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tea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9초

인공지능(AI) 모델을 사용한 차나무 잎의 병해 분류 (Tea Leaf Disease Classifi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Models)

  • 피우미 사우미야 쿠마라테나;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1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Inception V3, SqueezeNet(local), VGG-16, Painters 및 DeepLoc의 다섯 가지 인공지능(AI) 모델을 사용하여 차나무 잎의 병해를 분류하였다. 여덟 가지 이미지 카테고리를 사용하였는데, healthy, algal leaf spot, anthracnose, bird's eye spot, brown blight, gray blight, red leaf spot, and white spot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시각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파이썬 라이브러리로 작동하는 Orange3였다. 이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조작하여 분석하기 위한 워크플로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동되었다. 각 AI 모델의 정확도로 최적의 AI 모델을 선택하였다. 모든 모델은 Adam 최적화, ReLU 활성화 함수, 은닉 레이어에 100개의 뉴런, 신경망의 최대 반복 횟수가 200회, 그리고 0.0001 정규화를 사용하여 훈련되었다. Orange3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새로운 이미지 분석 Add-on을 설치하였다. 훈련 모델에서는 이미지 가져오기(import image), 이미지 임베딩(image embedding), 신경망(neural network), 테스트 및 점수(test and score), 혼동 행렬(confusion matrix) 위젯이 사용되었으며, 예측에는 이미지 가져오기(import image), 이미지 임베딩(image embedding), 예측(prediction) 및 이미지 뷰어(image viewer) 위젯이 사용되었다. 다섯 AI 모델[Inception V3, SqueezeNet(로컬), VGG-16, Painters 및 DeepLoc]의 신경망 정밀도는 각각 0.807, 0.901, 0.780, 0.800 및 0.771이었다. 결론적으로 SqueezeNet(local) 모델이 차나무 잎 이미지를 사용하여 차병해 탐색을 위한 최적 AI 모델로 선택되었으며, 정확도와 혼동 행렬을 통해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균주에 따른 청미래덩굴잎 발효차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Smilax china L. Leaf Teas Fermented by Different Strains)

  • 이상일;이예경;김순동;강윤환;서주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07-8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잎을 이용한 기호성이 증진된 발효차 제조를 시도하였다. 균주로 Saccharomyces cerevisiae(S),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속 혼합미생물(B), Bifidobacterium bifidus(L), Monascus pilosus(M) 및 Aspergilus oryzae(A)를 사용하여 발효차(S, B, L, M, A)를 제조하였으며, 발효시키지 않은 청미래덩굴잎(C)과의 품질특성과 항산화와 관련된 total polyphenol(TP) 및 total flavonoid(TF) 함량과 활성산소 소거계 활성으로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ferrous iron chelating ability (FICA) 및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LPOIA)와 활성산소 생성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의 inhibitory activity(XOIA) 및 aldehyde oxidase의 inhibitory activity(AOIA)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수로 1% 농도로 우려낸 발효차의 색상은 A차는 적색을 띠었으나, 그 외의 모든 차는 황색을 띠었다. 차의 향, 맛, 밝기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A차 3.95점, M차 3.30점으로 평가되었으며, 그 외 S, B, L차는 2.55~2.28점으로 C차와 유사하였다. C차 열수 추출물의 TP 및 TF 함량은 각각 28.94 및 18.39 mg/g,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각각 34.97 및 34.44 mg/g 이었다. 발효차는 C차에 비하여 TP의 함량이 낮았으나, 에탄올 가용성 flavonoid 함량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A차는 수용성 TF 함량과 에탄올 가용성 TP의 함량이 낮았다. 청미래덩굴잎 및 그 발효차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EDA($1mg/m{\ell}$)는 19.25~22.48%이었으나, A차는 8.04~12.49%이었다. C차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FRAP($Fe^{2+}\;{\mu}mole/g$ dry basis)는 4.38~5.84이었으며, S, B, L, M 및 A차와 대등하였다. FICA는 발효차 중에서는 A차가 높았으며, 여타 차는 발효차와 비발효차 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LPOIA는 $200{\mu}g/m{\ell}$의 아주 낮은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은 37.08~41.42%, 에탄올 추출물은 28.66~32.57%를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다소 높았으며, 차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1mg/m{\ell}$)의 XOIA 및 AOIA는 모두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열수 추출물에서의 XOIA는 C, S, M 및 A차에서는 4.83~9.20%이었으나, B 및 L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9.00~19.00%이었다. AOIA는 열수 추출물은 30.17~48.52%, 에탄올 추출물은 44.09~66.93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발효차 에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청미래덩굴잎 발효차의 항산화 활성은 비발효차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에 의하여 TP와 TF의 감소율이 높으나, 관능적 품질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 A차 열수 추출물(0.1%)에서도 FRAP, FICA, LPOIA 및 AOIA와 같은 항산화 지표들의 활성이 나타나, 기능성 발효차로서의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살균처리가 인삼엽록차의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contamination Treatments on Chemical Components of Panax Ginseng-Leaf Tea)

