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of barley)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7초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의 혼합과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γ-aminobutyric acid 생산 증진 (Enhancement of γ-aminobutyric Acid Production by Combination of Barley Leaf and Corn Silk and Its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 김형주;윤영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1-185
    • /
    • 2017
  • GABA는 glutamic acid decarboxylase에 의해서 L-glutamic acid가 탈탄산화되어 생합성된 비단백질 아미노산이다. GABA는 식물에서 스트레스에 대항한 대응반응으로 생성된다. 사람의 중추신경계에서는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항고혈압, 항당뇨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을 유산균과 함께 발효함으로써 GABA 생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을 다양한 무게 비율로 조합하여 혼합하였고, $30^{\circ}C$에서 48시간 동안 배양기 안에서 L. plantarium과 함께 발효시켰다. 발효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한 후,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GABase assay를 이용하여 GABA의 생산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9:1 혼합발효추출물이 다른 비율의 추출물 보다 GABA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것은 혼합과 발효기술이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 내 GABA 양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몇 가지 생리활성을 분석한 결과 혼합발효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이 비발효 추출물에 비하여 증진되었고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의 조합과 이것을 유산균과 함께 발효시키는 방법이 고함량의 GABA와 증진된 생리 활성을 지닌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잎채소 분말을 첨가한 초콜릿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ocolate with Variable Leaf Powder)

  • 오현빈;송가영;장양양;정기영;신소연;김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7-255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leaf powders on chocolate by analyzing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Methods: Pine needles, mulberry leaves, ramie leaves, barley leaves, and squash leaves were freeze-dried, powdered, and added to the chocolate. Results: Water contents of all leaf powder-adde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15.78%). The pH values of chocolate with leaf powder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6.33) while that of mulberry leaf chocolate (6.56)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In color measurement, L-value, a-value, and b-value were highest in pine needle chocolate (30.31, 3.52, and 4.78, respectively). The ${\Delta}E$ value (total color difference compared to white board) was the highest in squash leaf chocolate (69.51) and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67.69). The hardness of leaf powder-added chocolate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6.84 N), except for pine needles. In the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chocolate with pine needles and squash leaves had higher polyphenols, flavonoids,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ntioxidant activity than those of the control. Overall consumer acceptability was the most preferred in the control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However, chocolate with mulberry and barley leaves also received high scores (5.60 and 5.40, respectively) for overall acceptability.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chocolate with barley leaves is desirable for making functional chocolate due to its high consumer preference an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antioxidant activities.

인공 안개처리에 따른 보리의 잡초경합양상 및 제초제반응 특이성 (Specificity of Weed Competition and Herbicide Response in Barley under Foggy Condition)

  • 구자옥;이병열;국용인;한성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38-746
    • /
    • 1995
  • 인공안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장, 잡초경합양상 및 제초제반을을 검토코자 온실내에서 일련의 pot시험이 수행되었다. 안개조건에서 보리의 초장, 엽령, 엽폭 및 지상부 생체중은 증가하였으나 출수가 지연되고 출수율과 수량 구성요소인 수당영화수, 천립중 및 발아율은 감소하였다. 안개조건으로 초종수의 차이는 없으나 잡초발생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주요한 발생초종은 둑새풀, 새포아풀, 벼룩나물, 점나도나물, 황새냉이 및 갈퀴덩쿨등이었다. 안개조건에서는잡초와의 경합기간이 길수록 초장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며 1,000립중은 초기경합에서만 감소하였으며 그밖의 보리의 생장은 경합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안개조건에서 제초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체중은 공시 제초제 공히 증가되었으나 1,000립중은 오히려 감소되었으며, 그 중 Butachlor 및 Thiobencarb의 약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처리 후 25일째 생체중에 의한 잡초방제가는 75∼90%로써 안개조건이 비안개조건보다 3∼15% 낮게 나타났으나 60일째는 96%이상으로 대등한 방제가를 보였다.

