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spring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잔디에 한지형잔디 덧파종에 따른 잔디품질, 녹색기간 및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l-season Grass Overseeding on Turf Quality, Green Period and Turf Density in Zoysiagrass Lawn)

  • 한상욱;소호섭;최병열;원선이;이상덕;강창성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333-344
    • /
    • 2017
  • 본 연구는 녹색유지 기간이 6-7개월에 불과한 한국잔디로 조성된 잔디밭에 한지형잔디 종자를 덧파종하여 잔디밭의 녹색기간 연장, 잔디품질, 잔디밀도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처리내용은 대조구로 한국잔디(중엽형)를 포함하여 퍼레니얼 라이그래스($60g\;m^{-2}$)를 중엽형 한국잔디에 덧파종 처리와 켄터키 블루그래스($20g\;m^{-2}$)를 중엽형과 세엽형 한국잔디 '세밀'에 덧파종 처리를 두어 2014년 부터 2016년까지 조사하였다. 한국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또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덧파종으로 월동 전 2개월, 월동 후 봄철 녹화기에 1개월로 총 3개월 정도의 녹색기간 연장으로 품질유지 효과를 보였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를 덧파종 하였을 때 발아 및 초기생장이 빨라 덧파종 후 2-3주만에 녹색기간 연장효과를 볼 수 있었으나, 고온 다습한 여름철 기간 동안에는 하고현상으로 품질 저하가 나타났다. 이에 반해 켄터키 블루그래스로 덧파종한 경우에는 발아 및 초기 생육이 느려 가을 파종시 당년에 뚜렷한 월동전 녹색기간 연장 효과를 볼 수 없었으나, 이듬해부터는 하절기를 포함하여 연중 안정적인 품질 및 녹색 유지 효과를 보였다. 세엽형 한국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덧파종 처리가 중엽형 잔디 처리에 비해 균일도가 좋아 품질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덧파종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하고현상 발생시기를 제외하고는 한국잔디의 잔디밀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덧파종한 한지형잔디의 피복률은 계절과 초종에 따른 변화를 보였고 약 30-80%의 피복률을 나타냈다. 본 시험결과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는 덧파종 후 빠른 피복도와 뚜렷한 녹색기간 연장효과는 있으나 하절기 품질저하를 보였고, 켄터키 블루그래스 덧파종은 초기 생육은 느리나 연중 안정적인 품질유지가 가능한 특성을 보여 덧파종시 2종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초재배가 양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 뽕밭 부근의 담배개량 Mulching 재배가 추잠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lkworm Rearing and Tobacco Cultivation I. Tobacco Field Cultivated in Mulching System Affecting the Silkworm Rearing in Autumn Season)

  • 정태암;이상풍;김정배;홍기원;김계명;마영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1-149
    • /
    • 1975
  • 개양 Mulching에 의한 조기재배 담배밭 부근 뽕잎이 추잠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뽕나무 pot 100m구를 대조로 하여 10m, 20m, 40m, 60m 구별로 담배밭으로부터 동북쪽에 배치하였으며, pot가 배치된 밭의 경사는 담배밭과 근접된 지점은 담배밭 보다 지반이 40cm 내외로 낮았으나 담배 밭에서 멀어질수록 10% 내외 경사로 점점 높게 위치하고 있었다. 한편 담배밭은 전 면적의 1/2 정도를 동남방향에서 서북방향으로 나누어 남서편은 10% 미만의 경사로 점점낮게 위치하고 있었다. 오독처리 기간중의 풍향은 동남풍아 36%로 주풍 이었고, 남서풍이 21%, 남풍이 16%, 기지의 순이었다. Pot는 담배 하엽수확 완료 후부터 상엽수확 완료 직전까지 32일간을 경합시켰으며 경합기간 중 신장된 뽕은 pot격리 후 33일째인 4령말기부터 상업전까지 11일간에 걸쳐 급여시험한 결과를 분석한 각각의 계량형질에 미친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령경과는 10m구부터 40m구까지 같은 수준으로 대조보다 길었으며 60m구는 대조와 유의차가 없었고 전령경과도 대체로 같은 경향이었다. 2. 5령기잠 지면잠비율은 10m, 20m구단이 가장 높았고, 기타구는 대조와 유의차가 없었다. 3. 장잠감잠비율은 60m구까지 피해가 인정되었다. 4. 화용비율은 10m구에서 20m구까지가 가장 낮았으며, 기타구는 대조와 유의차가 없었다. 5. 전견중, 견층중은 각각 60m구까지 피해가 인정되었으며, 전견중 보다는 견층중의 피해가 크므로서 그 결과, 견층비율 역시 같은 경향의 피해를 보였다. 6. 수견량(대 소잠 1만두 옥견포함)에서는 담배밭에 가까운 구 일수록 대조에 비해 현저히 감수가 되어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고 60m구는 대조와 같은 수준이었다. 단, 실제 수견량에 있어서는 10m, 20m, 40m, 60m구는 각각 7kg, 3.9kg, 3.6kg, 1.8kg으로 잔수되어 그 피해율은 40%, 26%, 24%, 12%로 감수된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때 수견량과 견층의 피해거리는 60m 이상까지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삼나무의 내한성(耐寒性) - 품종별(品種別) 채취시기별(採取時期別) 차이(差異) - (Freezing Resistance of Cryptomeria japonica - Its clonal and Seasonal Differences -)

