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removal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2초

잡초제거(雜草除去) 시기(時期)가 옥수수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Weed Removal Time on Growth and Yield of Maize)

  • 강영길;박근용;정승근;박승의;문현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0-55
    • /
    • 1985
  • 잡초제거(雜草除去) 시기(時期)가 옥수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82~1983년(年)에 수원(水原)에서 옥수수 단교잡종(單交雜種)을 공시(供試)하고 옥수수 출아(出芽)부터 각각(各各) 3, 5, 7, 9 엽기(葉期) 및 성숙기(成熟期)(완전제초(完全除草))까지 10일(日) 간격(間隔)으로 계속(繼續) 제초(除草)하는 구(區), 3, 5, 7, 9엽기(葉期)부터 성숙기(成熟期)까지 제초구(除草區), 무제초구(無除草區)의 옥수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포장(試驗圃場)의 우점잡초(優占雜草)는 여뀌, 명아주, 피, 바랭이(1982년(年)) 등(等)이었는데 1982년(年)에 잡초(雜草)에 의한 출사일수(出絲日數), 간장(稈長), 10a당(當) 주수(株數), 수당립수(穗當粒數), 종실수량등(種實收量等)의 감소(減少)가 컸었다. 3. 종실수량(種實收量)은 무제초구(無除草區)에서 1982년(年)에 85%, 1983년(年)에 58% 감소(減少)되었고 옥수수 출아(出芽)부터 3엽기(葉期)와 5엽기(葉期)까지 제초(除草)할 때 1982년(年)에 각각(各各) 46, 44%, 1983년(年)에는 각각(各各) 29, 18% 감소(減少)되었으나 출아(出芽)부터 7엽기이후(葉期以後)까지 제초(除草)할 때는 감수(減收)가 되지 않았다. 또한 옥수수 3엽기(葉期)부터 성숙(成熟)까지 제초(除草)할 때는 감수(減收)가 되지 않으나 처음 제초(除草)가 5, 7, 9엽기(葉期)로 늦어짐에 따라 1982년(年)에는 각각(各各) 10, 36, 67%의 감수(減收)가 있었고 1983년(年)에는 각각(各各) 14, 18, 21% 감수(減收)되었다. 4. 1983년(年)의 지상부(地上部) 건물수량(建物收量)은 제초(除草)를 하지 않을 때 60% 감소(減少)되었고 옥수수 출아(出芽)부터 3, 5, 7, 9 엽기(葉期)까지 제초구(除草區)에서 각각(各各) 35, 28, 14, 7%의 감수(減收)가 있었다. 또한 3, 5, 7, 9엽기(葉期)부터 성숙기(成熟期)까지 제초(除草)할 때는 각각(各各) 2, 11, 20, 31% 감수(減收)되었다. 5. 따라서 잡초(雜草)에 의(依)한 옥수수의 종실(種實) 또는 건물수량(乾物收量) 감소(減少)를 방지(防止)하려면 옥수수 7엽기(葉期)까지 발생(發生)하는 잡초(雜草)는 일찍 제거(除去)되거나 옥수수 7엽기(葉期)까지 잡초발생(雜草發生)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교잡종(交雜種) 찰옥수수의 분얼경(分蘖莖) 제거(除去)가 이삭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Ear Characteristics on Each Tiller Removal Treatment in Maize Hybrid with Tiller)

  • 이희봉;최봉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37-241
    • /
    • 1997
  • 교잡종 찰옥수수에서 발생하는 분얼 제거 처리가 주경의 첫째이삭의 크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고자 생육 과정별로 분얼을 제거한 결과, 분얼 초기에 분얼경을 제거하는 것이 간장이 가장 컷고, 다음은 분얼성기, 무처리순으로 나타났으나 이들 처리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는데, 착수고 역시 간장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경태의 경우 분얼초기, 분얼성기, 무처리, 웅수출현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처리간에는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주경 제1 이삭절의 엽장은 분얼초기, 분얼성기, 웅수 출현기, 무처리 순으로 높게 나타 났으며 엽폭 역시 엽장과 비슷한 경향으로 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 되었다. 주경 제1 이삭의 길이는 분얼초기에 처리한 구에서 가장 컷고, 다음이 분얼 성기, 웅수 출현기, 무처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삭직경 역시 이삭 길이와 동일한 경향으로 이들 처리간에는 매우 현저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 PDF