  • PDF

맥류의 기공확산저항의 일중변화와 입위별 기공의 분포 (Diurnal Changes in Stomatal Diffusion Resistance and Distribution of Stomata on Different Leaf Positions in Barley and Wheat)

  • 이호진;윤진일;이광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5-50
    • /
    • 1981
  • Diurnal changes in leaf stomatal resistances were measured on leaf positions and both surfaces to investigate the stomatal response to irradiance in wheat, var. Chokwang and barley, var. Dongbori 1. Stomatal frequency and size were also determined to explain the control mechanism of gas exchanges in two species. The leaf diffusive resistances of two species decreased, as the sun rose, to minimum at 10 to 11 o'clock a.m. and increased gradually in the afternoon, even faster at sunset. As the adaxial irradiance increased, stomatal resistances decreased sensitively in the range of 30uEm$^{-2}$ㆍsec$^{-1}$ to 150uEm$^{-2}$ㆍsec$^{-1}$ quantum flux density. The stomatal opening of the abaxial surface began at lower irradiance and was completed earlier than the adaxial surface. The adaxial irradiances decreased in order of leaf position, flag, the 2nd, the 3rd leaf, and the stomatal resistances increased in the same order. Even under the same irradiance, the stomatal resistance of lower leaves were higher than those of upper leaves. The stomatal frequencies of lower leaves were less, but the stomatal size was greater than those of upper leaves. Consequently, the relative leaf area occupied by stomatal pores were constant among leaf positions in two species.

  • PDF

맥류의 초형 및 재배조건에 따른 ETHYLENE의 생성량 (Ethylene Evolution of Wheat and Barley Cultivars Differed in Plant Type and Growing Condition)

  • 서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6-49
    • /
    • 1984
  • 맥류의 생육과 Ethylene 대사와의 관계를 측정한 몇가지 결과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 엽의 Ethylene 생성량은 하위엽이 상위엽보다 많고 답압을 한 것이 하지 않은 것보다 많았다. 2. 엽신절단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Ethylene 생성량은 증가하였는데 pot에서 보다 포장에서 재배한 것이 많았고 절엽후 Incubation의 온도가 높을수록 많았으며 주간이 야간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3. 밀의 Ethylene 생성량은 초형이 직립형인 품종 보다 포복형인 품종일수록 많고 엽록색 함량이 적은 품종보다 많은 품종일수록 증가하였다. 4. 맥류엽의 Ethylene 생성량은 복합비료보다 퇴비를 시용한 것이 많았고 담수를 한 것은 하지 않은 것보다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NaCl Stress에 따른 보리 유묘의 생육특성 및 세포학적 반응 (Growth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Hordium vulgare L.) Seedling to NaCl Stress)

  • 조진웅;김충수;이석영;박기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5-340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barley seedlings to NaCl stress and to investigate histological changes of cells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 after NaCl stress.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of 10-day old barley seedlings with NaCl stress were reduced and inhibition level was found to be more severe in the plant height than in the root length. The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area were shorter as well with NaCl stress than without NaCl stres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oots between NaCl treatments. The weight of dry matter decreased at higher NaCl concentrations, especially at 100mM NaCl. The water content of shoots tend to decrease at higher NaCl concentration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water content of roots, The reduced sugar content was greatly increase than starch. Cellulose content was higher in NaCl stressed-plant than control, and tended to decreased at higher NaCl concentrations. Lignin content also decreased NaCl stressed-plant but there was no tendency at NaCl stress concentrations. Electric conductivity of cell sap with seedlings was high with NaCl stressed-plant. Amount of cell sap gradually increased with time in the roots than in the shoots, The grana of chloroplasts was changed by 150mM NaCl concentration. The christe of mitochondria in root meristematic sells ruined in structure and cell wall of leaf and root was also ruined by NaCl stress.

  • PDF

보리잎 분말차의 제조와 그 품질특성 (Preparation of Barley Leaf Powder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 김동청;김동원;이성동;인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34-737
    • /
    • 2006
  • 다양한 생리활성을 함유한 보리잎을 이용하여 관능적으로 우수한 보리잎 분말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분말차의 기능성 성분함량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실험조건으로 보리잎차를 제조한 후 관능적으로 우수한 제조조건을 선발하였다. 그 결과 보리잎 분말차를 제조하는 공정은 보리잎을 절단, 세척하는 전처리 공정, $100^{\circ}C$에서 30초간 가열하는 증열공정, $130^{\circ}C$에서 40분간 처리하는 조유공정, 실온에서 25분간 처리하는 유념공정, $60^{\circ}C$로 30분간 덖음하는 중유공정, $55^{\circ}C$에서 25분간 재덖음하는 정유공정, $60^{\circ}C$로 20분간 건조하는 건조공정, $85^{\circ}C$에서 20분간 회전 덖음하는 가향공정 및 분쇄공정으로 최적화되었다.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보리잎 분말차는 식이섬유 33.8%, 아미노산 12.9%, 무기질 4.7%, ${\beta}-carotene$ 6.9 mg%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작물의 한발저항성에 관한 연구 제2보 맥류 유묘기의 수분부족이 질산환원효소 및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변화와 유리 Proline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Drought-Resistance of Major Food Crops II. Effect of Water Stress on the Activity of Nitrate Reductase and Protease, and the Accumulation of Free Proline in Barley and Wheat at Seedling Stage)