  • 황증;홍성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7-56
    • /
    • 1978
  • 본(本) 연구(硏究)는 일본(日本) 및 한국(韓國)에서 내한성(耐寒性)이 강(强)하다고 생각되는 삼나무 클론 및 개체간(個體間)에 내한성도(耐寒性度)의 차이(差異)를 알기 위하여 진주(晋州)와 전주(全州)의 두 지역(地域)에서 생장(生長)하고 있는 삼나무 묘목(苗木) 및 성목(成木)으로 부터 1977~1978년도(年度) 겨울동안 3차(次)에 걸쳐 채취(採取)된 시료(試料)에 대(對)하여 주(主)로 엽(葉), 형성층(形成層), 재부유조직(材部柔組織)을 중심(中心)으로 내한성(耐寒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실험결과(實驗結果)와 고찰(考察)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클론 및 개체간(個體間)의 내한성도(耐寒性度) 차이(差異)는 채취지역(採取地域)에 따라 최고(最高) $9^{\circ}C{\sim}15^{\circ}C$정도(程度)였다. 이러한 내한성도(耐寒性度)의 차이(差異)는 선발(選拔)된 모수(母樹)가 자라고 있는 지역(地域)의 기후조건(氣候條件)과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없었다. 대부분(大部分)의 삼나무 삼림(森林)이 인공조림(人工造林)된 것이므로 내한성(耐寒性) 유전자(遺傳子)와 환경(環境)과의 사이에 자연도태(自然淘汰)에 의(依)한 평형(平衡)이 아직도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해석(解釋)되었다. 2. 한겨울에 채취(採取)된 몇 품종(品種)이 엽(葉)의 내한성도(耐寒性度)가 형성층(形成層)이나 재부유조직(材部柔組織)보다 높은 결과(結果)를 보였던 것 외에는 엽(葉), 형성층(形成層), 재부유조직(材部柔組織) 간(間)에 내한성도(耐寒性度)의 차이(差異)는 거의 없었다. 가장 내한성(耐寒性)이 낮은 부위(部位)는 정아(頂芽)이지만 정아(頂芽)가 동해(凍害)을 받을 경우는 잠아(潛芽)나 부정아(不定芽)에 의(依)하여 생장(生長) 계속되는 것이 관찰(觀察)되었다. 3. 엽(葉), 형성층(形成層), 재부유조직(材部柔組織)의 내한성도(耐寒性度)로 미루어 한국(韓國) 중부지역(中部地域)에서도 내한성(耐寒性)이 강(强)한 삼나무들은 생육(生育)될 수 있을 것이 예상(豫想)된다. 그러나 삼나무의 가장 내한성(耐寒性)이 약(弱)한 부위(部位)는 지면(地面)에 가까운 줄기라고 보고(報告)되었기 때문에 앞으로 더 연구(硏究)가 필요(必要)하다고 생각되며 지제부(地際部)의 동해(凍害)를 방지(防止)할 수 있는 조림학적(造林學的) 방법(方法)들이 타문헌(他文獻)을 통(通)하여 고찰(考察)되었다.