  • 권중호;변명우;최강주;권대원;조한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5-69
    • /
    • 1992
  • 수출용으로 제조되고 있는 인삼엽록차에 대하여 위생적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처리된 ethylene oxide(EO) 훈증제와 적정선량의 감마선 조사가 시료의 몇 가지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인삼엽록차에 함유된 사포닌과 지방산은 상업적 조건의 EO 처리나 적정선량의 감마선 조사(5kGy 범위)에 의해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리당과 아미노산에서 glucose, lysine 및 histidine은 EO 처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어(p<0.05) 살균방법 중 EO gas는 감마선조사에 비해 엽록차 성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화인되었다.

  • PDF

인삼엽록차의 살균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Leaf Tea As Affected by Decontamination Treatment)

  • 김영회;권중호;변명우;이수정;조한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6
    • /
    • 1991
  • 인삼 엽록차의 위생화를 위한 화학 훈증제 처리 및 감마선 조사가 시료의 몇가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의 품질에 관련된 가용성분, 사포닌 및 탄닌성분은 상업적 조건 ethylene oxide 처리와 10kGy 까지의 감마선 조사에 대하여 안정하였다. 그러나 비타민 C 및 클로로필은 5kGy 이상 조사와 훈증 처리시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녹차의 휘발성 성분, 추출액의 색도 및 pH는 살균선량 범위인 5kGy 조사군에 비해 훈증처리군에서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

  • PDF

뽕잎 차에서의 성분 비파괴형 기기 기술 개발 및 응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on-Destructive-Type Device of Ingredients in Mulberry Leaf Tea)

  • 천병수;민제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595-1600
    • /
    • 2013
  • 기존의 기기분석에 있어서의 미비한 점을 보완한 물질 분석 과정에서 주요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고져 비파괴형 원적외선 도자기 가마를 이용하여 비파괴형 성분물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기 분석 장치를 개발 하였다. 또한 광폭증폭관(PMT) 기기를 사용하여 뽕잎 차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의 형태적 효과를 기존의 기기분석기와 원적외선 도자기 기기를 사용한 것과의 차별화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측정 하였다. 그 결과 특히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성분이 파괴되지 않음을 측정하여 그 효과가 인정 되었기에 이를 보고한다.

전통차류에 대한 한국 성인의 이용현황 및 기호도 연구 (Study on Intakes and Preference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Tea of Adults in Korea)

  • 김진규;김진아;이심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3-32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akes and preference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teas in each of the age group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9^{th}$ to $23^{rd}$, 2015.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2 adults aged more than 20 years that resided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health status score was 3.57, and the health concern score was 3.54. The reason for preferring traditional tea was 'health' (40.5%) and 'good taste, color, and aroma' (29.7%).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rinking a traditional tea was health (37.1%). Acceptance of each type of traditional tea was ranked in order of 'grain tea', 'fruit tea', 'floral leaf tea', 'assorted tea', 'medical root tea', and 'tonic tea'. A total of 92.8% of respondents said traditional teas should be popularized. Regarding problems for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teas,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not popularized yet' (39.7%). Regarding the method for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teas,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convenience of purchase for ingredients'. As a result, preferences for traditional tea and popularization method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ge. It is thus necessary to develop traditional tea products considering the age range.

Suppression of melon powdery mildew and tomato leaf mold disease by the antifungal activity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essential oil

  • Lee, Mun Haeng;Oh, Sang-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4호
    • /
    • pp.1071-1081
    • /
    • 2020
  • Essential oils (EOs) have been shown to be plant-extracted antimicrobial agents. However, there are limited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icacy of EOs against pathogens. Among them, tea tree oil (TTO) is extracted from Melaleuca alternifolia, which is also used as an antifungal agen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TO was investigated on the suppression of melon powdery mildew caused by Podosphaera xanthii and tomato leaf mold disease caused by Passalora fulva. Both powdery mildew and leaf mold diseases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by a spray of TTO. Eighty percent of powdery mildew and 81% of leaf mold disease of the control value were suppressed by 0.5% TTO liquid, when sprayed 3 times every 7 days on the melon and tomato leaves.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was also greatly affected b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TO against four different fungal pathogens. Ninety-eight percent of Pseudocercospora fuligena, 97% of P. fulva, 95% of Botrytis cinerea, and 94% of Phytophthora infestans mycelial growth were inhibited by 0.2% to 1.0% of TTO contained in plate media, respectively. However, phytotoxicity in plants by the TTO treatments was revealed when melon and tomato leaves were sprayed with a 1% and 2% concentration of TTO, respectively. Therefore, our findings show that TTO has high antifungal effects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s that occur during crop cultivation. We also suggest that when applying TTO to plant leav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ccurate treatment concentration for different crops.