  • 최원열;민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0-65
    • /
    • 1982
  • 맥류의 한발저항성 반응과 정도 그리고 저항생리적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발아후 10일된 유묘기(본엽 3매시)에 8일간 단수처리를 하여 질산환원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변화 그리고 proline축적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품종의 평균 감소율은 질산환원효소의 활성이 42%이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은 73%였으며, 이에 반하여 proline은 대조구에 비하여 단수구가 무려 10배나 증가하였다. 2. 질산환원효소의 활성감소율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호맥 < 대맥 < 2조대맥ㆍ과맥의 순으로 소맥이 가장 낮았다. 3.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감소율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호맥 < 이조대맥 < 대맥 < 과맥의 순으로 소맥이 높고 과맥이 가장 낮았다. 4. 단수구의 proline의 축적색대량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대맥 < 호맥 < 과맥 < 이조대맥의 순으로 소맥과 대맥이 높았으며, 대조구에 대한 단수구의 증가비는 호맥(13배) > 소맥ㆍ대맥(11배) > 과맥(9배) > 이조대맥(7배)의 순으로 호맥이 가장 높았다. 5. 한발저항성 과정에서 효소적 및 생리적 대사작용의 관점에서 볼 때 소맥 > 호맥 > 대맥 > 과맥 > 이조대맥의 순으로 한발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주요작물의 한발저항성에 관한 연구 제1보 맥류 유묘기의 수분부족이 초장, 유묘건물종, 엽침소, 상대팽압도, 단백질 및 환원당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Drought-Resistance of Major Food Crops I. Effect of Water Stress on the Plant Height, Seedling Dry Weight, Relative Turgidity, Protein and Reducing Sugar in Barley and Wheat Seedling Stage)

  • 최원열;민경수;김용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4-310
    • /
    • 1981
  • 맥류의 한발저항성 반응과 정도 그리고 생리학적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발아 후 10일된 맥류 유묘기(본엽3매시)에 8일간 단수처리하여 초장 유묘건물중 엽녹소 상대팽압도 단백질 환원당의 변화를 조사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품종의 평균 감소율은 초장 14%, 유묘건물중 24%, 엽녹소 31%, 엽상대팽엽도 27%, 단백질 28%였으며 유일하게 환원당만은 대조구에 비하여 단수구가 4배나 증가하였다. 2. 유묘건물중 감소율을 품종별로 보면 호맥이 가장 낮고, 백동, 목포5005, 이조대맥이 가장 높았으며 또한 맥종별로는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3. 엽녹소의 감소율이 가장 낮은 품종은 호맥, 청계밀, 을밀이었고 가장 높은 것은 밀양1002, 방사006, 향맥, 사천004였다. 4. 엽상대팽엽도의 감소율이 가장 낮은 품종(22-25%)은 호맥, 청계밀, 동보리 001였고 가장 높은것(30-33%)은 백동과 이조대맥이었다. 맥종별로 보면 호맥<소맥<라맥<대맥ㆍ이조대맥의 순이었다. 5. 단백질의 감소율을 보면 후광, 그루밀, 동보리 001, 목포5005가 가장 낮은 품종(14~17%)들 이었고 이조대맥이(40%) 가장 심하였으며 맥종별로 보면 소맥<호맥ㆍ대맥<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6. 환원당의 증가비는 호맥과 소맥이 4~5배였고 이맥과 이조대맥이 약 2배 증가되었다. 맥종별 증가를 보면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7 한발저항성 과정에서 생리적 대사작용의 관점에서 볼 때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으로 한발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An Antifungal Property of Burkholderia ambifaria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 Lee Chul-Hoon;Kim Min-Woo;Kim Hye-Sook;Ahn Joong-Hoon;Yi Yong-Sub;Kang Kyung-Rae;Yoon Young-Dae;Choi Gyung-Ja;Cho Kwang-Yun;Lim Yo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65-468
    • /
    • 2006
  • Even though many pesticides are known for barley powdery mildew and wheat leaf rust, alternative controls are necessary, because of consumer rejection of chemical pesticides and the appearance of fungi resistant to fungicides. To discover biopesticides, many broths of microorganisms were screened. Of those, a culture broth of Burkholderia ambifaria showed an excellen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both Erysiphe graminis and Puccinia recondita, which cause barley powdery mildew and wheat leaf rust, respectively.