연초의 엽위 분포형태에 따른 지상 원격센서의 유효 탐사거리와 측정 효율성 평가 (Evaluation of Effective Sensing Distance and Measurement Efficiency for Ground-Based Remote Sensors with Different Leaf Distribution in Tobacco Plant)

  • 정현철;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6-136
    • /
    • 2008
  • 사경재배에서 이식후 70일 동안 생육된 연초 식물체를 이용하여 지상원격측정 센서들의 유효 측정거리와 측정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센서의 측정거리와 목표물의 캐노피 형태는 연초 엽의 제거방법을 상위엽부터 하위엽으로 차례로 제거하는 top-down 방법과 하위엽부터 상위엽으로 차례로 제거하는 bottom-up 방법으로 구분하여 조절하였다. 시험에 적용된 센서들은 수동형센서로서 $Crop\;Circle^{TM}$과 Spectroradiometer 그리고 능동형 센서는 $Crop\;Circle^{TM}(ACS210)$ red와 amber 및 $GreenSeeker^{TM}$ red와 green 등 4개 종류를 비교하였다. 검토된 모든 센서들의 반사율지표는 수동형과 능동형 센서의 종류에 관계없이 연초식물의 하위엽보다 상위엽의 캐노피 형태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비교 검토된 측정거리보다 큰 213 cm의 유효거리를 갖 는 $Crop\;Circle^{TM}(ACS210)$에 의한 반사율지표들은 센서의 유효거리가 제한되지 않은 수동형 센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측정거리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유효거리 80-120cm로 제시된 $GreenSeeker^{TM}$능동형 센서는 유효측정거리의 한계로 규정된 120 cm보다 멀어질 경우 반사율지표는 크게 감소되고 측정오차를 보여 센서별로 규정된 유효 측정거리는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초 엽의 top-down 제거방법에 따른 건물중과 반사율지표의 상대비율로 상호관계를 평가한 결과 건물중 변화를 검출하는 능력은 수동형 센서보다 능동형 센서가 양호한 경향이었으며 센서 종류별로는 $Crop\;Circle^{TM}(ACS210)$ red >$Crop\;Circle^{TM}(ACS210)$ amber = $GreenSeeker^{TM}$ red > $Crop\;Circle^{TM}$ passive > $GreenSeeker^{TM}$ green > spectroradiometer의 순으로 측정효율이 감소되었다.

클로로필을 제거한 영하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Lycium barbarum's leaf with removal of chlorophyll)

  • 김지은;배수미;남유리;배은영;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1호
    • /
    • pp.26-3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구기엽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50%, 70%, 100% 에탄올 추출물과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클로로필을 제거한 시료를 포함하여 총 4종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와 ABTS radicals 소거능, FRAP assay를 통해 시료의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H_2O_2$처리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 HepG2세포주에서 추출물 들이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ROS 생성, DNA fragmention, 세포의 항산화효소활성 (SOD와 catalase)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 DPPH와 ABTS radicals 소거능, 그리고 FRAP value에서 모두 추출용매의 알코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클로로필 제거 시료가 제거 전 시료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p < 0.05). HepG2세포에서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1,000{\mu}g/mL$까지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모든 추출물들은 $31.3{\mu}g/mL$ 농도부터 $H_2O_2$에 의해 증가한 ROS생성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p < 0.05). 모든 추출물은 $250{\mu}g/mL$의 농도로 배양액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p < 0.05). 또한 $H_2O_2$처리한 세포에 비하여 추출물들을 함께 처리한 세포군의 SOD와 catalase 활성은 정상세포과 유사한 수준으로 강력한 보호효과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들은 항산화능이 높으며 고농도까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고 $H_2O_2$에 의해 손상된 간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클로로필 제거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높고 세포독성과 세포보호 효과가 클로로필 제거전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과 유사하게 나타나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의 소재로 활용하기에 적절한 소재로 생각된다.

보리의 등숙기에 있어서 엽신과 망의 역할 (Role of Awns and Leaves during Grain Filling Period in Barley)