  • PDF

난지형 및 한지형 지피식물의 엽색변화에 관한 연구 II. 엽색특성 및 엽수명연장 (A Study on the Seasonal Color Characteristics of Warm- and Cool-Season Grasses II. Color Characteristics and Life-span of Leaves in Turfgrasses and Cover Plants+)

  • 심재성;민병훈;서병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3-316
    • /
    • 1995
  • Nitrogen fertilization and cutting practice were studied on turfgrasses and cover plant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green color during the growing season. Research also involved the effect of the nitrogen on a few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f performance elements which might give an information to coloration and life-span of turf leaves. Treatments in the first experiment undertaken on pot included one N level: 350kgN /ha applied as compound fertilizer in split applications of one-half in mid-May and the rest both in late June and August, and four spring-summer cuts: late May, late June, late July and late August. The soil filled in pot a moderately well-drained sandy loam. In the second experiment(field observation) leaf length and width, inflorescence and flowering, and color performance were also investigated. With nitrogen fertilizer applied on turfs, desirable turf color was maintained during a period of poor coloration in specific seasons such as mid-summer for cool season grasses and late fall for warm season grasses comparing to the non-treatment. However, this was not stimulated by cutting treatment to nitrogen status existed. Cutting effect on coloration was more remarkable in both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than in cool season turfgrasses such as Italian ry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Especially down-slide of leaf color in cool season turfgrasses could he detected in mid-summer /early fall season ranging up to mid-September. In early November as well as mid-September, Italian ry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retained a high level of green color as followed by nitrogen application and cutting treatment, and little detectable variation of leaf color notation between cool season turfgrasses was obtained. However, Korean la'vngrass and Manilagrass failed to retain the green color until early November. Color notations in cool season turfgrasses investigated early November on the final date of the experiment ranged from 5 GY 3/1 to 4/8 in 'Ramultra' Italian ryegrass, 'Reveile' perennial ryegrass and 'Arid' tall fescue, but those in Zoysiagrasses were 7.5 YR 4/8 in Korean lawngrass and 2.5 y 5 /6 in Manilagrass. Life-span of leaves was shorter in Italian ry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than in beth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with and without nitrogen application. In general, leaves appeared in early May had a long life-span than those appeared in late April or mid-June. Nitrogen application significantly prolonged the green color retaining period in perennial ryegrass, Italian ryegrass,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and this was contrasted with the fact that there was no prolonged life-span of leaves emerging in early May and mid-June in tall fescue. SPAD reading values in 48 turfs and cover plants investigated in the field trial were increasing until late June and again decreasing till September. Increasing trends of reading value could be observed in the middle of October in most of grasses. On the other hand, clovers and reed canarygrasses did not restore their color values even in October. Color differences between inter-varieties, and inter-species occurred during the growing season under the field condition implicated that selection of species and /or cultivars for mixtur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Munsell color notation investigated in the final date in the middle of November, 32 cultivars belonged under the category of 5 GY and 10 cultivars under the category of 7.5 GY. This was implying that most of cool season turfs and cover plants grown in the center zone of Korean Peninsula which are able to utilize for landscape use can bear their reasonable green color by early or mid-November when properly managed. The applicable possibilities of SPAD readings and Munsell color notation to determine the color status of turfgrasses and cover plants used in this study were discussed.

  • PDF

족부보장구(A.F.O.) 판스프링용 Glass/Epoxy와 Aramid/Epoxy의 충격속도 변화에 따른 손상 거동 (The Damage Behavior of Glass/Epoxy and Aramid/Epoxy in Leaf Spring of Ankle Foot Orthosis (A.F.O) due to the Various Impact Velocities)