Mate (ILex paraguarensis) 발효차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ate(ILex paraguarensis) Leaf Tea)

  • 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00-506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기능성 차 소재로 알려져 있는 mate의 특유의 맛과 향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효공정을 적용하였으며 발효공정 단계별 유용성분 분석을 통해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발효 전 mate 추출물에서는 탄닌 함량이 $5.81{\pm}0.02\;{\mu}g/mL$로 측정되었으나 발효 후 덖기 과정 및 최종 건조과정을 거침에 따라 각각 $5.56{\pm}0.03\;{\mu}g/mL$, $5.49{\pm}0.04\;{\mu}g/mL$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 전 mate 추출물에서 각각 43.45 mg/g, 0.86 mg/g이었으며 발효 후 덖음 과정을 거친 구간이 각각 38.20 mg/g, 0.73 mg/g으로 나타나 발효공정이 진행 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발효 전 mate추출물의 카페인 함량은 6.78 mg/g이었으나 발효 후 덖음 과정을 거친 후 4.30 mg/g으로 나타나 발효공정이 진행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최종 건조완료 후 3.65 mg/g이었다. 발효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유리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은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발효 후 덖기과정을 거친 mate의 유리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690.95\;{\mu}g/mL$, $93.68\;{\mu}g/mL$이었다. 종합적인 기호도는 발효공정이 진행될수록 높은 점수를 얻어 풍미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발효를 통해 단맛 및 구수한 맛은 증가하였고 쓴맛과 떫은맛은 감소하여 종합적인 기호도는 증가하였다.

감잎의 광노화 피부 개선에 미치는 효과(2) (Effects of Persimmon leaf on the Photoaging Skin Improvement(2))

  • 이창현;김남석;최동성;오미진;마상용;김명순;유승정;권진;신현종;오찬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5-44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photoaging effects of Persimmon leaf tea(PLT) in hairless mice(SKH-1) exposed to UVB radiation.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non-treated group (normal, N) and UV-radiated groups. UV-radiated groups were divided into only UV-radiated group(control, C) and UV-radiated and PLT treated experimental groups[first extraction treated group(PLT-I), second extraction treated groupe(PLT-II), and third extraction treated group(PLT-III)]. Three PLT treated experimental groups of mice were treated with both oral administration(300mg/Kg B.W./day) and topical application (100 ul of 2% conc./mouse/day) for 4 weeks. Anti-photoaging effects of Persimmon leaf were evaluated by MTT assay, anti oxidative reaction, MMP immunohistochemistry, gelatin zymography assay and RT-PCR observations. Treatment with Persimmon leaf tea(PLT)-I, and -III groups decreased immunohistochemical dens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s(MMP)-3 and -9 related to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in skin. Especially, immunohistochemical density of MMP-2 decreased in PLT-I, -II and -III groups in skin. On the effects of antioxidant function on the treatment with Persimmon leaf tea(PLT), treatment of HaCaT cells with extracts of PLT-I and PLT-II had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tracellular ROS produced by UVB irradia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PLT-I, p<0.05, p<0.01, p<0.001; PLT-II, p<0.01, p<0.001). Gelatin zymography assay revealed that PLT-II and PLT-III (200 ug/ml) had inhibitory effect on MMP-9 expression in UVB-radiated HaCaT cells.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PLT-1, -II and -III groups down-regulate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associated genes(IL-$1{\beta}$) and PLT-1 and -II groups down-regulates the expression of TNF-${\alpha}$ in a dose dependent manner. Our study suggests that Persimmon leaf tea(PLT) extracts participates in inhibitory effects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xperiments related to photoaging skin on UVB irradiated hairless mice.

돌외차(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의 당(糖)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gar Contents of Dolwoe Tea(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 박영희;홍윤호;박원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3-327
    • /
    • 1987
  • 돌외를 채취해서 잎과 줄기로 나누고 각각 실험실에서 차로 제조한 것과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국산품과 일본산 제품 및 국산품 란은 것에 대해 총당, 환원당 및 유리당 함량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제조된 돌외차의 총당과 환원당 함량은 줄기가 잎의 2배 많았으며 한국산 제품과 일본산 계품의 함량은 비슷하였으나 볶은 것은 볶지 않은 한국산보다 총당이 17.2% 감소하였으며, 환원당은 40.9% 감소하였다. 돌외차에 함유된 유리당은 rhamnose, fructose, glucose및 sucrose등이 확인되었다. 그 비율은 부위에 따라 차이가 많았으나 일반적으로 glucose> fructose> sucrose> rhamnose순으로 조성되었고 일본산 제품의 rhamnose 함량이 한국산 제품보다 6배 많았으며 볶은 것은 전체적으로 유리당 량이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