  • 류용환;이창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6-222
    • /
    • 1994
  • 제망 및 적엽에 의한 망과 엽위별 엽신의 생산효율을 검토하고자 특성이 상이한 올보리, 강보리 및 수원18호를 공시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천립중, 및 등숙률에 대한 망과 엽신의 역할은 품종간 차이가 인정되어 올보리와 강보리는 적엽보다 제망의 영향이 켰으나 수원18호는 엽의 역할이 더 컸다. 2. 엽신의 엽록소 및 질소함량도 품종간 차이가 있어 올보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지속기간도 길었고 엽위별로는 상위엽일수록 높았다. 3. 엽위별 엽신의 질소함량보다 엽록소 함량의 차이가 더 컸으며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엽록소 함량의 일실속도가 질소 함량보다 빠르게 진행 되었다. 4. 동화기관별 종실중에 대한 기여도는 간과 엽초에서 79.2∼81.4%로 품종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망은 올보리와 강보리가 11.6∼13.8%, 수원18호는 5.4%, 엽신은 각각 4.8∼8.1%, 15.4%로 망과 엽신에서는 품종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 PDF

보리까락길이 Near-Isogenic 계통의 주요 형질 비교 (Comparison of Major Agronomic Traits between Barley Near-Isogenic Line for Awnedness)

  • 천종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1-127
    • /
    • 1993
  • 보리의 식물체를 등열중기에 가축의 조사료로 급여하기에 적당한 총체형 보리 (barlet for whole crop forage)로 까락이 없고 생체중이 큰 초형이 필요한데, 망장, 동질유전자계(망장, 무망)를 선발하여 두 계통의 수량성 및 그 구성요소의 차이를 비료하고, 지엽 및 까락의 절제가 광합성능과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v장 추파한 무망종의 간장, 수장, 1수입수, 엽면적, 광합성능 및 생체중이 장망종에 비해서 컸으나 수량성은 6%정도 적었다. 2. 지엽 또는 까락을 절제시, 천입중과 곡입중의 감소를 초래하였는데, 천입중과 곡입중은 지엽절제시 3~4%와 5~6%가 각각 감소되었고, 장망의 까락 절제시 천입중과 곡입중은 7%와 15%가 가각 감소되었다. 지엽 및 까락을 동시에 절제시는 14%와 21%가 감소되었다. 3. 지엽의 광합성능은 차엽신 및 제3엽신 보다 7~8%와 37~41%가 각각 높았다. 무망종의 엽위별 엽신의 평균 광합성능은 6.1~9.7 co$_2$$_2$ ${\mu}$mole $m^{-2}$ $s{-1}$, 로 장망종 보다 매우 높았다. 4. 본 관험에서 공시된 무망종은 장망종에 비하여 엽신의 광합성능이 크고, 줄기 및 엽초의 생체중이 커서 총생체중이 무거워 총체형 사료(whole crop forage)이 초형으로 적당한 계통이라고 생각된다.

  • PDF

Occurrence of ELISA Inhibitors, and Inhibitor-free Determination of Cyclobutane Pyrimidine Dimers in Japanese Cypress Leaves

  • Hashimoto, Tohru;Nakagawa, Noriko;Okano, Michiaki;Nikaido, Osamu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448-450
    • /
    • 2002
  • DNA samples extracted from Japanese cypress leaf tissues contain isopropyl alcohol-precipitable, high molecular weight compounds, which interfere ELISA for cyclobutane pyrimidine dimers (CPD). Removal of the compounds is achieved by DEAE ion-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and improves the ELISA responses of the DNA. When extracting DNA repeatedly from the same leaf tissues, the DNA samples show CPD responses which increase with the order in sequential extraction, and hence for a reliable detennination of DNA lesion a thorough extraction of DNA is required. Clearing these two problems it was demonstrated that CPD level was slightly higher in the leaves of trees growing under full sunlight than in those growing under UBV -cut sunlight.

  • PDF

수세미오이의 부위별 유효성분 조사 및 사과락의 육질제거에 관한 연구(III) -잎, 줄기 및 종자의 L1210세포에 대한 세포독성과 충치균에 대한 항균작용- (The Study on the Effective Components in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 and Development for Removal of the Flesh from its Fruits(III) -Cytotoxic Activity of Leaf, Stem and Seed Extracts against L1210 Cells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OMZ176-)

  • 배기환;지종명;장기운
    • 생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9-251
    • /
    • 1991
  • The cytotox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leaf, the stem and the seed extracts of Luffa cylindrica were evaluated against L1210 cells and Streptococcus mutans OMZ176, respectively. Among hexane, ether, butanol and water fractions, the ether fraction demonstrated the most potent cytotoxic activity, and the $ED_{50}$ values of the ether extract from the leaf, the stem and the seed were 3.5, 3.7 and $13.7{\mu}g/ml$, respectively. Meanwhile, the other fractions showed negligible effect. Separately, it was found tha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respective fraction from three parts was insignificant.