  • 송삼홍;오동준;정훈희;김철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8권10호
    • /
    • pp.1526-1533
    • /
    • 2004
  • The needs of walking assistant device such as the Ankle Foot Orthosis (A.F.O) are getting greater than before. However, most of the A.F.O are generally imported rather than domestic manufacturing. The major reason of high import reliability is the rack of impact properties of domestic commercial products. Therefore, this research is going to focus on the evaluation of impact properties of the A.F.O which has the high import reliability. Unfortunately, these kinds of researches are not performed sufficiently. This research is going to evaluate impact energy behavior in composite materials such as the glass/epoxy (S-glass, [0/90]sub 2S/) and the aramid/epoxy (Kevlar-29, woven type, 8 ply) of ankle foot orthosis. The approach methods were as follows. 1) The history of impact load and impact energy due to the various velocities. 2) Relationship between the deflection and damage shape according to the impact velocities. 3) The behavior of absorbed energy and residual strength rate due to the various impact velocities.

Nested PCR을 통한 참다래 궤양병균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의 검출 (Nested PCR Detection of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the Causal Bacterium)

  • 정재성;한효심;조윤섭;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16-120
    • /
    • 2003
  • 참다래 잎으로부터 궤양병균인 Pseudomnoas syringae pv. actinidiae를 배양하여 PCR을 통해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Nested PCR을 위해 두 set의 primer를 식물 독소인 coronatine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cfl의 염기서열로부터 설계하였다. 이 primer set를 사용하여 665rhk 310-bp의 절편이 증폭되었으며 nested PCR을 통한 궤양병균의 검출한계는 20 CFU/ml이었다. 4 그루의 참다래 나무로부터 노란색 무리로 나타나는 궤양병 초기 증상을 보이는 잎을 채취하여 pepton-sucrose 액체배지에 넣어 $16^{\circ}$C에서 12시간 배양 한뒤 PCR 을 시행한 결과 한 시료에서 예상했던 밴드가 증폭되었고 이듬해 봄 이 나무가 궤양병에 감염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온대낙엽수림에서 미소환경요인의 공간 이질성이 임상초본식물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rcroenvironmental Heterogeneit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erbaceous Species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 이규송;조도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55-266
    • /
    • 2000
  •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점봉산의 온대낙엽수림(참나무 성숙림)에서 임상초본식물의 공간분포를 정량화하고, 이들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미소환경요인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임상초본식물들은 영구 방형구내 미소지소간에 큰 변이를 나타내었다. 초봄에 출현하는 임상초본식물중 공간의존도가 높은 식물은 현호색, 애기나리 및 노랑제비꽃이었고, 가을에 출현하는 임상초본식물중 공간의존도가 높은 식물은 벌깨덩굴, 쌀새 및 도라지모시대이었다. 초봄에 출현하는 홀아비바람꽃과 얼레지 그리고 가을에 출현하는 도라지모시대와 쌀새의 공간의존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었다. 초봄에 출현하는 노랑제비꽃, 애기나리 및 얼레지는 관목이 적고, 낙엽층이 얇으며,토심이 깊고, 토양수분함량, 유기물함량 및 염기성양이온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생육지를 선호하였고, 애기앉은부채 와 현호색은 관목이 밀집하고, 낙엽층이 두꺼우며, 토심이 얇고, 유기물함량, 토양수분함량 및 영양염류함량이 높은 생육지를 선호하였다. 오리방풀은 빛조건이 좋고, 낙엽층이 두꺼우며, 토양수분함량과 영양염류가 풍부한 생육지를 선호하였고, 단풍취, 대사초, 개별꽃, 참취, 쌀새 및 도라지모시대는 토심이 깊고, 낙엽층이 얇으며, 토양수분함량과 영양염류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생육지를 선호하였다. 본 참나무 성숙림에서 토양수분함량, 유기물함량 및 영양염류함량은 바람, 미소지형 및 관목의 밀집정도에 의해 공간적으로 재배치되는 낙엽층 두께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초봄과 가을에 관찰되는 임상초본식물의 공간분포는 낙엽층의 불균등한 분포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재래종(在來種)갓의 Anthocyanin 색소(色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Anthocyanin의 정량(定量)- (Studies on the Anthocyanins in Brassica juncea -Part II.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 박근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39-41
    • /
    • 1979
  • 우리나라 재래종(在來種)갓의 anthocyanin 색소(色素)의 구명(究明)을 위(爲)한 실험(實驗)에서 제일보(第一報)의 구조추정(構造推定)에 이어서 이들 색소(色素)의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채취시기(採取時刻)의 구별(區別)에 의한 전(全) anthocyanin의 함량(含量)은 peonidin-3-glucoside로 표시(表示)하여 봄갓이 175.5mg% 가을갓이 192.7mg%로 가을갓이 약간(若干) 더 많은 함량(含量)을 보였다. 2, 착색정도(着色程度)의 구별(區別)에 의한 전(全) anthocyanin의 함량(含量)은 peonidin-3-glucoside로 표시(表示)하여 잎의 양면착색(兩面着色)갓이 290.2mg%, 한면(面)만의 착색(着色)이 73.6mg%, 양면(兩面)모두 무착색(無着色)갓이 40.0mg%이었다. 3. 신선(新鮮)한 갓에서 peonidin-3-glucoside로 표시(表示)하여 40mg%이하의 anthocyanin 함량(含量)으로는 육안(肉眼)으로서는 전혀 갓특유(特有)의 착색(着色)을 감지(感知)할 수 없었다. 4. 갓에 존재(存在)하는 이종(二種)의 anthocyanin의 조성비(組成比)는 채취시기(採取時期)및 착색(着色)의 정도(程度)에 따라서도 거의 일치(一致)하였으며 그 조성(組成)은 peonidin-3-glucoside가 55.3% 그리고 peonidin-3-galactoside가 44.7%이었다.

