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kimchi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8초

여자고등학생의 김치 섭취, 기호도 및 이용 실태 (The Intake,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Kimchi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박은숙;이경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98-60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ake,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kimchi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instrument of investigation. The subjects were 371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Chonbuk province. More than 80% of the subjects had eaten 8 kinds of kimchies Korean cabbage kimchi, cubed radish kimchi, radish leaves kimchi, green onion kimchi, salted cucumber, watery radish kimchi, radish root & leaves kimchi, and Korean wild radish kimchi. The subjects living in urban areas ate more stalk of sweet potato kimchi and leaf mustard kimchi, however the subjects living in rural areas ate more sedum kimchi. The subjects in large families ate more leaf mustard kimchi and sedum kimchi. The preferred kinds of kimchi were radish kimchi, Korean cabbage kimchi, cubed radish kimchi, and cucumber radish kimchi. Seventy-four point four percent of the subjects liked kimchi, whereas 1.6% of them disliked it. The reason eating kimchi was 'custom'(59.0%), 'taste'(30.7%), 'nutrition'(4.3%), 'traditional flod'(2.7%), and 'parents advice'(2.7%). 38.4% of the subjects in urban area ate kimchi for taste whereas 25.0% of them in rural area did. They prefefrred 'well fermented', 'hot', and 'very pungent' kimchi. The preferred dishes made with kimchi were stir-fried rice with kimchi, kimchi stew, pan-fried kimchi, and rice with bean sprouts & kimchi.

  • PDF

병포장 갓김치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Antioxidation Activities of Bottled Mustard Lea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복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50-957
    • /
    • 2009
  • Mustard Leaf Kimchi (MLK) is a traditional fermented Korean vegetable f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 vacuum treatment on MLK packed in a glass bottle during fermentation. There have been a few previous studies that examined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during MLK fermentation. However, the major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vacuum treated MLK.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vacuum treated mustard leaf Kimchi (VM) and control mustard leaf Kimchi (CM) were examined. VM and CM were fermented at $5^{\circ}C$ for 8 weeks. A model system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rude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CCC) extracts from Mustard leaf Kimchi. The oxidative reaction of the linoleic acid mixture system at $30^{\circ}C$ in the dark was quantified determining the peroxide value and conjugated dienoic acid content. The effect of the CCC extracts on lipid peroxidation in a rat liver homogenate was examined. Formation of lipid peroxides was estimated by the TBA value, and the CCC extracts were found to inhibit the TBA value. Chlorophyll a and b, and carotenoids, Which are the major components in the CCC extracts of Kimchi were isolated on a DEAE-sepharose CL-6B and Sepharose CL-6B column and TLC. The effects of chlorophyll a and b, caroteins on linoleic acid autoxidation were measured by determining the peroxide value. In addition, their effects on free radical scavenging were investigated by DPPH. In this assay, chlorophyll a showed the greatest antioxidative activity followed by chlorophyll b, and carotenoids. MLK contains a sufficient content of chlorophyll a and b, and carotenoid which have strong antioxidative activities.

  • PDF

병 포장 갓김치의 항암성에 대한 연구 (Anticancer Effect of Bottled Mustard Lea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복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63-1071
    • /
    • 2008
  • Mustard Leaf Kimchi (MLK) is a traditional fermented Korean vegetable fo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cancer effect of partial vacuum treatment of MLK packed in glass bottles during fermentation. Prepared vacuum treated mustard leaf Kimchi (VM) and non-vacuum treated mustard leaf Kimchi (CM) were fermented at $5^{\circ}C$ for 8 weeks. The initial pH and total acidity were approximately 5.7 and, 0.36%, respectively. During fermentation, pH decreased and total acidity increased. Initial contents of reducing sugar and salt were 2.1% and were 2.7 mg/g, respectively. Reducing sugar gradual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Growth of cells from mouse cancer cell lines (L12l0 and P338D1) and human cancer cell lines (HepG2 and WiDr) were all decreased by MLK. VM and CM did not affect growth. More potent growth inhibition effects were exhibited by water versus hexane extracts of MLK, and by MLK fermented for 3 weeks versus 6 weeks. However, when applied to control NIH/3T3 cells at the same concentrations, MLK exhibited no cytotoxicity, and cell growth was unimpeded.