  • PDF

Growth Rate and Nutrient Content Changes of Humulus japonicus

  • Ju, Eun-Jeong;Kim, Jae-Geun;Lee, Yang-Woo;Lee, Bo-Ah;Kim, Heung-Tae;Nam, Jong-Min;Kang, Ho-Je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5호
    • /
    • pp.461-467
    • /
    • 2006
  • The growth pattern and the seasonal changes in nutrient contents of Humulus japonicus were investigated. Stem length of H. japonicus reached the maximum from 240 to 260 Julian date and the median value was found at 255 Julian date. The maximum leaf area was observed from 235 to 248 Julian date and the median value was at 240 Julian date. The maximum growth rate of the stem length ranged from 205 to 227 Julian date. The leaf area showed the maximum growth rate from 196 to 214 Julian date. The median date in the growth rate of the stem length and leaf area was 212 and 205 Julian date, respectively. The growth rate of H. japonicus was related to rainy season and precipitation. Phosphorus and sodium contents of H. japonicus were correlated with maximum potential rate of relative growth. Although stem biomass of H. japonicus was $ 1.5{\sim}3.5$ times larger than that of leaf, N content of the leaf ($4.48{\sim}5.27%$)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stem ($2.00{\sim}3.62%$). High content of N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high growth rate of H. japonicus in summer. This result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appropriate timing for the removal of H. japonicus.

폐쇄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광도, 수확 전 양액조성 및 양액결제시기가 잎상추의 체내 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Intensity, Nutrient Solution Compositions before Harvest and the Time of Nutrient Solution Removal on Nitrate Contents in Hydroponically-Grown Leaf Lettuces in 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

  • 여경환;최경이;이중섭;이재한;박경섭;김진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3-401
    • /
    • 2017
  • 쌈채소 수경재배 시 문제가 되는 체내 질산염 함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 폐쇄형 생산시스템에서 1) 저광도($100{\mu}mol{\cdot}m^{-2}{\cdot}s^{-1}$내외) 조건에서의 수확 7일 전 양액조성 방법과 2) 질산염 저감을 위한 적정 광도 및 수확 전 적정 양액결제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치마상추에서 수확 7일 전 양액조성 방법 중 양액결제(양액공급 중단) 처리와 양액내 질소 공급원으로 탄산암모늄[$(NH_4)_2CO_3$]을 사용한 처리는 처리기간 동안 체내 질산염 함량을 감소시켰으나, 생체중, 엽면적 등의 생육량도 감소되었다. 하지만 $100{\mu}mol{\cdot}m^{-2}{\cdot}s^{-1}$조건에서 수확 7일전 양액내 $NO_3-N$ 비료를 결제하여 조성하거나 배양액 농도를 1/2배액으로 낮추어 공급함으로써 외적품질 및 생육량의 저하없이 질산염 함량은 감소되었다. 또한 수확 전 양액결제시기 및 적정 광도를 구명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100, 200, 및 $300{\mu}mol{\cdot}m^{-2}{\cdot}s^{-1}$의 3수준의 광조건 모두 수확 7일 전 양액결제시에 체내 질산염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300{\mu}mol{\cdot}m^{-2}{\cdot}s^{-1}$의 광도와 수확 7일 전 양액결제 처리시 식물체내 질산염의 빠른 저감효과를 볼 수 있었으나 생육량의 감소를 가져왔다. 수확 3일 전 양액결제 처리에 의해 $300{\mu}mol{\cdot}m^{-2}{\cdot}s^{-1}$ 광도에서 체내 질산염 함량은 2,021ppm에서 480ppm로, $200{\mu}mol{\cdot}m^{-2}{\cdot}s^{-1}$ 광도에서 3,018ppm에서 1,035ppm로 감소되었으며, 외적 품질의 저하 없이 생육량이 높으면서 동시에 짧은 시간 동안 식물체내 질산염의 저감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수확 7일 전 양액결제 처리는 체내 질산염의 저감효과가 컸던 반면 엽중, 엽면적 등의 생육 감소를 가져왔는데, 200과 $300{\mu}mol{\cdot}m^{-2}{\cdot}s^{-1}$의 광조건에서 수확7일 전 양액결제시 수확 3일 전 양액결제보다 엽중은 20~35%, 엽면적은 16~31%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광도 및 양액결제시기에 따른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한 결과 100, 200보다 $300{\mu}mol{\cdot}m^{-2}{\cdot}s^{-1}$ 에서 수확 3일과 5일전 양액결제 처리시 비타민 C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