
    • pp.205-212
    • /
    • 2010
  • The learning curve model is a mathematical form which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ufacturing experience and its effectiveness.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s widely known as an appropriate example for the learning effect due to its complicated manufacturing processes. In this paper, I propose a new compound learning curve model for semiconductor products in which the general learning curve model and the growth curve are composed.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effectiv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model were abstracted from the existing learning curve models and selected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processes. The simulation results using the historical DRAM data show that the proposed compound learning curve model is one of adequate models for describing learning effect of semiconductor products.

학습곡선을 이용한 수요관리의 효과 추정 (Estimation of the Effect of DSM Program by Analyzing the Learning Curve of a Product)

  • 최준영;송경빈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3권4호
    • /
    • pp.208-213
    • /
    • 2004
  • In this paper, a new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the effect of DSM program is proposed. By identifying the learning curve of high efficient induction motor, the effect of DSM program applied to that product can be estimated. The learning curve of normal induction motor, to which no DSM program is applied, is identified also. Both learning curves, which are different shapes, means different teaming ratio. It can be concluded that DSM program makes the learning curve of the product change the shape. It also can be concluded that DSM program has influence on the sale of the product to which it is applied.

학습곡선을 이용한 수요관리의 효과 추정 (Estimation of the Effect of DSM Program by Analyzing the Learning Curve of a Product)

  • 최준영;송경빈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기기및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B
    • /
    • 제53권4호
    • /
    • pp.208-208
    • /
    • 2004
  • In this paper, a new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the effect of DSM program is proposed. By identifying the learning curve of high efficient induction motor, the effect of DSM program applied to that product can be estimated. The learning curve of normal induction motor, to which no DSM program is applied, is identified also. Both learning curves, which are different shapes, means different teaming ratio. It can be concluded that DSM program makes the learning curve of the product change the shape. It also can be concluded that DSM program has influence on the sale of the product to which it is applied.

이항 반응 자료에 대한 학습곡선의 모형화 (Statistical Modeling of Learning Curves with Binary Response Data)

  • 이슬지;박만식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9권3호
    • /
    • pp.433-450
    • /
    • 2012
  • 연구자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때, 작업 효율성은 연구에 관련된 지식, 경험, 기술이 축적되면서 향상된다. 결과를 얻기 위해 연구에 투자하는 시간은 같은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학습곡선 효과(learning curve effect)라고 일컫는다. 학습곡선(learning curves)은 학습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전의 학습곡선 연구에서는 시간을 일정한 구간으로 나누어 구간별 작업에 대한 숙련도의 평균 차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구간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하는 기준이 존재하지 않으며, 더욱이 이항 반응 자료로 모형을 적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형 확률변수 중 이항 반응 자료(베르누이자료)에 대한 학습곡선의 통계적 모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누적확률분포의 특성을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하기 위해서 뉴튼-랩슨 방법(Newton-Raphson method)을 사용하였고, 이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의 점근적 분포를 구하였다.

초고층 프로젝트에서의 학습곡선효과 상쇄요인 분석 및 작업 생산성 산정 방법 제시 (Analysis on Offset Factors of Learning Curve Effect and Estimation of Labor Productivity in High-rise Projects)

  • 이보경;박문서;이현수;김현수;문명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38-48
    • /
    • 2013
  • 건설 프로젝트 내의 작업의 반복성에 주목하여 건설산업에의 학습곡선효과 적용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충분한 반복 작업을 가지는 초고층 프로젝트에서 학습곡선효과가 실제로 발생하는가에 대한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이에 관해 기존의 연구들은 실제 건설 현장의 작업 생산성 데이터 분석을 통해 효과의 유무를 검증하였으나 작업 생산성의 향상 여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층 프로젝트에서 학습곡선효과가 발현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상쇄시키는 요인들을 찾고, 이를 반영한 작업 생산성 산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이론을 보완하고 건설산업에서의 학습곡선효과 이론을 재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C.V.P. 분석에 있어서 학습곡선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t-Volume-Profit Analysis Adjusted for Learning Curve)

  • 연경화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69-78
    • /
    • 1982
  • Traditional CVP (Cost-Volume-Profit) analysis employs linear cost and revenue functions within some specified time period and range of operations. Therefore CVP analysis is assumption of constant labor productivity. The use of linear cost functions implicity assumes, among other things, that firm's labor force is either a homogenous group or a collection homogenous subgroups in a constant mix, and that total production changes in a linear fashion through appropriate increase or decrease of seemingly interchangeable labor unit. But productivity rates in many firms are known to change with additional manufacturing experience in employee skill. Learning curve is intended to subsume the effects of all these resources of productivity. This learning phenomenon is quantifiable in the form of a learning curve, or manufacturing progress function. The purpose d this study is to show how alternative assumptions regarding a firm's labor force may be utilize by integrating conventional CVP analysis with learning curve theory, Explicit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learning should substantially enrich CVP analysis and improve its use as a tool for planning and control of industry.

  • PDF

자극에 의한 반응시간의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n learning effect of reaction time to the stimulus)

  • S.L.Seung;Lee, S.D.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3-120
    • /
    • 1992
  • In this paper, a mathematical model of learning curve is proposed to study the finger's reaction time. The model is a logarithmic linear type which represents a learning curve appropriately, and parameters are estimated by the linear. The learning coefficient and percentage of a reaction time can be easily computed in the mathematical model. This quantitative approach provides an important information to be used for the working capability qualification for re-employment as well as for the adaptability estimation of aged workers.

  • PDF

에너지기술의 학습 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Review on the Experience Curve toy Energy Technology)

  • 장한수;최기련
    • 에너지공학
    • /
    • 제15권4호
    • /
    • pp.209-228
    • /
    • 2006
  • 학습효과는 에너지기술의 전개와 관련된 메커니즘을 규명하려는 이론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함으로써 아직까지는 국내에서 일천한 관련 이론에 대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학습곡선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사례, 제반이론, 적용방법 및 정책 응용에 관하여 살펴본다. 또한 에너지기술의 학습과 비용절감 요인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학습곡선의 메커니즘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각 장별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한다.

개수형 자료에 대한 학습곡선효과의 모형화 (Modeling of The Learning-Curve Effects on Count Responses)

  • 최민지;박만식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3호
    • /
    • pp.445-459
    • /
    • 2014
  • 일반적으로 특정한 작업에 익숙해진다는 것은 그 작업에 투입되는 노력에 비해 산출되는 성과가 보다 뚜렷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양이나 정도의 노력을 들여 특정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초기 시점보다 원하는 성과를 기대 이상으로 얻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학습곡선효과(learning-curve effects)'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작업을 반복시행한 결과가 개수형인 형태로 측정되는 변수에 대해 (역)S자 형태를 가지는 통계적 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다양한 모의실험 하에서의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고 특정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자료에 적합하였다.

An analysis of learning effect of finger's reaction time for middle and old aged

  • 서승록;이상도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7-56
    • /
    • 1992
  • In this paper, a mathematical model of learning curve is proposed to study the fi- nger's reaction time. The model is a logarithmic linear type which represents a lear- ning curve appropriately, and parameters are estimated by the linear. The learning coefficient and percentage of a reaction time can easily computed in the mathematical model. This quantitative approach provieds an important information to be used fot the working capqbility qualification of re-employment as well as the adaptability estimation of aged work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