  • PDF

김치종류별 식이가 Hairless Mouse 피부의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kin of Hairless Mouse Fed Various Kimchi Diet)

  • 류복미;류승희;양영철;이유순;전영수;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69-1475
    • /
    • 2004
  • 피부는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노화에 따른 조직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기관이다. 동결건조한 배추김치, 갓김치, 부추김치를 식이에 10%씩 첨가하여 hairless mouse에 16주간 섭취시켜 피부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표피의 두께는 감소하며 본 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 김치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각질화에 관여하는 cytokeratin은 대조군에 비해 갓, 배추, 부추김치군의 순으로 낮았는데 전자현미경적 소견으로도 대조군에서 각질층은 중간원섬유들이 치밀하게 분포된 매우 두꺼운 각질층이 보인 반면 갓김치, 배추김치, 부추김치군은 얇은 각질층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상피기저막의 type Ⅳ 콜라겐은 갓김치섭취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어 갓김치 성분들이 피부의 기저막의 노화를 억제한 것으로 사료된다. 콜라겐 함량은 노화에 따라 감소하며 대조군에서 콜라겐의 합성에 관여하는 fibroblast의 RER 발달은 뚜렷하지 않았으나 갓김치군, 배추김치군에서는 RER의 발달이 현저하여 새로운 콜라겐 생성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많은 생리활성물질 및 항산화물질이 함유되어진 김치의 섭취는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갓김치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쇠고기 지방질 산화에 대한 김치종류별 항산화작용 (Antioxidative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Kimchi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Meat)

  • 최홍식;송은승;전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93-997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kimchi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meat in model systems. Model systems of cooked ground meat(CGM), CGM-Chinese cabbage kimchi(CK), CGM-radish kimchi(RK), and CGM-mustard leaf kimchi(MLK) were prepared and their oxidation were evaluated during the storage at 4$^{\circ}C$ for 5 weeks. Thiobarbituric acid(TBA) values of CGM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storage at 4$^{\circ}C$ for 5 weeks. Thiobarbituric acid(TBA) values of CGM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storage time, however, TBA value of CGM-CK, CGM-RK, and CGM-MLK lowered and that of CGM-MLK was lowest. Antioxidative effect of CGM-MLK increased with the addition levels of kimchi in the system. And also in the model systems which were prepared with CGM and MLK in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s, the antioxidative effect was highest in the properly fermented-kimchi.

  • PDF

갓김치(Brassica juncea) 숙성 중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장혜림;박서연;이종헌;황명진;최용민;김행란;황진봉;서동원;김상희;남진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06-715
    • /
    • 2016
  •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changes in mustard leaf kimchi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of up to 3 months. The pH decreased, and the titratable acidity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of fermentation periods. Fructose and glucose were the major free sugars in mustard leaf kimchi, and their amou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fermentation periods (p<0.05). Lactic acid conten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with maximum increase at 3 months. All types of kimchi contained 20 amino acids, but the content of most amino acid fluctuated during fermentation. Except for K and Zn, the content of other ingredients including Ca, Fe, Mg, Na, Se were the highest in kimchi fermented for 2 months. The unsaturated fatty acid of mustard leaf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saturated fatty acid, and total fatty acid of kimchi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2 months (p<0.05). Most vitamin content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fermentation, in particular, vitamin B complex except for $B_2$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3 months (p<0.05). The result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fermentation period to improve the quality of kimchi.

콩잎 김치의 숙성에 미치는 소금농도의 효과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Soybean Leaf Kimchi Fermentation)

  • 이숙희;최동진;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12-516
    • /
    • 2003
  • 콩잎김치의 소금농도별 저온에서의 숙성효과를 시기별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가 점차로 낮아지고 산가는 증가하였다. 소금농도 1.5% 처리한 콩잎김치에서 가장 빨리 pH가 저하하였다. 염농도 측정에서 처리한 소금농도별로 염농도가 높았으며, 숙성 8일경에 모든 처리에서 염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안정적 양상을 보였다. 소금농도별 미생물상 변화에서 총균수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감소한 후 일정한 경향을 유지하였고, 젖산균은 숙성되면서 발효 시작시에 현저한 증가를 보인 후 큰 변화 없이 일정한 양상을 유지하는 경향이었으며 처리한 소금농도가 높을수록 발효후기에 젖산속 균의 생육이 활발하였다 소금농도 3.0% 혹은 4.5% 처리한 콩잎김치에서 관능평가 결과 좋은 점수를 받았으며 냄새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짠맛에서도 보통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다.