  • PDF

편마비환자의 균형기능 향상에 관한 문헌적 고찰 (Improvements in Balance of Patients with Hemiplegia A Literature Review)

  • 강권영;송병호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7-95
    • /
    • 2008
  • Background: Hemiplegic patients usually have difficulty maintaining balance. Balance training is a major component of there 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S(Posterior Leaf Spring), FES(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readmill training, and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on the improvement of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Methods: We looked into published studies from Dankook University’s electronic library databases of RISS4U, KMbase, NCBI, and MEDLIS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any form of intervention leading to improvement of balance. All types of studies relevant to the topic that were published in English during the time period of 1986 to 2005 were included.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nding balance, dynamic activity balance, and gait speed between barefoot subjects and subjects who wore SPAFO and HPAFO(p<.05). 2. The changes in ROM and FRT related to sex, age, height, and weight part of the diagnosis, as well as experience relapse, was of meaningless value. Changes in ROM related to the duration of pain and experiences of falling down were also meaningless. However, FRT showed significant static differences(p<.05). 3. The body-weight-support treadmill training scoring of standing balance, step length, and a timed 10m walking test showed definite improvement. 4. The proprioceptive control approach improved dynamic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Conclusion: Consequently, further study is needed to verify methods when physical therapists are researching balance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

  • PDF

Insights into the Incidence of Watermelon chlorotic stunt virus Causing Yellowing Disease of Watermelon in Western and Southwestern Regions of Saudi Arabia

  • Ahmad, M.H.;Shakeel, M.T.;Al-Shahwan, I.M.;Al-Saleh, M.A.;Amer, M.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5호
    • /
    • pp.426-434
    • /
    • 2018
  • During the spring season of 2014, a total of 148 melon and watermelon lea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plants in the western and southwestern regions of Saudi Arabia and were tested for the presence of Watermelon chlorotic stunt virus (WmCSV) and other suspected cucurbit viruses by double antibody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Ninety-eight samples were found to be positive for the presence of WmCSV, nine samples were positive for the presence of Cucurbit yellow stunting disorder virus (CYSDV), and 22 showed a mixed infection with both WmCSV and CYSDV. No other cucurbit viruses were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Host range experiments revealed that eight out of fourteen tested plant species were susceptible to WmCSV. PCR products of approximately 1.2 kb were obtained after amplification using primers specifically targeting the coat protein region of WmCSV. Positive PCR results were confirmed by dot blot hybridization. Coat protein gene sequences from eleven WmCSV isolates indicated that the highest identity was between the 104WMA-SA isolate from the Wadi Baish location and a previously reported isolate from the AL-Lith location in Saudi Arabia. The lowest identity was observed between the 42WMA-SA isolate and an isolate from Palest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