김치 발효숙성중의 Vitamin U 및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Changes in Vitamin U and Amino Acid Levels of Korean Chinese Cabbag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홍은영;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11-4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배추김치를 종자별, 부위별, 저장조건별 유리당, vitamin C, amino acids의 함량을 분석하고 변화 경향을 조사하여 보았으며 vitamin C의 전구물질인 methionine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리당의 경우 core> middle> outward 부위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midrib 부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Vitamin U의 경우55일 배추 outward leaf 부위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증가 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 amino acids의 함량은 vitamin U와 같이 outward leaf 부위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threonine, alanine, proline이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으로 조사되었다. Vitamin U의 전구물질인 methionine의 함량은 부위별, 저장조건별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나, vitamin U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뚜렷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김치 발효에 의한 장내병원균의 생육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Intestinal Pathogenic Bacteria by Kimchi Fermentation)

  • 강창훈;정경완;하덕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80-486
    • /
    • 2002
  • 김치 발효가 병원성 장내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여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추 및 갓 김치를 제조할 때에 6종의 병원성 장내세균을 접종하여 발효 중의 이들의 변화를 측정하고, 또 김치의 주된 재료에서 검출되는 대장균과 이들 원료로 담근 김치 중의 대장균군 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주된 김치 재료 중 대장균군이 가장 많이 검출된 것은 생강과 대파였으며 그 다음이 배추, 고춧가루, 마늘의 순이었다. 김치 중의 대장균군 또는 시험 병원균은 모두 발효의 진행에 의한 pH의 저하에 따라 감소하고 사멸되었다. 대장균군은 배추김치에서 pH 3.9 이하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Clostridium perfringens ATCC 13124,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1,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625,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Vibrio parahamolyticus ATCC 27519, 및 Escherichia coli O157 : H7 ATCC 43894는 배추김치에서 pH 4.1, 3.7, 3.8, 3.8, 3.7, 및 3.7 이하에서 각각 검출되지 않았고 갓김치에서는 pH 4.5, 4.0, 4.2, 4.2, 4.2 및 4.1 이하에서 각각 검출되지 않았다. 또 갓 즙액 및 allyl isothiocyanate는 병원균에 대해서 뚜렷한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젖산균에 대한 효과는 미약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김치 발효는 김치의 안전성을 높이게 되면 갓의 병원균에 대한 뚜렷한 생육저해효과는 주로 갓 중에 함유된 자극성 성분인 allyl isothiocyanate 의 항균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배추의 부위에 따른 김치의 품질특성과 동결건조에 의한 품질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Part of Chinese Cabbage and Its Quality Change by Freeze-drying)

  • 고영태;이주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84-789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배추를 중륵, 잎, 전체와 같이 부위별로 나누어 각각 다른 김치를 제조하여 김치의 품질특성 즉,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관능성 및 휘발성냄새성분을 조사하고, 아 울러 동결건조가 부위별로 나누어 제조된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먼저 염도를 보면 whole(전체)은 2.31%인데 비하여 중륵부위는 2.03%로 낮았고, 잎부위는 2.68%로 높았으며 배추의 부위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20^{\circ}C$, 3일 숙성된 시료의 pH를 보면 중륵시료가 4.00으로 가장 낮았고, 잎시료가 4.62로 가장 높았다. 산도는 whole시료 0.652%, 중륵시료 0.667%에 비하여 잎시료는 0.422%로 낮았으며 잎시료의 산도 수치는 다른 두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젖산 균수는 whole시료 $1.7{\times}10^9$, 중륵시료 $1.8{\times}10^9$, 잎시료 $1.0{\times}10^9$으로 whole시료와 중륵시료가 잎시료보다 다소 높았다. 관능적특성을 보면 동결건조여부에 관계없이 표준시료(전체)와 중륵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 맛 및 냄새가 잎시료보다 우수하였다. 숙성시료 또는 동결건조/복원시료의 경우에는 whole시료와 중륵시료에서 ethanol과 함유황화합물과 같은 휘발성냄새성분 함량이 잎시료보다 대체적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